<앵커 멘트>
폭죽을 가지고 놀다가 갑자기 손안에서 터져 다치는 그런 사고가 최근 많습니다.
어떻게 이런 불량 폭죽이 장난감으로 유통되고 있을까요?
변진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보기엔 아름답지만 여간 위험한 게 아닙니다.
가족들과 해변에서 불꽃놀이를 하려고 폭죽을 샀던 34살 오 모씨.
그런데 쥐고 있던 폭죽이 갑자기 터지면서 다친 손가락은 수술까지 받아야 했습니다.
<인터뷰>오 용(폭죽 피해자): "장난감은 누구나 손쉽게 살 수 있는건데... 초등학생이고 누구고 손쉽게 살 수 있는건데..."
8살 신 모 어린이도 비슷한 사고를 당했습니다.
동네 문방구에서 산 화약이 바지 주머니 속에서 터져 왼손에 2도 화상을 입었습니다.
<녹취>신 모 어린이 아버지: "어린이는 사용하지 말라고 돼 있는데, 얘가 12살로는 도저히 안 보이거든요. 이런 물건을 팔았다는 것 자체가..."
이처럼 위험한 화약류가 나이 제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제재 없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관련법에도 사고가 난 폭죽과 화약은 장난감 용 꽃불로 분류돼 판매나 소지에 아무런 제약을 두지 않고 있습니다.
강한 폭발력에도 불구하고 법적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폭죽.
제2, 제3의 사고가 우리 곁에서 또 일어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폭죽을 가지고 놀다가 갑자기 손안에서 터져 다치는 그런 사고가 최근 많습니다.
어떻게 이런 불량 폭죽이 장난감으로 유통되고 있을까요?
변진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보기엔 아름답지만 여간 위험한 게 아닙니다.
가족들과 해변에서 불꽃놀이를 하려고 폭죽을 샀던 34살 오 모씨.
그런데 쥐고 있던 폭죽이 갑자기 터지면서 다친 손가락은 수술까지 받아야 했습니다.
<인터뷰>오 용(폭죽 피해자): "장난감은 누구나 손쉽게 살 수 있는건데... 초등학생이고 누구고 손쉽게 살 수 있는건데..."
8살 신 모 어린이도 비슷한 사고를 당했습니다.
동네 문방구에서 산 화약이 바지 주머니 속에서 터져 왼손에 2도 화상을 입었습니다.
<녹취>신 모 어린이 아버지: "어린이는 사용하지 말라고 돼 있는데, 얘가 12살로는 도저히 안 보이거든요. 이런 물건을 팔았다는 것 자체가..."
이처럼 위험한 화약류가 나이 제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제재 없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관련법에도 사고가 난 폭죽과 화약은 장난감 용 꽃불로 분류돼 판매나 소지에 아무런 제약을 두지 않고 있습니다.
강한 폭발력에도 불구하고 법적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폭죽.
제2, 제3의 사고가 우리 곁에서 또 일어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만지기만 했는데 ‘펑’…위험천만 폭죽
-
- 입력 2007-06-12 21:19:02

<앵커 멘트>
폭죽을 가지고 놀다가 갑자기 손안에서 터져 다치는 그런 사고가 최근 많습니다.
어떻게 이런 불량 폭죽이 장난감으로 유통되고 있을까요?
변진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보기엔 아름답지만 여간 위험한 게 아닙니다.
가족들과 해변에서 불꽃놀이를 하려고 폭죽을 샀던 34살 오 모씨.
그런데 쥐고 있던 폭죽이 갑자기 터지면서 다친 손가락은 수술까지 받아야 했습니다.
<인터뷰>오 용(폭죽 피해자): "장난감은 누구나 손쉽게 살 수 있는건데... 초등학생이고 누구고 손쉽게 살 수 있는건데..."
8살 신 모 어린이도 비슷한 사고를 당했습니다.
동네 문방구에서 산 화약이 바지 주머니 속에서 터져 왼손에 2도 화상을 입었습니다.
<녹취>신 모 어린이 아버지: "어린이는 사용하지 말라고 돼 있는데, 얘가 12살로는 도저히 안 보이거든요. 이런 물건을 팔았다는 것 자체가..."
이처럼 위험한 화약류가 나이 제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제재 없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관련법에도 사고가 난 폭죽과 화약은 장난감 용 꽃불로 분류돼 판매나 소지에 아무런 제약을 두지 않고 있습니다.
강한 폭발력에도 불구하고 법적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폭죽.
제2, 제3의 사고가 우리 곁에서 또 일어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변진석입니다.
-
-
변진석 기자 brick@kbs.co.kr
변진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