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반환된 미군기지 예상대로 오염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기름냄새가 코를 찌르고 흙의 색도 변했을 정도로 기름 범벅 그 자체였습니다.
박일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50여 년 동안 미군 공병대가 쓰다가 최근 돌려받은 캠프 에드워드.
땅속을 파봤습니다.
색깔은 멀쩡하지만 기름 냄새가 코를 찌릅니다.
<현장음>"기름 냄새가 확 나네요."
지하수 관정을 확인해봤습니다.
1미터짜리 탐침봉에 기름이 꽉 차서 올라옵니다.
<인터뷰>이상환(박사/한국농촌공사): "주변에 있던 기름이 이 관정으로 스며들어서 이렇게 쌓이게 된 거죠."
미군 측이 바이오 슬러핑, 즉 오염 치유를 했다고 통보한 기지지만 전체 면적의 8%는 여전히 기름과 아연 등에 오염돼 있습니다.
오염도도 기준치의 최고 24배에 이릅니다.
지난 4월 돌려받은 인근의 또 다른 기지.
자동차 정비소 옆을 파봤습니다.
정비소에서 나온 폐유 등으로 오염돼 흙이 이처럼 잿빛으로 변했습니다.
담장 넘어 경작지 근처까지 기름으로 오염된 상태입니다.
<인터뷰>유수호(중령/환경부 군부대 환경관리팀): "주변 지역에서 기름띠가 발견돼 신고가 들어와서 한차례 바이오 슬러핑을 한 지역입니다."
미군 측은 급박한 위협이 없을 경우 오염을 치유하지 않아도 된다는 한미 협정을 오염 상태를 그대로 둔 근거로 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군 측은 자신들이 처리하기로 했던 에어컨 실외기와 건축 폐자재 등도 그대로 놔둔 채 빠져나갔습니다.
반환 협상 과정 자체가 제대로 이뤄졌다고 보기 힘든 부분입니다.
<인터뷰>우원식(의원): "국회 미군기지청문회 조사단장 양측이 합의한 약속 자체도 이뤄지지 않은 것입니다. 국제 관계상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현재까지 돌려받은 23개 기지의 환경오염 치유 비용은 최대 천2백억 원.
앞으로 43개의 기지를 더 돌려받을 경우 우리가 부담해야 할 비용은 훨씬 불어나게 됩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반환된 미군기지 예상대로 오염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기름냄새가 코를 찌르고 흙의 색도 변했을 정도로 기름 범벅 그 자체였습니다.
박일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50여 년 동안 미군 공병대가 쓰다가 최근 돌려받은 캠프 에드워드.
땅속을 파봤습니다.
색깔은 멀쩡하지만 기름 냄새가 코를 찌릅니다.
<현장음>"기름 냄새가 확 나네요."
지하수 관정을 확인해봤습니다.
1미터짜리 탐침봉에 기름이 꽉 차서 올라옵니다.
<인터뷰>이상환(박사/한국농촌공사): "주변에 있던 기름이 이 관정으로 스며들어서 이렇게 쌓이게 된 거죠."
미군 측이 바이오 슬러핑, 즉 오염 치유를 했다고 통보한 기지지만 전체 면적의 8%는 여전히 기름과 아연 등에 오염돼 있습니다.
오염도도 기준치의 최고 24배에 이릅니다.
지난 4월 돌려받은 인근의 또 다른 기지.
자동차 정비소 옆을 파봤습니다.
정비소에서 나온 폐유 등으로 오염돼 흙이 이처럼 잿빛으로 변했습니다.
담장 넘어 경작지 근처까지 기름으로 오염된 상태입니다.
<인터뷰>유수호(중령/환경부 군부대 환경관리팀): "주변 지역에서 기름띠가 발견돼 신고가 들어와서 한차례 바이오 슬러핑을 한 지역입니다."
미군 측은 급박한 위협이 없을 경우 오염을 치유하지 않아도 된다는 한미 협정을 오염 상태를 그대로 둔 근거로 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군 측은 자신들이 처리하기로 했던 에어컨 실외기와 건축 폐자재 등도 그대로 놔둔 채 빠져나갔습니다.
반환 협상 과정 자체가 제대로 이뤄졌다고 보기 힘든 부분입니다.
<인터뷰>우원식(의원): "국회 미군기지청문회 조사단장 양측이 합의한 약속 자체도 이뤄지지 않은 것입니다. 국제 관계상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현재까지 돌려받은 23개 기지의 환경오염 치유 비용은 최대 천2백억 원.
앞으로 43개의 기지를 더 돌려받을 경우 우리가 부담해야 할 비용은 훨씬 불어나게 됩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염으로 얼룩진 ‘반환 미군기지’
-
- 입력 2007-06-14 21:23:33

<앵커 멘트>
반환된 미군기지 예상대로 오염상태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기름냄새가 코를 찌르고 흙의 색도 변했을 정도로 기름 범벅 그 자체였습니다.
박일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50여 년 동안 미군 공병대가 쓰다가 최근 돌려받은 캠프 에드워드.
땅속을 파봤습니다.
색깔은 멀쩡하지만 기름 냄새가 코를 찌릅니다.
<현장음>"기름 냄새가 확 나네요."
지하수 관정을 확인해봤습니다.
1미터짜리 탐침봉에 기름이 꽉 차서 올라옵니다.
<인터뷰>이상환(박사/한국농촌공사): "주변에 있던 기름이 이 관정으로 스며들어서 이렇게 쌓이게 된 거죠."
미군 측이 바이오 슬러핑, 즉 오염 치유를 했다고 통보한 기지지만 전체 면적의 8%는 여전히 기름과 아연 등에 오염돼 있습니다.
오염도도 기준치의 최고 24배에 이릅니다.
지난 4월 돌려받은 인근의 또 다른 기지.
자동차 정비소 옆을 파봤습니다.
정비소에서 나온 폐유 등으로 오염돼 흙이 이처럼 잿빛으로 변했습니다.
담장 넘어 경작지 근처까지 기름으로 오염된 상태입니다.
<인터뷰>유수호(중령/환경부 군부대 환경관리팀): "주변 지역에서 기름띠가 발견돼 신고가 들어와서 한차례 바이오 슬러핑을 한 지역입니다."
미군 측은 급박한 위협이 없을 경우 오염을 치유하지 않아도 된다는 한미 협정을 오염 상태를 그대로 둔 근거로 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군 측은 자신들이 처리하기로 했던 에어컨 실외기와 건축 폐자재 등도 그대로 놔둔 채 빠져나갔습니다.
반환 협상 과정 자체가 제대로 이뤄졌다고 보기 힘든 부분입니다.
<인터뷰>우원식(의원): "국회 미군기지청문회 조사단장 양측이 합의한 약속 자체도 이뤄지지 않은 것입니다. 국제 관계상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현재까지 돌려받은 23개 기지의 환경오염 치유 비용은 최대 천2백억 원.
앞으로 43개의 기지를 더 돌려받을 경우 우리가 부담해야 할 비용은 훨씬 불어나게 됩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
-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박일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