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FTA 7개 분야 ‘추가 협상’ 요구
입력 2007.06.16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미국이 FTA 추가 협상을 하자고 공식적으로 제의해왔습니다.
모두 7개 분야인데 핵심은 노동과 환경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국은 오늘 신 통상정책과 관련된 분야에 대해 추가협상을 요구해왔습니다.
우려했던 자동차와 개성공단 문제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미국이 요구한 추가협상 분야는 모두 7개지만 핵심은 노동과 환경분야입니다.
우선 두 나라가 국제노동기구, ILO가 선언한 노동자의 권리를 법과 관행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을 의무화했습니다.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권의 실질적 인정 등 5가집니다.
이 조항을 받아들일 경우 우리 정부가 복수노조를 금지하고, 공무원 노조의 파업권을 제한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권승복 (공무원 노조위원장) : "공무원노조 탄압은 국제노동기구의 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빨리 파업권을 인정하고 공무원노조를 인정해야"
노동과 환경 관련 의무를 위반할 경우 제재를 강화하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즉 무역보복까지 가능한 일반 분쟁해결 절차를 적용한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혜민 (한미 FTA 기획단장) : "제안내용을 관련부처와 합동으로 면밀 하게 검토해서 추가협상에 임할지 여부 를 결정할 것입니다."
다음주 목요일 웬디 커틀러 수석대표가 한국을 찾아 예비 협상을 벌입니다.
한미 두 나라가 협정문에 서명해야하는 시한은 이번 달 30일, 두 주밖에 남지 않은 만큼 추가협상은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현석입니다.
미국이 FTA 추가 협상을 하자고 공식적으로 제의해왔습니다.
모두 7개 분야인데 핵심은 노동과 환경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국은 오늘 신 통상정책과 관련된 분야에 대해 추가협상을 요구해왔습니다.
우려했던 자동차와 개성공단 문제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미국이 요구한 추가협상 분야는 모두 7개지만 핵심은 노동과 환경분야입니다.
우선 두 나라가 국제노동기구, ILO가 선언한 노동자의 권리를 법과 관행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을 의무화했습니다.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권의 실질적 인정 등 5가집니다.
이 조항을 받아들일 경우 우리 정부가 복수노조를 금지하고, 공무원 노조의 파업권을 제한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권승복 (공무원 노조위원장) : "공무원노조 탄압은 국제노동기구의 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빨리 파업권을 인정하고 공무원노조를 인정해야"
노동과 환경 관련 의무를 위반할 경우 제재를 강화하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즉 무역보복까지 가능한 일반 분쟁해결 절차를 적용한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혜민 (한미 FTA 기획단장) : "제안내용을 관련부처와 합동으로 면밀 하게 검토해서 추가협상에 임할지 여부 를 결정할 것입니다."
다음주 목요일 웬디 커틀러 수석대표가 한국을 찾아 예비 협상을 벌입니다.
한미 두 나라가 협정문에 서명해야하는 시한은 이번 달 30일, 두 주밖에 남지 않은 만큼 추가협상은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현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FTA 7개 분야 ‘추가 협상’ 요구
-
- 입력 2007-06-16 21:05:34

<앵커 멘트>
미국이 FTA 추가 협상을 하자고 공식적으로 제의해왔습니다.
모두 7개 분야인데 핵심은 노동과 환경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현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국은 오늘 신 통상정책과 관련된 분야에 대해 추가협상을 요구해왔습니다.
우려했던 자동차와 개성공단 문제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미국이 요구한 추가협상 분야는 모두 7개지만 핵심은 노동과 환경분야입니다.
우선 두 나라가 국제노동기구, ILO가 선언한 노동자의 권리를 법과 관행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을 의무화했습니다.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권의 실질적 인정 등 5가집니다.
이 조항을 받아들일 경우 우리 정부가 복수노조를 금지하고, 공무원 노조의 파업권을 제한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인터뷰> 권승복 (공무원 노조위원장) : "공무원노조 탄압은 국제노동기구의 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빨리 파업권을 인정하고 공무원노조를 인정해야"
노동과 환경 관련 의무를 위반할 경우 제재를 강화하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즉 무역보복까지 가능한 일반 분쟁해결 절차를 적용한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혜민 (한미 FTA 기획단장) : "제안내용을 관련부처와 합동으로 면밀 하게 검토해서 추가협상에 임할지 여부 를 결정할 것입니다."
다음주 목요일 웬디 커틀러 수석대표가 한국을 찾아 예비 협상을 벌입니다.
한미 두 나라가 협정문에 서명해야하는 시한은 이번 달 30일, 두 주밖에 남지 않은 만큼 추가협상은 속도감 있게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김현석입니다.
-
-
김현석 기자 bstone@kbs.co.kr
김현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韓-美 FTA 협상 타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