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우리나라의 생물표본은 물론 DNA를 영구히 보존하기 위한 생물자원관이 문을 열었습니다. 생물주권을 확보하는 첫 걸음입니다.
박일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는 구상나무.
지난 1905년 유럽으로 흘러나간 종자가 개량돼 인기 있는 크리스마스 트리로 팔리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아무런 권리도 없습니다.
이처럼 우리나라 고유종이 외국에서 상품화된 사례는 한둘이 아닙니다.
<인터뷰> 유태철(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장): "주장할 수 있는 표본도 확보하지 못했고 어떤 종이 어디로 나가서 누가 활용하고 있는 지에 대한 데이터도 없었습니다."
바로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문을 연 것이 국립생물자원관, 118만 점의 우리나라 자생종 표본을 보존해 생물자원의 주권을 확보하겠다는 것입니다.
<녹취> 노무현(대통령): "목표는 생물주권을 조기에 확립해 생물자원 강국으로 도약해가자는 것입니다."
지난 1999년 논의가 시작된 생물다양성협약이 결실을 맺을 경우 생물자원의 산업적 가치는 더욱 커지게 됩니다.
의약품과 에너지 등 생물자원을 이용한 산업의 시장규모가 오는 2017년에는 5천억~8천억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규용(환경부 장관): "어느 한 나라가 특정 생물에 대해 그 나라의 고유종으로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으면 주권, 즉 배타적 권리를 인정받게 됩니다."
정부는 앞으로 오는 2030년까지 500만 점의 표본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우리나라의 생물표본은 물론 DNA를 영구히 보존하기 위한 생물자원관이 문을 열었습니다. 생물주권을 확보하는 첫 걸음입니다.
박일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는 구상나무.
지난 1905년 유럽으로 흘러나간 종자가 개량돼 인기 있는 크리스마스 트리로 팔리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아무런 권리도 없습니다.
이처럼 우리나라 고유종이 외국에서 상품화된 사례는 한둘이 아닙니다.
<인터뷰> 유태철(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장): "주장할 수 있는 표본도 확보하지 못했고 어떤 종이 어디로 나가서 누가 활용하고 있는 지에 대한 데이터도 없었습니다."
바로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문을 연 것이 국립생물자원관, 118만 점의 우리나라 자생종 표본을 보존해 생물자원의 주권을 확보하겠다는 것입니다.
<녹취> 노무현(대통령): "목표는 생물주권을 조기에 확립해 생물자원 강국으로 도약해가자는 것입니다."
지난 1999년 논의가 시작된 생물다양성협약이 결실을 맺을 경우 생물자원의 산업적 가치는 더욱 커지게 됩니다.
의약품과 에너지 등 생물자원을 이용한 산업의 시장규모가 오는 2017년에는 5천억~8천억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규용(환경부 장관): "어느 한 나라가 특정 생물에 대해 그 나라의 고유종으로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으면 주권, 즉 배타적 권리를 인정받게 됩니다."
정부는 앞으로 오는 2030년까지 500만 점의 표본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물자원 주권선언…영구보존 나섰다
-
- 입력 2007-10-10 21:31:40

<앵커 멘트>
우리나라의 생물표본은 물론 DNA를 영구히 보존하기 위한 생물자원관이 문을 열었습니다. 생물주권을 확보하는 첫 걸음입니다.
박일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는 구상나무.
지난 1905년 유럽으로 흘러나간 종자가 개량돼 인기 있는 크리스마스 트리로 팔리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아무런 권리도 없습니다.
이처럼 우리나라 고유종이 외국에서 상품화된 사례는 한둘이 아닙니다.
<인터뷰> 유태철(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장): "주장할 수 있는 표본도 확보하지 못했고 어떤 종이 어디로 나가서 누가 활용하고 있는 지에 대한 데이터도 없었습니다."
바로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문을 연 것이 국립생물자원관, 118만 점의 우리나라 자생종 표본을 보존해 생물자원의 주권을 확보하겠다는 것입니다.
<녹취> 노무현(대통령): "목표는 생물주권을 조기에 확립해 생물자원 강국으로 도약해가자는 것입니다."
지난 1999년 논의가 시작된 생물다양성협약이 결실을 맺을 경우 생물자원의 산업적 가치는 더욱 커지게 됩니다.
의약품과 에너지 등 생물자원을 이용한 산업의 시장규모가 오는 2017년에는 5천억~8천억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규용(환경부 장관): "어느 한 나라가 특정 생물에 대해 그 나라의 고유종으로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으면 주권, 즉 배타적 권리를 인정받게 됩니다."
정부는 앞으로 오는 2030년까지 500만 점의 표본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
-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박일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