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② 중국 펀드 투자 ‘올인’ 주의…“분산투자 해야”
입력 2007.10.18 (22:23)
수정 2007.10.19 (1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러한 중국증시의 거품붕괴 우려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내에 불고 있는 중국펀드 투자열기는 가히 '광풍' 수준입니다.
전문가들은 위험을 낮추기위해선 분산투자를 해야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임승창 기자입니다.
<리포트>
요즘 펀드에 가입하려는 사람들의 관심은 온통 중국에 쏠려 있습니다.
<녹취> 은행 고객: "올림픽이 있잖습니까, 확실한 투자, 그러니까 지금 중국에 투자하는 거죠. 펀드를 잘 몰라도 확실한 수익률이 있으니까."
이런 저런 명복으로 은행 돈을 빌려서 무조건 중국펀드에 투자하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시중은행 관계자: "분산투자를 많이 권유해드리고 있는데도 중국에 대한 관심 부분이 아직 많이 있습니다."
문제는 최근 이런 중국 관련 펀드로의 쏠림 현상이 지나치다는 데 있습니다.
실제로 이달 들어 지난주까지 해외펀드에 투자된 돈은 9조4천억 원, 이 가운데 8조 원 가까이가 중국과 홍콩 증시에 투자됐습니다.
전체의 85%에 이릅니다.
일부 은행에서는 주의보까지 내렸습니다.
<녹취> 시중은행 관계자: "과열 우려가 있어서 고객들이 분산투자를 하도록 펀드 판매 직원교육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너무 한 곳에만 집중 투자할 경우 자칫 손해를 떠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현철(메리츠증권 연구위원): "중국 증시가 단기 급락을 하게 되면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위험이 그대로 노출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 분산투자하시는 게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방법입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투자 격언을 다시 한 번 깊이 되새겨봐야 할 때입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이러한 중국증시의 거품붕괴 우려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내에 불고 있는 중국펀드 투자열기는 가히 '광풍' 수준입니다.
전문가들은 위험을 낮추기위해선 분산투자를 해야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임승창 기자입니다.
<리포트>
요즘 펀드에 가입하려는 사람들의 관심은 온통 중국에 쏠려 있습니다.
<녹취> 은행 고객: "올림픽이 있잖습니까, 확실한 투자, 그러니까 지금 중국에 투자하는 거죠. 펀드를 잘 몰라도 확실한 수익률이 있으니까."
이런 저런 명복으로 은행 돈을 빌려서 무조건 중국펀드에 투자하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시중은행 관계자: "분산투자를 많이 권유해드리고 있는데도 중국에 대한 관심 부분이 아직 많이 있습니다."
문제는 최근 이런 중국 관련 펀드로의 쏠림 현상이 지나치다는 데 있습니다.
실제로 이달 들어 지난주까지 해외펀드에 투자된 돈은 9조4천억 원, 이 가운데 8조 원 가까이가 중국과 홍콩 증시에 투자됐습니다.
전체의 85%에 이릅니다.
일부 은행에서는 주의보까지 내렸습니다.
<녹취> 시중은행 관계자: "과열 우려가 있어서 고객들이 분산투자를 하도록 펀드 판매 직원교육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너무 한 곳에만 집중 투자할 경우 자칫 손해를 떠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현철(메리츠증권 연구위원): "중국 증시가 단기 급락을 하게 되면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위험이 그대로 노출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 분산투자하시는 게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방법입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투자 격언을 다시 한 번 깊이 되새겨봐야 할 때입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② 중국 펀드 투자 ‘올인’ 주의…“분산투자 해야”
-
- 입력 2007-10-18 21:07:29
- 수정2007-10-19 10:01:39

<앵커 멘트>
이러한 중국증시의 거품붕괴 우려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내에 불고 있는 중국펀드 투자열기는 가히 '광풍' 수준입니다.
전문가들은 위험을 낮추기위해선 분산투자를 해야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임승창 기자입니다.
<리포트>
요즘 펀드에 가입하려는 사람들의 관심은 온통 중국에 쏠려 있습니다.
<녹취> 은행 고객: "올림픽이 있잖습니까, 확실한 투자, 그러니까 지금 중국에 투자하는 거죠. 펀드를 잘 몰라도 확실한 수익률이 있으니까."
이런 저런 명복으로 은행 돈을 빌려서 무조건 중국펀드에 투자하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시중은행 관계자: "분산투자를 많이 권유해드리고 있는데도 중국에 대한 관심 부분이 아직 많이 있습니다."
문제는 최근 이런 중국 관련 펀드로의 쏠림 현상이 지나치다는 데 있습니다.
실제로 이달 들어 지난주까지 해외펀드에 투자된 돈은 9조4천억 원, 이 가운데 8조 원 가까이가 중국과 홍콩 증시에 투자됐습니다.
전체의 85%에 이릅니다.
일부 은행에서는 주의보까지 내렸습니다.
<녹취> 시중은행 관계자: "과열 우려가 있어서 고객들이 분산투자를 하도록 펀드 판매 직원교육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너무 한 곳에만 집중 투자할 경우 자칫 손해를 떠안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현철(메리츠증권 연구위원): "중국 증시가 단기 급락을 하게 되면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위험이 그대로 노출될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 분산투자하시는 게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방법입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투자 격언을 다시 한 번 깊이 되새겨봐야 할 때입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
임승창 기자 sclim@kbs.co.kr
임승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