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인천 도심지에 유연탄 화물열차까지 다니는 철로건설이 추진되면서 인근 주민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불과 10년 앞도 내다보지 못한 탁상행정의 산물입니다.
이미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수인선 건설에 반대하는 인천 연수구 주민 100여 명이 인천시 의회를 찾았습니다.
인천시 의회가 수인선의 설계용역비를 승인해 철로건설이 본격화된 데 따른 항의입니다.
철도청이 올 2004년까지 우선 건설하기로 한 수인선 구간은 연수에서 정왕 사이 11.3km, 이곳을 통과하는 전철은 하루 80회, 화물열차는 하루 14회에 이를 전망입니다.
문제는 이 열차들이 1만 7000여 세대, 8만여 명이 사는 인천의 대표적인 아파트 밀집지역에서 불과 70에서 100m 떨어진 곳을 가로지른다는 것입니다.
⊙주민(인천시 연수동): 인구가 이렇게 많은 사람을 집어 넣어놓고 철로를 화물차가 다니는 철로를 짓겠다는 발상 자체가...
⊙기자: 문제는 마구잡이 택지개발이었습니다.
일제시대 가설된 뒤 58년여 동안 협궤열차로 유명한 수인선.
이 철도가 철거되면서 지난 89년 연수지구 택지개발이 추진됐고 철로 예정부지를 따라 주거단지가 허용됐습니다.
결국 아파트 등이 앞다퉈 들어섰지만 철도와 주거단지 사이의 거리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주택 2백만호 건설이라는 대명제 아래 환경영향평가는 무시되다시피 했습니다.
⊙신문식(인천시 주택건설과장): 그 당시에는 환경영향평가라는 제도가 사실상 물론 제도적으로는 있었지만 정착이 안 돼 있는 그런 상태였었고 주민...
⊙기자: 하지만 철도청은 선로를 정비하는 데만 이미 232억원 이상 들어 선로 변경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박일하(철도청토목설계팀장): (노선변경, 지하화 등은) 사업비가 엄청나게 늘어 사업 타당성 여부가 불투명해집니다.
⊙기자: 국토개발이 우선이냐, 주민의 생활권 보장이 먼저냐는 해묵은 논쟁이 수인선 건설을 앞두고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미경입니다.
불과 10년 앞도 내다보지 못한 탁상행정의 산물입니다.
이미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수인선 건설에 반대하는 인천 연수구 주민 100여 명이 인천시 의회를 찾았습니다.
인천시 의회가 수인선의 설계용역비를 승인해 철로건설이 본격화된 데 따른 항의입니다.
철도청이 올 2004년까지 우선 건설하기로 한 수인선 구간은 연수에서 정왕 사이 11.3km, 이곳을 통과하는 전철은 하루 80회, 화물열차는 하루 14회에 이를 전망입니다.
문제는 이 열차들이 1만 7000여 세대, 8만여 명이 사는 인천의 대표적인 아파트 밀집지역에서 불과 70에서 100m 떨어진 곳을 가로지른다는 것입니다.
⊙주민(인천시 연수동): 인구가 이렇게 많은 사람을 집어 넣어놓고 철로를 화물차가 다니는 철로를 짓겠다는 발상 자체가...
⊙기자: 문제는 마구잡이 택지개발이었습니다.
일제시대 가설된 뒤 58년여 동안 협궤열차로 유명한 수인선.
이 철도가 철거되면서 지난 89년 연수지구 택지개발이 추진됐고 철로 예정부지를 따라 주거단지가 허용됐습니다.
결국 아파트 등이 앞다퉈 들어섰지만 철도와 주거단지 사이의 거리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주택 2백만호 건설이라는 대명제 아래 환경영향평가는 무시되다시피 했습니다.
⊙신문식(인천시 주택건설과장): 그 당시에는 환경영향평가라는 제도가 사실상 물론 제도적으로는 있었지만 정착이 안 돼 있는 그런 상태였었고 주민...
⊙기자: 하지만 철도청은 선로를 정비하는 데만 이미 232억원 이상 들어 선로 변경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박일하(철도청토목설계팀장): (노선변경, 지하화 등은) 사업비가 엄청나게 늘어 사업 타당성 여부가 불투명해집니다.
⊙기자: 국토개발이 우선이냐, 주민의 생활권 보장이 먼저냐는 해묵은 논쟁이 수인선 건설을 앞두고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미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추적>APT에 철도?
-
- 입력 2000-12-26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인천 도심지에 유연탄 화물열차까지 다니는 철로건설이 추진되면서 인근 주민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불과 10년 앞도 내다보지 못한 탁상행정의 산물입니다.
이미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수인선 건설에 반대하는 인천 연수구 주민 100여 명이 인천시 의회를 찾았습니다.
인천시 의회가 수인선의 설계용역비를 승인해 철로건설이 본격화된 데 따른 항의입니다.
철도청이 올 2004년까지 우선 건설하기로 한 수인선 구간은 연수에서 정왕 사이 11.3km, 이곳을 통과하는 전철은 하루 80회, 화물열차는 하루 14회에 이를 전망입니다.
문제는 이 열차들이 1만 7000여 세대, 8만여 명이 사는 인천의 대표적인 아파트 밀집지역에서 불과 70에서 100m 떨어진 곳을 가로지른다는 것입니다.
⊙주민(인천시 연수동): 인구가 이렇게 많은 사람을 집어 넣어놓고 철로를 화물차가 다니는 철로를 짓겠다는 발상 자체가...
⊙기자: 문제는 마구잡이 택지개발이었습니다.
일제시대 가설된 뒤 58년여 동안 협궤열차로 유명한 수인선.
이 철도가 철거되면서 지난 89년 연수지구 택지개발이 추진됐고 철로 예정부지를 따라 주거단지가 허용됐습니다.
결국 아파트 등이 앞다퉈 들어섰지만 철도와 주거단지 사이의 거리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주택 2백만호 건설이라는 대명제 아래 환경영향평가는 무시되다시피 했습니다.
⊙신문식(인천시 주택건설과장): 그 당시에는 환경영향평가라는 제도가 사실상 물론 제도적으로는 있었지만 정착이 안 돼 있는 그런 상태였었고 주민...
⊙기자: 하지만 철도청은 선로를 정비하는 데만 이미 232억원 이상 들어 선로 변경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박일하(철도청토목설계팀장): (노선변경, 지하화 등은) 사업비가 엄청나게 늘어 사업 타당성 여부가 불투명해집니다.
⊙기자: 국토개발이 우선이냐, 주민의 생활권 보장이 먼저냐는 해묵은 논쟁이 수인선 건설을 앞두고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미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