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해운 ‘비자금 사용처’ 검찰 수사 부실

입력 2008.02.22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전방위 감세 로비를 벌여온 S해운이 지난 2005년 검찰 수사에서 비자금 사용처라고 밝힌 내용중 상당 부분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KBS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검찰의 부실수사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탐사보도팀의 김덕원 기자가 단독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05년 검찰이 S해운에 대해 2백억원대의 비자금 사용처를 추궁하자 그 중 일부는 임직원들의 복리 후생비로 사용했다며 증거로 제출한 자료입니다.

지난 99년부터 2003년까지 회사 임원 10여명에게 50여차례 걸쳐 모두 13억여원을 준 것으로 돼 있습니다.

특별상여금 및 전세자금 지원으로 7천만원, 차량구입 지원으로 3천만원, 병원 치료비로 천만원 등 지급 내역이 구체적으로 적혀있습니다.

복리비를 받은 임원들의 자필 확인서도 첨부돼 있습니다.

그러나 한번에 수천만원씩의 거액이 비슷한 명목으로 반복해서 지원됐다는 것은 쉽게 납득하기 힘듭니다.

취재진은 1억원이 넘는 복리비를 받은 것으로 돼 있는 S해운 전직 임원을 만나 실제 돈을 받았는 지 여부를 물었습니다. 뜻 밖의 대답이 나옵니다.

<녹취> "(주택 구입비 지원이 있습니까?) 주택은... 저... 해주겠습니까? 주택은 금액도 큰 데..."

또 다른 전직 간부 역시 이런 형태의 복리비를 받은 적은 없다고 말합니다.

<전화 녹취> 전 S해운 간부: "아무 것도 못 받았습니다. 2천만원이 아니라 2백만원도 못 받고 나왔습니다."

돈을 받았다는 자필확인서는 회사 고위층의 요구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써 준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화 녹취> 전 S해운 간부: "써 달라고 하면 써줄 수 밖에 없는 입장이었습니다."

확인서를 쓴 시점은 비자금 사용처에 대한 검찰수사가 진행되던 시점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S해운 측이 로비자금 등 사용처를 밝히기 힘든 비자금의 지출 내역을 은폐하기 위해 허위 자료를 만들어 검찰에 제출했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복리비를 받은 것으로 돼 있는 임직원들을 상대로 실제 돈을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이들의 계좌 입출금 내역을 조사하면 쉽게 진위를 가릴 수도 있는 부분이었지만 당시 검찰은 S해운의 해명을 그대로 받아줬습니다.

S해운의 이른바 로비리스트 가운데 당시 검찰 고위관계자도 포함돼 있는 점이 부실했던 비자금 사용처 조사와 관련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편 S해운의 정관계 로비의혹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은 오늘 뇌물 전달책으로 지목된 권모씨를 구속하고, S해운 전무 김모씨에 대해 횡령 등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등 관련자에 대한 사법처리를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S해운 ‘비자금 사용처’ 검찰 수사 부실
    • 입력 2008-02-22 21:24:41
    뉴스 9
<앵커 멘트> 전방위 감세 로비를 벌여온 S해운이 지난 2005년 검찰 수사에서 비자금 사용처라고 밝힌 내용중 상당 부분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KBS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검찰의 부실수사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탐사보도팀의 김덕원 기자가 단독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05년 검찰이 S해운에 대해 2백억원대의 비자금 사용처를 추궁하자 그 중 일부는 임직원들의 복리 후생비로 사용했다며 증거로 제출한 자료입니다. 지난 99년부터 2003년까지 회사 임원 10여명에게 50여차례 걸쳐 모두 13억여원을 준 것으로 돼 있습니다. 특별상여금 및 전세자금 지원으로 7천만원, 차량구입 지원으로 3천만원, 병원 치료비로 천만원 등 지급 내역이 구체적으로 적혀있습니다. 복리비를 받은 임원들의 자필 확인서도 첨부돼 있습니다. 그러나 한번에 수천만원씩의 거액이 비슷한 명목으로 반복해서 지원됐다는 것은 쉽게 납득하기 힘듭니다. 취재진은 1억원이 넘는 복리비를 받은 것으로 돼 있는 S해운 전직 임원을 만나 실제 돈을 받았는 지 여부를 물었습니다. 뜻 밖의 대답이 나옵니다. <녹취> "(주택 구입비 지원이 있습니까?) 주택은... 저... 해주겠습니까? 주택은 금액도 큰 데..." 또 다른 전직 간부 역시 이런 형태의 복리비를 받은 적은 없다고 말합니다. <전화 녹취> 전 S해운 간부: "아무 것도 못 받았습니다. 2천만원이 아니라 2백만원도 못 받고 나왔습니다." 돈을 받았다는 자필확인서는 회사 고위층의 요구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써 준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화 녹취> 전 S해운 간부: "써 달라고 하면 써줄 수 밖에 없는 입장이었습니다." 확인서를 쓴 시점은 비자금 사용처에 대한 검찰수사가 진행되던 시점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S해운 측이 로비자금 등 사용처를 밝히기 힘든 비자금의 지출 내역을 은폐하기 위해 허위 자료를 만들어 검찰에 제출했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복리비를 받은 것으로 돼 있는 임직원들을 상대로 실제 돈을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이들의 계좌 입출금 내역을 조사하면 쉽게 진위를 가릴 수도 있는 부분이었지만 당시 검찰은 S해운의 해명을 그대로 받아줬습니다. S해운의 이른바 로비리스트 가운데 당시 검찰 고위관계자도 포함돼 있는 점이 부실했던 비자금 사용처 조사와 관련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편 S해운의 정관계 로비의혹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은 오늘 뇌물 전달책으로 지목된 권모씨를 구속하고, S해운 전무 김모씨에 대해 횡령 등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등 관련자에 대한 사법처리를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덕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