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많던’ 국정홍보처 역사 속으로

입력 2008.02.29 (20: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정홍보처가 오늘로 공식 폐지됐습니다.

기자실 통폐합 문제를 주도하면서 막강한 권력을 가졌었지만, 결국 타산지석의 사례로 남게됐습니다.

우수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늘 오전 9시 정부 조직법이 관보에 공포됨으로써, 국정홍보처는 정부 조직도에서 사라졌습니다.

공보처를 모태로 김대중 정부 시절인 99년 5월에 설립된 지 8년 여 만입니다.

국정홍보처의 해외홍보 기능은 문화체육관광부로 흡수되지만, 정부 홍보기능은 각 부처로 옮겨져 사실상 공중분해 됐습니다.

해외홍보원과 KTV는 현재대로 존속되지만, 본부 직원 2백여 명 가운데 백 여명만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보직을 받고, 나머지 인원은 기약없는 대기발령 상태입니다.

또 별정직 공무원 130여명은 8월 말까지 새 업무를 부여받지 못하면 공무원 신분을 잃게 됩니다.

<녹취> 국정홍보처 직원:"같이 일하는 동료중에서도 절반 정도는 나가야 유지가 되니까. 미루어 짐작이 되실거 같은데요. 기분이 꿀꿀하죠"

국정홍보처는 참여정부 때 1실 4단 20개팀으로 몸집을 불리며 막강한 실세로 부상해 이른바 "기자실 통폐합" 등 참여정부 언론정책을 주도했습니다.

이 때문에 홍보처는 '정권의 나팔수'라는 얘기를 들으며 집중 비판의 대상이 돼 오다 결국 역사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새 정부에서는 국정홍보를 총괄하는 부처 없이, 각 부처의 자율에 맡겼습니다.

기자실 복원 문제 등 취재의 효율성과 언론의 자유를 어떻게 높일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말 많던’ 국정홍보처 역사 속으로
    • 입력 2008-02-29 19:57:32
    뉴스타임
<앵커 멘트> 국정홍보처가 오늘로 공식 폐지됐습니다. 기자실 통폐합 문제를 주도하면서 막강한 권력을 가졌었지만, 결국 타산지석의 사례로 남게됐습니다. 우수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늘 오전 9시 정부 조직법이 관보에 공포됨으로써, 국정홍보처는 정부 조직도에서 사라졌습니다. 공보처를 모태로 김대중 정부 시절인 99년 5월에 설립된 지 8년 여 만입니다. 국정홍보처의 해외홍보 기능은 문화체육관광부로 흡수되지만, 정부 홍보기능은 각 부처로 옮겨져 사실상 공중분해 됐습니다. 해외홍보원과 KTV는 현재대로 존속되지만, 본부 직원 2백여 명 가운데 백 여명만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보직을 받고, 나머지 인원은 기약없는 대기발령 상태입니다. 또 별정직 공무원 130여명은 8월 말까지 새 업무를 부여받지 못하면 공무원 신분을 잃게 됩니다. <녹취> 국정홍보처 직원:"같이 일하는 동료중에서도 절반 정도는 나가야 유지가 되니까. 미루어 짐작이 되실거 같은데요. 기분이 꿀꿀하죠" 국정홍보처는 참여정부 때 1실 4단 20개팀으로 몸집을 불리며 막강한 실세로 부상해 이른바 "기자실 통폐합" 등 참여정부 언론정책을 주도했습니다. 이 때문에 홍보처는 '정권의 나팔수'라는 얘기를 들으며 집중 비판의 대상이 돼 오다 결국 역사속으로 사라졌습니다. 새 정부에서는 국정홍보를 총괄하는 부처 없이, 각 부처의 자율에 맡겼습니다. 기자실 복원 문제 등 취재의 효율성과 언론의 자유를 어떻게 높일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수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