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정부의 경제 운용 방향이 성장 위주에서 물가안정 쪽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특히 서민생활과 직결된 50개 품목은 부처별로 총력 관리해나간다는 계획입니다.
박일중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성장보다는 물가 관리가 중요하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어제 발언에 이어 기획재정부도 오늘 물가 관리의 시급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김규옥(기획재정부 대변인) : "현재의 시장상황에서 볼 때, 물가 대책이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라는 것에 대해서 인식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내일 확정 발표할 예정인 물가 관리 대상 50개 품목에 대한 관리도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단순히 물가지수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 부처가 몇개 씩 품목을 나눠 관리를 하겠다는 겁니다.
수급 조절은 물론 유통구조 개선에도 역점을 둘 계획입니다.
하지만 그 실효성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우선 농산물의 경우 정부가 관리할 수 있는 물량이 10% 정도로 제한돼 있습니다.
시간이 걸리는 유통구조 개선도 올해 말쯤에나 가시적인 성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단기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정부가 직접 가격을 통제할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차은영(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 "가격 통제는 오래 가기 어렵습니다. 언젠가 터지게 될 것이라는 인플레심리가 계속 살아있다면 물가를 잡는 것은 어렵습니다."
정부는 뒤늦게나마 성장보다는 물가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차례 가졌던 물가대책회의에서 비슷한 대책만 반복됐던 것을 보면 그 해결책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정부의 경제 운용 방향이 성장 위주에서 물가안정 쪽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특히 서민생활과 직결된 50개 품목은 부처별로 총력 관리해나간다는 계획입니다.
박일중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성장보다는 물가 관리가 중요하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어제 발언에 이어 기획재정부도 오늘 물가 관리의 시급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김규옥(기획재정부 대변인) : "현재의 시장상황에서 볼 때, 물가 대책이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라는 것에 대해서 인식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내일 확정 발표할 예정인 물가 관리 대상 50개 품목에 대한 관리도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단순히 물가지수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 부처가 몇개 씩 품목을 나눠 관리를 하겠다는 겁니다.
수급 조절은 물론 유통구조 개선에도 역점을 둘 계획입니다.
하지만 그 실효성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우선 농산물의 경우 정부가 관리할 수 있는 물량이 10% 정도로 제한돼 있습니다.
시간이 걸리는 유통구조 개선도 올해 말쯤에나 가시적인 성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단기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정부가 직접 가격을 통제할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차은영(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 "가격 통제는 오래 가기 어렵습니다. 언젠가 터지게 될 것이라는 인플레심리가 계속 살아있다면 물가를 잡는 것은 어렵습니다."
정부는 뒤늦게나마 성장보다는 물가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차례 가졌던 물가대책회의에서 비슷한 대책만 반복됐던 것을 보면 그 해결책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경제 운용 방향 ‘성장에서 안정으로’
-
- 입력 2008-03-24 21:05:39

<앵커 멘트>
정부의 경제 운용 방향이 성장 위주에서 물가안정 쪽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특히 서민생활과 직결된 50개 품목은 부처별로 총력 관리해나간다는 계획입니다.
박일중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성장보다는 물가 관리가 중요하다는 이명박 대통령의 어제 발언에 이어 기획재정부도 오늘 물가 관리의 시급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김규옥(기획재정부 대변인) : "현재의 시장상황에서 볼 때, 물가 대책이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라는 것에 대해서 인식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내일 확정 발표할 예정인 물가 관리 대상 50개 품목에 대한 관리도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단순히 물가지수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 부처가 몇개 씩 품목을 나눠 관리를 하겠다는 겁니다.
수급 조절은 물론 유통구조 개선에도 역점을 둘 계획입니다.
하지만 그 실효성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우선 농산물의 경우 정부가 관리할 수 있는 물량이 10% 정도로 제한돼 있습니다.
시간이 걸리는 유통구조 개선도 올해 말쯤에나 가시적인 성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단기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정부가 직접 가격을 통제할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차은영(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 "가격 통제는 오래 가기 어렵습니다. 언젠가 터지게 될 것이라는 인플레심리가 계속 살아있다면 물가를 잡는 것은 어렵습니다."
정부는 뒤늦게나마 성장보다는 물가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차례 가졌던 물가대책회의에서 비슷한 대책만 반복됐던 것을 보면 그 해결책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
-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박일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