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 취재] 동남아, 한국인과 결혼 중단
입력 2008.04.13 (21:57)
수정 2008.04.13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러다보니, 베트남에 이어 최근엔 캄보디아 정부까지 자국의 여성과 우리나라 남성과의 국제결혼을 전면 중단시켰습니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김철민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프놈펜 외곽의 한 호텔.
한국 교민이 운영하는 이 호텔에선 한국 총각과 캄보디아 신부의 결혼식이 날마다 열려 왔습니다.
그러나 요즘엔 손님들이 하나도 없습니다.
신랑, 신부들이 묶었던 객실들은 모두 텅텅 비었고,결혼식장도 썰렁한 분위깁니다.
<녹취>주동락(현지 호텔업체 대표):"보통 일주일에 7쌍 정도 진행했는데 3월 말부터 개점휴업.."
현지 언론들은 캄보디아 신부가 한국에서 온갖 폭력에 시달리고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폭행과 중노동으로 노예처럼 살았다는 현지 이혼여성의 경험담이 큼직하게 실렸습니다.
지난 4 년간 한국에 시집 온 캄보디아 신부는 약 2 천 3 백여 명..
4 년전 70 여명에서 지난해 천 7 백 50 여명으로 , 4 년만에 25 배나 폭증했습니다.
UN 등 국제기구들은 한국인과의 국제결혼 과정에 심각한 인권유린 사례가 많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국제결혼 진행 과정이 너무 빨라서 한국에 대해 잘 모른 채 결혼합니다.
이렇게 국제결혼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잇따르자 캄보디아 정부는 최근 자국여성들의 국제결혼을 전면 중단시켰습니다.
<녹취> 캄보디아(내무부 국장) : "구체적인 일정은 아직 모릅니다. (국제결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다시 회의를 열 예정입니다."
한국 대사관에는 결혼비자를 받으려는 현지 여성들이 늘 붐볐지만 , 요즘은 이렇게 개점 휴업입니다.
외국 신부들에 대한 보호 시스템이 정비되지 않으면 한국은 인권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할 것이라고 현지 교민들은 걱정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KBS 뉴스 김철민입니다.
이러다보니, 베트남에 이어 최근엔 캄보디아 정부까지 자국의 여성과 우리나라 남성과의 국제결혼을 전면 중단시켰습니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김철민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프놈펜 외곽의 한 호텔.
한국 교민이 운영하는 이 호텔에선 한국 총각과 캄보디아 신부의 결혼식이 날마다 열려 왔습니다.
그러나 요즘엔 손님들이 하나도 없습니다.
신랑, 신부들이 묶었던 객실들은 모두 텅텅 비었고,결혼식장도 썰렁한 분위깁니다.
<녹취>주동락(현지 호텔업체 대표):"보통 일주일에 7쌍 정도 진행했는데 3월 말부터 개점휴업.."
현지 언론들은 캄보디아 신부가 한국에서 온갖 폭력에 시달리고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폭행과 중노동으로 노예처럼 살았다는 현지 이혼여성의 경험담이 큼직하게 실렸습니다.
지난 4 년간 한국에 시집 온 캄보디아 신부는 약 2 천 3 백여 명..
4 년전 70 여명에서 지난해 천 7 백 50 여명으로 , 4 년만에 25 배나 폭증했습니다.
UN 등 국제기구들은 한국인과의 국제결혼 과정에 심각한 인권유린 사례가 많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국제결혼 진행 과정이 너무 빨라서 한국에 대해 잘 모른 채 결혼합니다.
이렇게 국제결혼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잇따르자 캄보디아 정부는 최근 자국여성들의 국제결혼을 전면 중단시켰습니다.
<녹취> 캄보디아(내무부 국장) : "구체적인 일정은 아직 모릅니다. (국제결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다시 회의를 열 예정입니다."
한국 대사관에는 결혼비자를 받으려는 현지 여성들이 늘 붐볐지만 , 요즘은 이렇게 개점 휴업입니다.
외국 신부들에 대한 보호 시스템이 정비되지 않으면 한국은 인권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할 것이라고 현지 교민들은 걱정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KBS 뉴스 김철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 취재] 동남아, 한국인과 결혼 중단
-
- 입력 2008-04-13 21:01:26
- 수정2008-04-13 22:01:15

<앵커 멘트>
이러다보니, 베트남에 이어 최근엔 캄보디아 정부까지 자국의 여성과 우리나라 남성과의 국제결혼을 전면 중단시켰습니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김철민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프놈펜 외곽의 한 호텔.
한국 교민이 운영하는 이 호텔에선 한국 총각과 캄보디아 신부의 결혼식이 날마다 열려 왔습니다.
그러나 요즘엔 손님들이 하나도 없습니다.
신랑, 신부들이 묶었던 객실들은 모두 텅텅 비었고,결혼식장도 썰렁한 분위깁니다.
<녹취>주동락(현지 호텔업체 대표):"보통 일주일에 7쌍 정도 진행했는데 3월 말부터 개점휴업.."
현지 언론들은 캄보디아 신부가 한국에서 온갖 폭력에 시달리고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폭행과 중노동으로 노예처럼 살았다는 현지 이혼여성의 경험담이 큼직하게 실렸습니다.
지난 4 년간 한국에 시집 온 캄보디아 신부는 약 2 천 3 백여 명..
4 년전 70 여명에서 지난해 천 7 백 50 여명으로 , 4 년만에 25 배나 폭증했습니다.
UN 등 국제기구들은 한국인과의 국제결혼 과정에 심각한 인권유린 사례가 많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국제결혼 진행 과정이 너무 빨라서 한국에 대해 잘 모른 채 결혼합니다.
이렇게 국제결혼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잇따르자 캄보디아 정부는 최근 자국여성들의 국제결혼을 전면 중단시켰습니다.
<녹취> 캄보디아(내무부 국장) : "구체적인 일정은 아직 모릅니다. (국제결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다시 회의를 열 예정입니다."
한국 대사관에는 결혼비자를 받으려는 현지 여성들이 늘 붐볐지만 , 요즘은 이렇게 개점 휴업입니다.
외국 신부들에 대한 보호 시스템이 정비되지 않으면 한국은 인권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할 것이라고 현지 교민들은 걱정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KBS 뉴스 김철민입니다.
-
-
김철민 기자 kimmin@kbs.co.kr
김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