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추적] 허울 뿐인 ‘과일 당도’ 마케팅
입력 2008.04.26 (21:38)
수정 2008.04.26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과일 고를때 '당도'를 보고 고르는 분들, 많으시죠. 과일에 찍힌 당도 표시, 과연 믿을만 한지 송수진 기자가 자세히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과일을 고르는 소비자들의 기준이 크기 보다는 맛 쪽으로 옮겨가면서 같은 사과라도 이젠 '당도'에 따라 가격이 두 배나 차이가 납니다.
<인터뷰> 강미숙(경남 창원시 상남동) : "과일을 고를 때는 가격이나 크기로 골랐는데 지금은 기왕에 맛있는 것, 당도가 높은 걸 고른거든요."
당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커지고 있지만 당도 마케팅에 대한 산지의 준비는 아직 걸음마 수준입니다.
경남의 한 수박 선별장, 이 검사기를 통과하면 수박의 당도가 숫자로 표시됩니다.
하지만 측정만 할 뿐 당도별로 분류는 하지 않습니다.
<인터뷰> 관계자 : "(당도) 11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을 겁니다. (10도 던데요?) 10도는 스티커를 안 붙일 건데요. 뭔가 잘못된 거 같은데..."
'당도' 관리가 안 되는 이유는 측정기의 정확도가 70%를 밑돌아 신뢰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더욱이 이 사과와 배 등은 최상품이라는 뜻의 '특' 표시를 했지만 당도는 적어 놓지않은 것도 많아 소비자가 품질을 알 길이 없습니다.
일부 과일은 경매 과정에서도 당도는 뒷전이라고 관계자들은 말합니다.
<인터뷰> 경매사 : "크기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500g 이상이면 특품, 500g 이하면 상품으로 나눠지죠."
정부가 FTA의 파고를 넘을 수 있는 차세대 경쟁력이라고 강조하는 당도, 하지만 관리가 제대로 않돼 소비자들의 혼란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송수진입니다.
요즘 과일 고를때 '당도'를 보고 고르는 분들, 많으시죠. 과일에 찍힌 당도 표시, 과연 믿을만 한지 송수진 기자가 자세히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과일을 고르는 소비자들의 기준이 크기 보다는 맛 쪽으로 옮겨가면서 같은 사과라도 이젠 '당도'에 따라 가격이 두 배나 차이가 납니다.
<인터뷰> 강미숙(경남 창원시 상남동) : "과일을 고를 때는 가격이나 크기로 골랐는데 지금은 기왕에 맛있는 것, 당도가 높은 걸 고른거든요."
당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커지고 있지만 당도 마케팅에 대한 산지의 준비는 아직 걸음마 수준입니다.
경남의 한 수박 선별장, 이 검사기를 통과하면 수박의 당도가 숫자로 표시됩니다.
하지만 측정만 할 뿐 당도별로 분류는 하지 않습니다.
<인터뷰> 관계자 : "(당도) 11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을 겁니다. (10도 던데요?) 10도는 스티커를 안 붙일 건데요. 뭔가 잘못된 거 같은데..."
'당도' 관리가 안 되는 이유는 측정기의 정확도가 70%를 밑돌아 신뢰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더욱이 이 사과와 배 등은 최상품이라는 뜻의 '특' 표시를 했지만 당도는 적어 놓지않은 것도 많아 소비자가 품질을 알 길이 없습니다.
일부 과일은 경매 과정에서도 당도는 뒷전이라고 관계자들은 말합니다.
<인터뷰> 경매사 : "크기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500g 이상이면 특품, 500g 이하면 상품으로 나눠지죠."
정부가 FTA의 파고를 넘을 수 있는 차세대 경쟁력이라고 강조하는 당도, 하지만 관리가 제대로 않돼 소비자들의 혼란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송수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추적] 허울 뿐인 ‘과일 당도’ 마케팅
-
- 입력 2008-04-26 21:13:53
- 수정2008-04-26 22:10:22

<앵커 멘트>
요즘 과일 고를때 '당도'를 보고 고르는 분들, 많으시죠. 과일에 찍힌 당도 표시, 과연 믿을만 한지 송수진 기자가 자세히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과일을 고르는 소비자들의 기준이 크기 보다는 맛 쪽으로 옮겨가면서 같은 사과라도 이젠 '당도'에 따라 가격이 두 배나 차이가 납니다.
<인터뷰> 강미숙(경남 창원시 상남동) : "과일을 고를 때는 가격이나 크기로 골랐는데 지금은 기왕에 맛있는 것, 당도가 높은 걸 고른거든요."
당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은 커지고 있지만 당도 마케팅에 대한 산지의 준비는 아직 걸음마 수준입니다.
경남의 한 수박 선별장, 이 검사기를 통과하면 수박의 당도가 숫자로 표시됩니다.
하지만 측정만 할 뿐 당도별로 분류는 하지 않습니다.
<인터뷰> 관계자 : "(당도) 11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을 겁니다. (10도 던데요?) 10도는 스티커를 안 붙일 건데요. 뭔가 잘못된 거 같은데..."
'당도' 관리가 안 되는 이유는 측정기의 정확도가 70%를 밑돌아 신뢰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더욱이 이 사과와 배 등은 최상품이라는 뜻의 '특' 표시를 했지만 당도는 적어 놓지않은 것도 많아 소비자가 품질을 알 길이 없습니다.
일부 과일은 경매 과정에서도 당도는 뒷전이라고 관계자들은 말합니다.
<인터뷰> 경매사 : "크기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500g 이상이면 특품, 500g 이하면 상품으로 나눠지죠."
정부가 FTA의 파고를 넘을 수 있는 차세대 경쟁력이라고 강조하는 당도, 하지만 관리가 제대로 않돼 소비자들의 혼란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송수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