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이런 마찰이 끊이지 않는데다 지자체의 허술한 용역원 관리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모든 관리를 용역업체에게 맡긴채 거의 손을 놓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최형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울시의 노점 대책이 강경 일색으로 급선회한 건 지난해 2월부터입니다.
2010년 디자인 수도 선정을 앞두고 불법 노점상을 완전히 뿌리뽑겠다며 전면전을 선언했습니다.
현장 단속 인력을 크게 늘렸지만 이 모두를 용역업체에 맡겼습니다.
공무원은 아니지만 공무를 집행하는 터라 최소한의 자질 검증이 필요하지만 신원 조회 조차 하지 않는 게 현실입니다.
<녹취> 용역업체 관계자 : "전과 조회 같은 건 별도로 할 수 있는 제도가 없잖습니까. 별도로 신원조회를 할 순 없죠."
용역업체나 지자체나 단속 요원들에 대한 별도의 교육 없이 현장에 투입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단속원 교육 지침, 복장이나 근무시간 같은 원칙적인 얘기 뿐 구체적인 단속 요령은 찾아 볼수없습니다.
서울시에서 노점상 단속 업무를 감독하는 공무원은 단 2명에 불과합니다.
<인터뷰> 김병환(가로환경개선담당관) :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보니 관리상 허점이 있다는 건 인정합니다."
서울시는 이처럼 용역원 관리를 허술하게 하면서 노점 단속 인센티브를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늘리는 등 실적에만 급급해 무리한 단속을 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최형원입니다.
이런 마찰이 끊이지 않는데다 지자체의 허술한 용역원 관리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모든 관리를 용역업체에게 맡긴채 거의 손을 놓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최형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울시의 노점 대책이 강경 일색으로 급선회한 건 지난해 2월부터입니다.
2010년 디자인 수도 선정을 앞두고 불법 노점상을 완전히 뿌리뽑겠다며 전면전을 선언했습니다.
현장 단속 인력을 크게 늘렸지만 이 모두를 용역업체에 맡겼습니다.
공무원은 아니지만 공무를 집행하는 터라 최소한의 자질 검증이 필요하지만 신원 조회 조차 하지 않는 게 현실입니다.
<녹취> 용역업체 관계자 : "전과 조회 같은 건 별도로 할 수 있는 제도가 없잖습니까. 별도로 신원조회를 할 순 없죠."
용역업체나 지자체나 단속 요원들에 대한 별도의 교육 없이 현장에 투입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단속원 교육 지침, 복장이나 근무시간 같은 원칙적인 얘기 뿐 구체적인 단속 요령은 찾아 볼수없습니다.
서울시에서 노점상 단속 업무를 감독하는 공무원은 단 2명에 불과합니다.
<인터뷰> 김병환(가로환경개선담당관) :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보니 관리상 허점이 있다는 건 인정합니다."
서울시는 이처럼 용역원 관리를 허술하게 하면서 노점 단속 인센티브를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늘리는 등 실적에만 급급해 무리한 단속을 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최형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② ‘주먹구구’ 용역 관리, 대책 없나?
-
- 입력 2008-05-22 21:19:12

<앵커 멘트>
이런 마찰이 끊이지 않는데다 지자체의 허술한 용역원 관리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모든 관리를 용역업체에게 맡긴채 거의 손을 놓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최형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울시의 노점 대책이 강경 일색으로 급선회한 건 지난해 2월부터입니다.
2010년 디자인 수도 선정을 앞두고 불법 노점상을 완전히 뿌리뽑겠다며 전면전을 선언했습니다.
현장 단속 인력을 크게 늘렸지만 이 모두를 용역업체에 맡겼습니다.
공무원은 아니지만 공무를 집행하는 터라 최소한의 자질 검증이 필요하지만 신원 조회 조차 하지 않는 게 현실입니다.
<녹취> 용역업체 관계자 : "전과 조회 같은 건 별도로 할 수 있는 제도가 없잖습니까. 별도로 신원조회를 할 순 없죠."
용역업체나 지자체나 단속 요원들에 대한 별도의 교육 없이 현장에 투입하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단속원 교육 지침, 복장이나 근무시간 같은 원칙적인 얘기 뿐 구체적인 단속 요령은 찾아 볼수없습니다.
서울시에서 노점상 단속 업무를 감독하는 공무원은 단 2명에 불과합니다.
<인터뷰> 김병환(가로환경개선담당관) :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보니 관리상 허점이 있다는 건 인정합니다."
서울시는 이처럼 용역원 관리를 허술하게 하면서 노점 단속 인센티브를 지난해보다 2배 이상 늘리는 등 실적에만 급급해 무리한 단속을 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최형원입니다.
-
-
최형원 기자 roediec@kbs.co.kr
최형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