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그 이후…‘금메달’의 그늘
입력 2008.09.02 (21:57)
수정 2008.09.02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감동과 환희를 안겨준 역대 올림픽의 금메달리스트는 과연 은퇴후에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요?
KBS가 설문조사한 결과 대부분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재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하이라이트 김재엽 금메달 서울 올림픽 유도 영웅 김재엽씨, 은퇴 후 개인 사업을 시작했지만 몇년 못가 접어야했습니다.
유도외엔 할 수 있는 일이 없었기때문입니다.
사회 적응에 실패하고, 가정불화까지 겹쳐 좌절에 빠진 김씨는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한강다리에서 운전대를 꺾었습니다.
<인터뷰> 김재엽 : "송충이는 솔잎을 먹어야 해요 모르는 분야에서 하다보니 경험도 없고 비지니스하는사람들은 그걸 이용하죠."
부상 투혼 끝에 금메달의 영웅으로 각광받던 한명우씨도 은퇴 후 힘겨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코치 자리를 잡지 못한 한씨는 소속 회사의 철거대책반으로 투입됐습니다.
<인터뷰> 한명우 : "저 사람들이 나 올림픽 금메달 딸 때 박수치고 울어줬는데 내가 저 사람들을 여기서 막고 같이 싸움하고 밀고 땡길 때 내가 회의를 느끼죠. 아 내가 여기 있을 자리가 아니구나..."
KBS가 역대 금메달리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은퇴 후 스포츠 지도자로 남은 선수는 32%에 불과했습니다.
이들 스포츠영웅들은 또 사회 적응을 위한 교육은 아무도 받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이에따라 지금의 선수 육성체계를 개선해야한다는 데 한 목소리로 답했습니다.
<인터뷰> 김광선(서울 올림픽 복싱 금메달리스트) : "엘리트 체육에만 힘을 쓸려면 아예 큰 돈을 주든가 아니면 학교도 보내야죠. 선수가 자립할 수 있게끔..."
이제는 한국 스포츠도 선수들의 삶과 미래를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 우리 스포츠 영웅들의 공통된 목소리입니다.
KBS 뉴스 정재용입니다.
감동과 환희를 안겨준 역대 올림픽의 금메달리스트는 과연 은퇴후에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요?
KBS가 설문조사한 결과 대부분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재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하이라이트 김재엽 금메달 서울 올림픽 유도 영웅 김재엽씨, 은퇴 후 개인 사업을 시작했지만 몇년 못가 접어야했습니다.
유도외엔 할 수 있는 일이 없었기때문입니다.
사회 적응에 실패하고, 가정불화까지 겹쳐 좌절에 빠진 김씨는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한강다리에서 운전대를 꺾었습니다.
<인터뷰> 김재엽 : "송충이는 솔잎을 먹어야 해요 모르는 분야에서 하다보니 경험도 없고 비지니스하는사람들은 그걸 이용하죠."
부상 투혼 끝에 금메달의 영웅으로 각광받던 한명우씨도 은퇴 후 힘겨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코치 자리를 잡지 못한 한씨는 소속 회사의 철거대책반으로 투입됐습니다.
<인터뷰> 한명우 : "저 사람들이 나 올림픽 금메달 딸 때 박수치고 울어줬는데 내가 저 사람들을 여기서 막고 같이 싸움하고 밀고 땡길 때 내가 회의를 느끼죠. 아 내가 여기 있을 자리가 아니구나..."
KBS가 역대 금메달리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은퇴 후 스포츠 지도자로 남은 선수는 32%에 불과했습니다.
이들 스포츠영웅들은 또 사회 적응을 위한 교육은 아무도 받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이에따라 지금의 선수 육성체계를 개선해야한다는 데 한 목소리로 답했습니다.
<인터뷰> 김광선(서울 올림픽 복싱 금메달리스트) : "엘리트 체육에만 힘을 쓸려면 아예 큰 돈을 주든가 아니면 학교도 보내야죠. 선수가 자립할 수 있게끔..."
이제는 한국 스포츠도 선수들의 삶과 미래를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 우리 스포츠 영웅들의 공통된 목소리입니다.
KBS 뉴스 정재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올림픽 그 이후…‘금메달’의 그늘
-
- 입력 2008-09-02 21:25:46
- 수정2008-09-02 22:07:06

<앵커 멘트>
감동과 환희를 안겨준 역대 올림픽의 금메달리스트는 과연 은퇴후에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요?
KBS가 설문조사한 결과 대부분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재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하이라이트 김재엽 금메달 서울 올림픽 유도 영웅 김재엽씨, 은퇴 후 개인 사업을 시작했지만 몇년 못가 접어야했습니다.
유도외엔 할 수 있는 일이 없었기때문입니다.
사회 적응에 실패하고, 가정불화까지 겹쳐 좌절에 빠진 김씨는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한강다리에서 운전대를 꺾었습니다.
<인터뷰> 김재엽 : "송충이는 솔잎을 먹어야 해요 모르는 분야에서 하다보니 경험도 없고 비지니스하는사람들은 그걸 이용하죠."
부상 투혼 끝에 금메달의 영웅으로 각광받던 한명우씨도 은퇴 후 힘겨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코치 자리를 잡지 못한 한씨는 소속 회사의 철거대책반으로 투입됐습니다.
<인터뷰> 한명우 : "저 사람들이 나 올림픽 금메달 딸 때 박수치고 울어줬는데 내가 저 사람들을 여기서 막고 같이 싸움하고 밀고 땡길 때 내가 회의를 느끼죠. 아 내가 여기 있을 자리가 아니구나..."
KBS가 역대 금메달리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은퇴 후 스포츠 지도자로 남은 선수는 32%에 불과했습니다.
이들 스포츠영웅들은 또 사회 적응을 위한 교육은 아무도 받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
이에따라 지금의 선수 육성체계를 개선해야한다는 데 한 목소리로 답했습니다.
<인터뷰> 김광선(서울 올림픽 복싱 금메달리스트) : "엘리트 체육에만 힘을 쓸려면 아예 큰 돈을 주든가 아니면 학교도 보내야죠. 선수가 자립할 수 있게끔..."
이제는 한국 스포츠도 선수들의 삶과 미래를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 우리 스포츠 영웅들의 공통된 목소리입니다.
KBS 뉴스 정재용입니다.
-
-
정재용 기자 spoyong@kbs.co.kr
정재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