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 9.11 이후 최대 폭락

입력 2008.09.16 (18: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위기의 도화선은 뉴욕 월가에서 날아온 초대형 악재였습니다.

세계적인 투자증권사 리먼브러더스사의 파산보호신청과 메릴린치사의 전격 매각 등, 월스트리트 발 금융위기로 뉴욕 증시가 9.11사태 이후 최대치로 폭락했습니다.

세계 각국의 금융시장도 미국발 금융위기로 일제히 주가가 폭락하면서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소현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 4대 투자은행인 리먼브러더스사의 파산보호신청에, 뒤이어 터져나온 미 3대 투자은행인 메릴린치사의 전격 매각 등, 미 월스트리트 발 핵폭풍 앞에 미 증시가 초토화됐습니다.

다우지수는 오늘 하루 지난주 종가보다 무려 504.48 포인트 4.42%가 떨어진 10.917.51을 기록했습니다.

500포인트가 넘는 하락폭은 9.11 사태 직후인 2001년 9월 17일 이후 최대칩니다.

또 지난 1987년 주가 대폭락사태인 `블랙 먼데이' 당시 508포인트와 맞먹는 하락폭입니다.

나스닥도 3.6%가 내렸고, 스탠더드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도 4.65%나 급락했습니다.

오늘 증시는 미 금융당국이 위기를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해 장중 한때 낙폭이 줄기도 했지만, 장 막판 리먼브러더스의 청산을 위해선 6천억 달러 이상의 자금이 추가로 소요될 것이란 분석이 나오면서 사상 최대의 낙폭을 기록한채 마감됐습니다.

<인터뷰> 샘 스토발 (투자 분석가) : "지금의 문제는 유동성이 아니라 신뢰의 위깁니다. 정부는 금융이 제대로 돌아간다는 신뢰를 줘야 합니다"

미국발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유럽, 중국, 인도는 물론 그동안 비교적 안정세를 보여 왔던 호주와 뉴질랜드의 주가도 일제히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특히 이번 사태가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연쇄 파산의 시작일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면서 세계 각국이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소현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증시 9.11 이후 최대 폭락
    • 입력 2008-09-16 17:48:48
    6시 뉴스타임
<앵커 멘트> 위기의 도화선은 뉴욕 월가에서 날아온 초대형 악재였습니다. 세계적인 투자증권사 리먼브러더스사의 파산보호신청과 메릴린치사의 전격 매각 등, 월스트리트 발 금융위기로 뉴욕 증시가 9.11사태 이후 최대치로 폭락했습니다. 세계 각국의 금융시장도 미국발 금융위기로 일제히 주가가 폭락하면서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소현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 4대 투자은행인 리먼브러더스사의 파산보호신청에, 뒤이어 터져나온 미 3대 투자은행인 메릴린치사의 전격 매각 등, 미 월스트리트 발 핵폭풍 앞에 미 증시가 초토화됐습니다. 다우지수는 오늘 하루 지난주 종가보다 무려 504.48 포인트 4.42%가 떨어진 10.917.51을 기록했습니다. 500포인트가 넘는 하락폭은 9.11 사태 직후인 2001년 9월 17일 이후 최대칩니다. 또 지난 1987년 주가 대폭락사태인 `블랙 먼데이' 당시 508포인트와 맞먹는 하락폭입니다. 나스닥도 3.6%가 내렸고, 스탠더드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도 4.65%나 급락했습니다. 오늘 증시는 미 금융당국이 위기를 좌시하지 않겠다고 강조해 장중 한때 낙폭이 줄기도 했지만, 장 막판 리먼브러더스의 청산을 위해선 6천억 달러 이상의 자금이 추가로 소요될 것이란 분석이 나오면서 사상 최대의 낙폭을 기록한채 마감됐습니다. <인터뷰> 샘 스토발 (투자 분석가) : "지금의 문제는 유동성이 아니라 신뢰의 위깁니다. 정부는 금융이 제대로 돌아간다는 신뢰를 줘야 합니다" 미국발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유럽, 중국, 인도는 물론 그동안 비교적 안정세를 보여 왔던 호주와 뉴질랜드의 주가도 일제히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특히 이번 사태가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연쇄 파산의 시작일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면서 세계 각국이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소현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