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 스트레스’ 청소년 정신질환 급증
입력 2008.09.18 (21:48)
수정 2008.09.18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청소년의 정신 질환이 최근 급증하고 있지만 진료조차 안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교와 학부모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고은선 의학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빽빽한 학원 간판 사이로 소아 정신과가 눈에 띕니다.
이 병원의 경우 우울증이나 불안증 때문에 찾아오는 청소년만 하루에 스무 명이 넘습니다.
<인터뷰> 조재일(정신과 전문의) : "아이들한테서 나타나는 정신질환의 특징은 어른과 달리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있습니다. 과도한 학업이라든지, 친구관계에서 생기는 여러가지 스트레스..."
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해 초.중.고등학생 3만 천 명을 조사한 결과, 16%가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어 정밀 검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정밀검사가 필요하다고 조사된 학생 중 실제로 정밀 검진을 한 학생은 35%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이처럼 정밀 검진이 이뤄지지 않는 것은 학부보들이 정신질환 치료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고 기피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 김춘진(국회의원) : "학생들의 정신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여기에 따른 적극적인 대책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지난 5년간, 18세 미만 정신질환 환자 수가 89% 늘어 지난해만 27만 3천여 명에 이르렀습니다.
정신질환은 조기에 치료하지 않을 경우 자칫 비행이나 자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사춘기 반항으로 오해하기 쉬운 청소년 정신질환, 이제는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할 땝니다.
KBS 뉴스 고은선입니다.
청소년의 정신 질환이 최근 급증하고 있지만 진료조차 안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교와 학부모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고은선 의학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빽빽한 학원 간판 사이로 소아 정신과가 눈에 띕니다.
이 병원의 경우 우울증이나 불안증 때문에 찾아오는 청소년만 하루에 스무 명이 넘습니다.
<인터뷰> 조재일(정신과 전문의) : "아이들한테서 나타나는 정신질환의 특징은 어른과 달리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있습니다. 과도한 학업이라든지, 친구관계에서 생기는 여러가지 스트레스..."
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해 초.중.고등학생 3만 천 명을 조사한 결과, 16%가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어 정밀 검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정밀검사가 필요하다고 조사된 학생 중 실제로 정밀 검진을 한 학생은 35%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이처럼 정밀 검진이 이뤄지지 않는 것은 학부보들이 정신질환 치료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고 기피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 김춘진(국회의원) : "학생들의 정신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여기에 따른 적극적인 대책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지난 5년간, 18세 미만 정신질환 환자 수가 89% 늘어 지난해만 27만 3천여 명에 이르렀습니다.
정신질환은 조기에 치료하지 않을 경우 자칫 비행이나 자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사춘기 반항으로 오해하기 쉬운 청소년 정신질환, 이제는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할 땝니다.
KBS 뉴스 고은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학업 스트레스’ 청소년 정신질환 급증
-
- 입력 2008-09-18 21:16:28
- 수정2008-09-18 22:12:53

<앵커 멘트>
청소년의 정신 질환이 최근 급증하고 있지만 진료조차 안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교와 학부모의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고은선 의학전문기자입니다.
<리포트>
빽빽한 학원 간판 사이로 소아 정신과가 눈에 띕니다.
이 병원의 경우 우울증이나 불안증 때문에 찾아오는 청소년만 하루에 스무 명이 넘습니다.
<인터뷰> 조재일(정신과 전문의) : "아이들한테서 나타나는 정신질환의 특징은 어른과 달리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있습니다. 과도한 학업이라든지, 친구관계에서 생기는 여러가지 스트레스..."
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해 초.중.고등학생 3만 천 명을 조사한 결과, 16%가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어 정밀 검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정밀검사가 필요하다고 조사된 학생 중 실제로 정밀 검진을 한 학생은 35% 정도에 불과했습니다.
이처럼 정밀 검진이 이뤄지지 않는 것은 학부보들이 정신질환 치료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고 기피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 김춘진(국회의원) : "학생들의 정신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여기에 따른 적극적인 대책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지난 5년간, 18세 미만 정신질환 환자 수가 89% 늘어 지난해만 27만 3천여 명에 이르렀습니다.
정신질환은 조기에 치료하지 않을 경우 자칫 비행이나 자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사춘기 반항으로 오해하기 쉬운 청소년 정신질환, 이제는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할 땝니다.
KBS 뉴스 고은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