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정부가 분당 면적의 16배에 이르는 그린벨트를 해제하기로 했습니다.
서민용 주택용지와 산업용지를 확보하기 위해선데, 논란도 적지 않습니다.
박은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이번에 풀기로 한 그린벨트 면적은 최대 308.5㎢.
서울 전체 면적의 절반 정도 크기로 오는 2020년까지 서민용주거와 산업단지를 위한 용지로 공급하겠다는게 정부 계획입니다.
<녹취> 권도엽(국토해양부 차관) : "해제대상 지역은 개발제한 구역으로 보전가치가 낮은 환경평가 결과 3내지 5등급지 위주로 선정하되..."
그린벨트는 지난 1970년대에 5천여㎢가 지정됐지만, 99년 이후 전체 그린벨트의 27%가 해제됐고, 이번 발표로 5.7%가 추가로 개발제한에서 풀리게 됩니다.
정부는 그린벨트를 풀어서라도 서민용 주택을 공급해야 한다고 여러차례 강조해왔지만 이번 발표에선 산업용지에 더 많은 면적이 할애됐습니다.
9.19대책에서 예고한 보금자리 주택용지는 80㎢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산업단지용입니다.
또 해제지역의 절반 가까이가 수도권에 편중돼 있고, 서민들을 위한 임대주택 건설 비율은 30내지 40%로 낮아집니다.
우량농지도 해제할 수 있도록 해 환경 파괴 논란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남은경(경실련 도시개혁센터 부장) : "우량농지인 1,2등급을 해제할 수 있는 길을 열어둠으로써 그린벨트를 보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원칙과 기준이 무너졌습니다."
지난 98년 처음으로 그린벨트 해제가 검토됐을 때와 달리, 정부는 단 한번의 여론수렴 절차도 거치지 않고 있어 추후 논란은 불가피해보입니다.
KBS 뉴스 박은주입니다.
정부가 분당 면적의 16배에 이르는 그린벨트를 해제하기로 했습니다.
서민용 주택용지와 산업용지를 확보하기 위해선데, 논란도 적지 않습니다.
박은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이번에 풀기로 한 그린벨트 면적은 최대 308.5㎢.
서울 전체 면적의 절반 정도 크기로 오는 2020년까지 서민용주거와 산업단지를 위한 용지로 공급하겠다는게 정부 계획입니다.
<녹취> 권도엽(국토해양부 차관) : "해제대상 지역은 개발제한 구역으로 보전가치가 낮은 환경평가 결과 3내지 5등급지 위주로 선정하되..."
그린벨트는 지난 1970년대에 5천여㎢가 지정됐지만, 99년 이후 전체 그린벨트의 27%가 해제됐고, 이번 발표로 5.7%가 추가로 개발제한에서 풀리게 됩니다.
정부는 그린벨트를 풀어서라도 서민용 주택을 공급해야 한다고 여러차례 강조해왔지만 이번 발표에선 산업용지에 더 많은 면적이 할애됐습니다.
9.19대책에서 예고한 보금자리 주택용지는 80㎢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산업단지용입니다.
또 해제지역의 절반 가까이가 수도권에 편중돼 있고, 서민들을 위한 임대주택 건설 비율은 30내지 40%로 낮아집니다.
우량농지도 해제할 수 있도록 해 환경 파괴 논란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남은경(경실련 도시개혁센터 부장) : "우량농지인 1,2등급을 해제할 수 있는 길을 열어둠으로써 그린벨트를 보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원칙과 기준이 무너졌습니다."
지난 98년 처음으로 그린벨트 해제가 검토됐을 때와 달리, 정부는 단 한번의 여론수렴 절차도 거치지 않고 있어 추후 논란은 불가피해보입니다.
KBS 뉴스 박은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절반 면적’ 그린벨트 해제
-
- 입력 2008-09-30 21:21:32

<앵커 멘트>
정부가 분당 면적의 16배에 이르는 그린벨트를 해제하기로 했습니다.
서민용 주택용지와 산업용지를 확보하기 위해선데, 논란도 적지 않습니다.
박은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가 이번에 풀기로 한 그린벨트 면적은 최대 308.5㎢.
서울 전체 면적의 절반 정도 크기로 오는 2020년까지 서민용주거와 산업단지를 위한 용지로 공급하겠다는게 정부 계획입니다.
<녹취> 권도엽(국토해양부 차관) : "해제대상 지역은 개발제한 구역으로 보전가치가 낮은 환경평가 결과 3내지 5등급지 위주로 선정하되..."
그린벨트는 지난 1970년대에 5천여㎢가 지정됐지만, 99년 이후 전체 그린벨트의 27%가 해제됐고, 이번 발표로 5.7%가 추가로 개발제한에서 풀리게 됩니다.
정부는 그린벨트를 풀어서라도 서민용 주택을 공급해야 한다고 여러차례 강조해왔지만 이번 발표에선 산업용지에 더 많은 면적이 할애됐습니다.
9.19대책에서 예고한 보금자리 주택용지는 80㎢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산업단지용입니다.
또 해제지역의 절반 가까이가 수도권에 편중돼 있고, 서민들을 위한 임대주택 건설 비율은 30내지 40%로 낮아집니다.
우량농지도 해제할 수 있도록 해 환경 파괴 논란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남은경(경실련 도시개혁센터 부장) : "우량농지인 1,2등급을 해제할 수 있는 길을 열어둠으로써 그린벨트를 보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원칙과 기준이 무너졌습니다."
지난 98년 처음으로 그린벨트 해제가 검토됐을 때와 달리, 정부는 단 한번의 여론수렴 절차도 거치지 않고 있어 추후 논란은 불가피해보입니다.
KBS 뉴스 박은주입니다.
-
-
박은주 기자 winepark@kbs.co.kr
박은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