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사상 최대 폭락…환율 폭등

입력 2008.10.16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세계적인 경기 침체 우려로 주식 시장이 최악의 기록을 쏟아내며 대폭락을 기록했습니다.
환율도 133원이나 급등하는 등 금융시장이 다시 공황 상태에 빠졌습니다.

한보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숨 돌리는가 싶었던 증시가, 개장과 함께 1300선이 무너지며 폭락했습니다.

오늘 코스피 지수는 어제보다 126.5포인트, 9.44%가 내려간 1213.78로, 2년 4개월여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하락폭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하락률도 역대 3번째였습니다.

코스닥 지수도 9.19 %가 폭락하며 354선으로 떨어졌습니다.

외국인들이 이틀 동안 1조 원이 넘는 순매도를 기록하며, 시가총액은 오늘 하루 70조 원이 날아갔습니다.

<인터뷰> 김중현(굿모닝신한증권 과장) : "경기침체가 가속화될 경우에는 선진국에 대한 수출 경기가 주된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국내 경기도 그 피해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우려감이 커다란 충격을 준것으로 보입니다."

환율도 다시 급등했습니다.

오늘 미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어제보다 133원 50전 치솟으며, 1373원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틀간 165원 폭등하면서 4거래일 만에 다시 1300원대로 올라섰고, 하루 상승폭도

10년 1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인터뷰> 김완중(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 : "최근 급변동하고 있는 외환시장은 중장기적인 요인들에 의해서 변동한다기보다는 단기적인 수급요인에 의해서 변동하고 있어서 환율 전망 자체가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호재보다는 악재에 더 크게 흔들리는 장세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시장 참여자들의 불안감이 그만큼 크다는 얘기인데, 이러한 불안심리가 언제쯤 해소될 수 있을지는 어느 누구도 쉽게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스피 사상 최대 폭락…환율 폭등
    • 입력 2008-10-16 20:43:18
    뉴스 9
<앵커 멘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세계적인 경기 침체 우려로 주식 시장이 최악의 기록을 쏟아내며 대폭락을 기록했습니다. 환율도 133원이나 급등하는 등 금융시장이 다시 공황 상태에 빠졌습니다. 한보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숨 돌리는가 싶었던 증시가, 개장과 함께 1300선이 무너지며 폭락했습니다. 오늘 코스피 지수는 어제보다 126.5포인트, 9.44%가 내려간 1213.78로, 2년 4개월여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하락폭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하락률도 역대 3번째였습니다. 코스닥 지수도 9.19 %가 폭락하며 354선으로 떨어졌습니다. 외국인들이 이틀 동안 1조 원이 넘는 순매도를 기록하며, 시가총액은 오늘 하루 70조 원이 날아갔습니다. <인터뷰> 김중현(굿모닝신한증권 과장) : "경기침체가 가속화될 경우에는 선진국에 대한 수출 경기가 주된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국내 경기도 그 피해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우려감이 커다란 충격을 준것으로 보입니다." 환율도 다시 급등했습니다. 오늘 미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어제보다 133원 50전 치솟으며, 1373원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틀간 165원 폭등하면서 4거래일 만에 다시 1300원대로 올라섰고, 하루 상승폭도 10년 1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인터뷰> 김완중(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 : "최근 급변동하고 있는 외환시장은 중장기적인 요인들에 의해서 변동한다기보다는 단기적인 수급요인에 의해서 변동하고 있어서 환율 전망 자체가 불확실한 상황입니다." 호재보다는 악재에 더 크게 흔들리는 장세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시장 참여자들의 불안감이 그만큼 크다는 얘기인데, 이러한 불안심리가 언제쯤 해소될 수 있을지는 어느 누구도 쉽게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KBS 뉴스 한보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