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②‘묻지마 범죄’ 피해 구제책은?
입력 2008.10.22 (21:56)
수정 2008.10.22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그렇다면 묻지마 범죄에 대한 피해 구제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서지영 기자가 생각해봤습니다.
<리포트>
이번 사건 피해자들은 구조금을 받기는 커녕 치료비 댈 길도 막막합니다.
용의자 정씨는 경제적 무능력자여서 정씨로부터는 한푼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범죄피해자 구조제도를 운영중이지만 사망자의 경우 1000만 원, 부상자에 대해선 장애 등급에 따라 최대 6백만 원까지만 지원을 받을 뿐입니다.
서지영 중국 동포의 경우는 사정이 더 열악합니다.
외국인이 피해자일 경우 양국의 상호 보증이 있어야 하는데, 중국과는 이러한 협약이 체결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중국 동포 피해자들은 민간차원의 구조센터에만 기댈 수있습니다.
<인터뷰> 이용우(범죄피해자지원중앙센터) : "무차별적인 범죄 피해자들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근거가 없어 센터에서 지원해줄 수 밖에 없습니다."
이마저 일부 치료비에 천만 원 이하의 제한적 보상 뿐입니다.
그래서 묻지마 범죄같은 피해자 구조는 국가가 더 큰 책임을 떠안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인터뷰> 박용철(서강대학교 법학과 교수) : "정부역할 뿐만 아니라 어떤 성금이라든지 여러가지 벌금을 그런 쪽으로 사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선진국들 같이 범죄자들의 벌금을 모은 펀드를 운용해 범죄 피해자 구제 비용으로 쓰는 실질적인 대책이 대안이 될 수있다는 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그렇다면 묻지마 범죄에 대한 피해 구제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서지영 기자가 생각해봤습니다.
<리포트>
이번 사건 피해자들은 구조금을 받기는 커녕 치료비 댈 길도 막막합니다.
용의자 정씨는 경제적 무능력자여서 정씨로부터는 한푼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범죄피해자 구조제도를 운영중이지만 사망자의 경우 1000만 원, 부상자에 대해선 장애 등급에 따라 최대 6백만 원까지만 지원을 받을 뿐입니다.
서지영 중국 동포의 경우는 사정이 더 열악합니다.
외국인이 피해자일 경우 양국의 상호 보증이 있어야 하는데, 중국과는 이러한 협약이 체결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중국 동포 피해자들은 민간차원의 구조센터에만 기댈 수있습니다.
<인터뷰> 이용우(범죄피해자지원중앙센터) : "무차별적인 범죄 피해자들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근거가 없어 센터에서 지원해줄 수 밖에 없습니다."
이마저 일부 치료비에 천만 원 이하의 제한적 보상 뿐입니다.
그래서 묻지마 범죄같은 피해자 구조는 국가가 더 큰 책임을 떠안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인터뷰> 박용철(서강대학교 법학과 교수) : "정부역할 뿐만 아니라 어떤 성금이라든지 여러가지 벌금을 그런 쪽으로 사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선진국들 같이 범죄자들의 벌금을 모은 펀드를 운용해 범죄 피해자 구제 비용으로 쓰는 실질적인 대책이 대안이 될 수있다는 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②‘묻지마 범죄’ 피해 구제책은?
-
- 입력 2008-10-22 21:13:04
- 수정2008-10-22 22:01:51

<앵커 멘트>
그렇다면 묻지마 범죄에 대한 피해 구제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서지영 기자가 생각해봤습니다.
<리포트>
이번 사건 피해자들은 구조금을 받기는 커녕 치료비 댈 길도 막막합니다.
용의자 정씨는 경제적 무능력자여서 정씨로부터는 한푼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범죄피해자 구조제도를 운영중이지만 사망자의 경우 1000만 원, 부상자에 대해선 장애 등급에 따라 최대 6백만 원까지만 지원을 받을 뿐입니다.
서지영 중국 동포의 경우는 사정이 더 열악합니다.
외국인이 피해자일 경우 양국의 상호 보증이 있어야 하는데, 중국과는 이러한 협약이 체결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중국 동포 피해자들은 민간차원의 구조센터에만 기댈 수있습니다.
<인터뷰> 이용우(범죄피해자지원중앙센터) : "무차별적인 범죄 피해자들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근거가 없어 센터에서 지원해줄 수 밖에 없습니다."
이마저 일부 치료비에 천만 원 이하의 제한적 보상 뿐입니다.
그래서 묻지마 범죄같은 피해자 구조는 국가가 더 큰 책임을 떠안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인터뷰> 박용철(서강대학교 법학과 교수) : "정부역할 뿐만 아니라 어떤 성금이라든지 여러가지 벌금을 그런 쪽으로 사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선진국들 같이 범죄자들의 벌금을 모은 펀드를 운용해 범죄 피해자 구제 비용으로 쓰는 실질적인 대책이 대안이 될 수있다는 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
-
서지영 기자 sjy@kbs.co.kr
서지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