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①고시원 피해자 보상길 ‘막막’
입력 2008.10.22 (21:56)
수정 2008.10.22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서울 논현동 고시원 화재사건의 경우처럼 묻지마 범죄의 피해자들은 보상은 커녕 당장 치료비조차 받기 어렵다고 고통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피해자들의 딱한 사정을 최광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끔찍했던 기억을 애써 지우며 다시 현장을 찾은 고시원 입주자들.
이들을 기다리는 건 검게 불탄 몇 안되는 가재도구들 뿐입니다.
가방을 싸들고 나서려 해도 갈 곳도, 불러주는 곳도 없습니다.
<녹취> 고시원 입주자 : "찜질방에서 전전긍긍해요 다 그래요. 그것도 보따리 못 갖고 나오거나 돈이 없는 사람은 길거리에서 잘 수도 있어..."
선불로 내놓았던 고시원비라도 되돌려 받을 수 있으면 하는게 이들의 소박한 바람.
특히 여기저기서 모여들었던 거주자들의 특성상 피해자 대표기구같은 걸 만들기조차 어렵습니다.
<녹취> 고시원 입주자 : "자기가 고시원에 산다는 거 자체를 알리고 싶어 하지도 않고 그냥 여기서 자기만 떠나면 되겠지 하고 있으니..."
사고가 난 건물은 화재 보험이 가입돼 있지만, 피해자들은 보험 혜택조차 받을 수가 없습니다.
피해의 직접적인 원인이 화재가 아닌, 정 씨의 흉기 난동이었기 때문입니다.
화재 현장에서 숨지거나 다쳤지만 보상 받을 길이 사실상 없다는 얘기입니다.
당장 닥칠 치료비부터 감당하기 어렵게 된 상태입니다.
<녹취> 부상자 가족 : "몇천만원이 나온다니 천문학적인 숫잔데 감당할 능력도 없고 어떻게 하겠어요 그냥 막막하기만 하네요."
이런 사정을 아는지 모르는지 용의자 정씨는 오늘 구속되면서 유족에게 사죄했습니다.
<녹취> 용의자 정씨 : "유족들에게 죄송합니다."
정씨는 또 살아야할 이유가 없다는 등의 범행을 준비한 내용의 일기장도 남겼습니다.
KBS 뉴스 최광호입니다.
서울 논현동 고시원 화재사건의 경우처럼 묻지마 범죄의 피해자들은 보상은 커녕 당장 치료비조차 받기 어렵다고 고통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피해자들의 딱한 사정을 최광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끔찍했던 기억을 애써 지우며 다시 현장을 찾은 고시원 입주자들.
이들을 기다리는 건 검게 불탄 몇 안되는 가재도구들 뿐입니다.
가방을 싸들고 나서려 해도 갈 곳도, 불러주는 곳도 없습니다.
<녹취> 고시원 입주자 : "찜질방에서 전전긍긍해요 다 그래요. 그것도 보따리 못 갖고 나오거나 돈이 없는 사람은 길거리에서 잘 수도 있어..."
선불로 내놓았던 고시원비라도 되돌려 받을 수 있으면 하는게 이들의 소박한 바람.
특히 여기저기서 모여들었던 거주자들의 특성상 피해자 대표기구같은 걸 만들기조차 어렵습니다.
<녹취> 고시원 입주자 : "자기가 고시원에 산다는 거 자체를 알리고 싶어 하지도 않고 그냥 여기서 자기만 떠나면 되겠지 하고 있으니..."
사고가 난 건물은 화재 보험이 가입돼 있지만, 피해자들은 보험 혜택조차 받을 수가 없습니다.
피해의 직접적인 원인이 화재가 아닌, 정 씨의 흉기 난동이었기 때문입니다.
화재 현장에서 숨지거나 다쳤지만 보상 받을 길이 사실상 없다는 얘기입니다.
당장 닥칠 치료비부터 감당하기 어렵게 된 상태입니다.
<녹취> 부상자 가족 : "몇천만원이 나온다니 천문학적인 숫잔데 감당할 능력도 없고 어떻게 하겠어요 그냥 막막하기만 하네요."
이런 사정을 아는지 모르는지 용의자 정씨는 오늘 구속되면서 유족에게 사죄했습니다.
<녹취> 용의자 정씨 : "유족들에게 죄송합니다."
정씨는 또 살아야할 이유가 없다는 등의 범행을 준비한 내용의 일기장도 남겼습니다.
KBS 뉴스 최광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①고시원 피해자 보상길 ‘막막’
-
- 입력 2008-10-22 21:11:30
- 수정2008-10-22 22:02:01

<앵커 멘트>
서울 논현동 고시원 화재사건의 경우처럼 묻지마 범죄의 피해자들은 보상은 커녕 당장 치료비조차 받기 어렵다고 고통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피해자들의 딱한 사정을 최광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끔찍했던 기억을 애써 지우며 다시 현장을 찾은 고시원 입주자들.
이들을 기다리는 건 검게 불탄 몇 안되는 가재도구들 뿐입니다.
가방을 싸들고 나서려 해도 갈 곳도, 불러주는 곳도 없습니다.
<녹취> 고시원 입주자 : "찜질방에서 전전긍긍해요 다 그래요. 그것도 보따리 못 갖고 나오거나 돈이 없는 사람은 길거리에서 잘 수도 있어..."
선불로 내놓았던 고시원비라도 되돌려 받을 수 있으면 하는게 이들의 소박한 바람.
특히 여기저기서 모여들었던 거주자들의 특성상 피해자 대표기구같은 걸 만들기조차 어렵습니다.
<녹취> 고시원 입주자 : "자기가 고시원에 산다는 거 자체를 알리고 싶어 하지도 않고 그냥 여기서 자기만 떠나면 되겠지 하고 있으니..."
사고가 난 건물은 화재 보험이 가입돼 있지만, 피해자들은 보험 혜택조차 받을 수가 없습니다.
피해의 직접적인 원인이 화재가 아닌, 정 씨의 흉기 난동이었기 때문입니다.
화재 현장에서 숨지거나 다쳤지만 보상 받을 길이 사실상 없다는 얘기입니다.
당장 닥칠 치료비부터 감당하기 어렵게 된 상태입니다.
<녹취> 부상자 가족 : "몇천만원이 나온다니 천문학적인 숫잔데 감당할 능력도 없고 어떻게 하겠어요 그냥 막막하기만 하네요."
이런 사정을 아는지 모르는지 용의자 정씨는 오늘 구속되면서 유족에게 사죄했습니다.
<녹취> 용의자 정씨 : "유족들에게 죄송합니다."
정씨는 또 살아야할 이유가 없다는 등의 범행을 준비한 내용의 일기장도 남겼습니다.
KBS 뉴스 최광호입니다.
-
-
최광호 기자 peace@kbs.co.kr
최광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