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북한의 로켓 발사소식에 시민들은 걱정과 우려를 하면서도 별다른 동요없이 차분하게 휴일을 보냈습니다.
극명하게 엇갈린 시민단체의 모습등 휴일 표정 , 정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북한의 로켓 발사 소식이 전해진 순간.
서울역 대합실에 모인 시민들의 눈과 귀는 일제히 TV를 향했습니다.
걱정과 우려 속에서도 차분한 대응을 주문했습니다.
<인터뷰> 채선자 (대구시 효목동) : "제 아들이 지금 군에 있기 때문에 걱정이 되는 면도 있긴 있는데, 극히 불안한 감은 없어요."
<인터뷰> 김선주 (대학생) : "최후의 방법까지 온 것 같아서 좀 많이 안타깝고, 정부에서는 최대한 평화적인 방법으로 잘 해결했으면."
지하철과 택시 등 뉴스를 접할 수 없는 곳에선 DMB에 이목이 집중됐습니다.
나들이에 나선 시민들은 비교적 차분하게 휴일을 맞았습니다.
하지만, 전쟁을 겪은 세대에겐 이번 일이 남다르게 다가옵니다.
<인터뷰> 김용애 (인천시 산곡동) : "전쟁을 겪어봤어요. 제가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번영하고 자손들이 잘 됐는데, 전쟁이 나면 어떡하나 그런 걱정이."
시민단체들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녹취>
"강력히 대처하라"
보수단체는 북 로켓 발사는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행위라며, 국제사회의 제재를 요구했습니다.
반면, 진보단체는 북한의 정당한 우주개발이라며 차분하게 대응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강희락 경찰청장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긴급 출동태세를 유지할 것을 지시하고, 오늘 오후 주요 시설을 방문해 현장 점검을 벌였습니다.
KBS 뉴스 정성호입니다.
북한의 로켓 발사소식에 시민들은 걱정과 우려를 하면서도 별다른 동요없이 차분하게 휴일을 보냈습니다.
극명하게 엇갈린 시민단체의 모습등 휴일 표정 , 정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북한의 로켓 발사 소식이 전해진 순간.
서울역 대합실에 모인 시민들의 눈과 귀는 일제히 TV를 향했습니다.
걱정과 우려 속에서도 차분한 대응을 주문했습니다.
<인터뷰> 채선자 (대구시 효목동) : "제 아들이 지금 군에 있기 때문에 걱정이 되는 면도 있긴 있는데, 극히 불안한 감은 없어요."
<인터뷰> 김선주 (대학생) : "최후의 방법까지 온 것 같아서 좀 많이 안타깝고, 정부에서는 최대한 평화적인 방법으로 잘 해결했으면."
지하철과 택시 등 뉴스를 접할 수 없는 곳에선 DMB에 이목이 집중됐습니다.
나들이에 나선 시민들은 비교적 차분하게 휴일을 맞았습니다.
하지만, 전쟁을 겪은 세대에겐 이번 일이 남다르게 다가옵니다.
<인터뷰> 김용애 (인천시 산곡동) : "전쟁을 겪어봤어요. 제가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번영하고 자손들이 잘 됐는데, 전쟁이 나면 어떡하나 그런 걱정이."
시민단체들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녹취>
"강력히 대처하라"
보수단체는 북 로켓 발사는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행위라며, 국제사회의 제재를 요구했습니다.
반면, 진보단체는 북한의 정당한 우주개발이라며 차분하게 대응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강희락 경찰청장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긴급 출동태세를 유지할 것을 지시하고, 오늘 오후 주요 시설을 방문해 현장 점검을 벌였습니다.
KBS 뉴스 정성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민들, 불안 속 차분한 대응
-
- 입력 2009-04-05 21:27:47

<앵커 멘트>
북한의 로켓 발사소식에 시민들은 걱정과 우려를 하면서도 별다른 동요없이 차분하게 휴일을 보냈습니다.
극명하게 엇갈린 시민단체의 모습등 휴일 표정 , 정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북한의 로켓 발사 소식이 전해진 순간.
서울역 대합실에 모인 시민들의 눈과 귀는 일제히 TV를 향했습니다.
걱정과 우려 속에서도 차분한 대응을 주문했습니다.
<인터뷰> 채선자 (대구시 효목동) : "제 아들이 지금 군에 있기 때문에 걱정이 되는 면도 있긴 있는데, 극히 불안한 감은 없어요."
<인터뷰> 김선주 (대학생) : "최후의 방법까지 온 것 같아서 좀 많이 안타깝고, 정부에서는 최대한 평화적인 방법으로 잘 해결했으면."
지하철과 택시 등 뉴스를 접할 수 없는 곳에선 DMB에 이목이 집중됐습니다.
나들이에 나선 시민들은 비교적 차분하게 휴일을 맞았습니다.
하지만, 전쟁을 겪은 세대에겐 이번 일이 남다르게 다가옵니다.
<인터뷰> 김용애 (인천시 산곡동) : "전쟁을 겪어봤어요. 제가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번영하고 자손들이 잘 됐는데, 전쟁이 나면 어떡하나 그런 걱정이."
시민단체들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녹취>
"강력히 대처하라"
보수단체는 북 로켓 발사는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행위라며, 국제사회의 제재를 요구했습니다.
반면, 진보단체는 북한의 정당한 우주개발이라며 차분하게 대응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강희락 경찰청장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긴급 출동태세를 유지할 것을 지시하고, 오늘 오후 주요 시설을 방문해 현장 점검을 벌였습니다.
KBS 뉴스 정성호입니다.
-
-
정성호 기자 andreas@kbs.co.kr
정성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북 ‘광명성 2호’ 발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