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톡톡] ‘귀하신 몸’ 고등어·갈치 값 껑충

입력 2009.04.24 (20: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 사람들이 선호하는 고등어와 갈치 등 생선 가격이 껑충 뛰었습니다.

이래저래 힘든 서민들은 도대체 뭘 사 먹어야 할지 걱정입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 대형마트의 생선 코너 요즘 손님들의 발길이 뚝 끊겼습니다.

고등어 한 마리가 7천 원에서 8천 원선, 갈치 한 마리 만 오천 원대.

어쩌다 오는 손님도 생선 하나 사는데 고민 고민 합니다.

<인터뷰> 차선영(가정주부) : "고등어를 조려 먹을까 해서 왔는데 많이 비싸 이 정도면 한 오천 원, 삼천 원 더 오른 거야. 못 먹지."

<인터뷰> 정은희(가정주부) : "아기 것 사고 아빠 위해서 고등어 살 때 비싸면 안 살 때도 좀 있고 그렇죠, 아무래도."

30년째 생선구이를 파는 석송자 씨.

도매상에서 대량으로 사다 보니 일 년 전만 해도 한 마리에 2천 원이면 샀던 고등어가 최근 3천 원 선으로 무려 천원이 올랐습니다.

오늘은 또 올라 3천백 원이 됐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오르는 고등어 값도 값이지만 물량 확보도 어렵습니다.

<인터뷰> 석송자(생선구이 가게 운영) : "여태 장사 내가 고등어 장사 30년을 했는데 지금이 최고로 비싸. 이렇게 비싸게 사보지 않았어요."

실제 한 대형 마트 조사 결과 430그램짜리, 이른바 밥상용 고등어는 최근 6개월 새 2천7백 원에서 3천4백 원으로 뛰었습니다.

갈치는 무려 70% 정도 올랐습니다.

생선 가격 폭등세는 어획량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우선 고등어와 갈치는 요즘이 산란기로 어획을 할 수 없는 금어기입니다.

특히 국산 생물 고등어는 공급이 거의 중단된 상황입니다.

일본산 수입 고등어와 냉동 고등어가 공급되고 있지만 수요를 따라잡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덕호(노량진수산주식회사) : "냉동 고등어 역시 지난해부터 대품 고등어의 품귀현상으로 비축분이 많지 않아 가격 상승세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고등어와 갈치의 가격은 금어기가 끝나는 다음달 중순 이후에나 안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삼겹살 값 폭등에 이어 생선 값마저 오르다 보니 계란이나 참치 통조림 등 저렴한 고단백 식품 위주로 서민들의 밥상 풍경도 바뀌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제톡톡] ‘귀하신 몸’ 고등어·갈치 값 껑충
    • 입력 2009-04-24 20:12:34
    뉴스타임
<앵커 멘트> 우리나라 사람들이 선호하는 고등어와 갈치 등 생선 가격이 껑충 뛰었습니다. 이래저래 힘든 서민들은 도대체 뭘 사 먹어야 할지 걱정입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 대형마트의 생선 코너 요즘 손님들의 발길이 뚝 끊겼습니다. 고등어 한 마리가 7천 원에서 8천 원선, 갈치 한 마리 만 오천 원대. 어쩌다 오는 손님도 생선 하나 사는데 고민 고민 합니다. <인터뷰> 차선영(가정주부) : "고등어를 조려 먹을까 해서 왔는데 많이 비싸 이 정도면 한 오천 원, 삼천 원 더 오른 거야. 못 먹지." <인터뷰> 정은희(가정주부) : "아기 것 사고 아빠 위해서 고등어 살 때 비싸면 안 살 때도 좀 있고 그렇죠, 아무래도." 30년째 생선구이를 파는 석송자 씨. 도매상에서 대량으로 사다 보니 일 년 전만 해도 한 마리에 2천 원이면 샀던 고등어가 최근 3천 원 선으로 무려 천원이 올랐습니다. 오늘은 또 올라 3천백 원이 됐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오르는 고등어 값도 값이지만 물량 확보도 어렵습니다. <인터뷰> 석송자(생선구이 가게 운영) : "여태 장사 내가 고등어 장사 30년을 했는데 지금이 최고로 비싸. 이렇게 비싸게 사보지 않았어요." 실제 한 대형 마트 조사 결과 430그램짜리, 이른바 밥상용 고등어는 최근 6개월 새 2천7백 원에서 3천4백 원으로 뛰었습니다. 갈치는 무려 70% 정도 올랐습니다. 생선 가격 폭등세는 어획량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우선 고등어와 갈치는 요즘이 산란기로 어획을 할 수 없는 금어기입니다. 특히 국산 생물 고등어는 공급이 거의 중단된 상황입니다. 일본산 수입 고등어와 냉동 고등어가 공급되고 있지만 수요를 따라잡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덕호(노량진수산주식회사) : "냉동 고등어 역시 지난해부터 대품 고등어의 품귀현상으로 비축분이 많지 않아 가격 상승세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고등어와 갈치의 가격은 금어기가 끝나는 다음달 중순 이후에나 안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삼겹살 값 폭등에 이어 생선 값마저 오르다 보니 계란이나 참치 통조림 등 저렴한 고단백 식품 위주로 서민들의 밥상 풍경도 바뀌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