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지도 굶지도 못하는 희귀질환발견
입력 2001.04.10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에서 아주 희귀한 질병이 발견됐습니다.
단백질 분해효소가 없어서 먹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굶을 수도 없는 천형입니다.
임홍렬 기자입니다.
⊙기자: 패혈증 유사증세로 병원에 입원한 생후 47일된 남자아기입니다.
을지의대 소아과 최규철, 이인규 교수팀이 신생아를 진단한 결과 이 병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필수아미노산을 에너지로 전환시킬 효소가 없는 단풍당뇨증의 변형질환으로 판명됐습니다.
환자의 소변에서 단풍나무 수액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최규철(을지의대 교수): 우리 몸에 꼭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인 분지아미노산을 분해하는 효소가 그것도 두 가지가 부족한 그런 유전적 결함을 갖고 있는 것으로...
⊙기자: 이로 인해 콩과 고기 등 단백질이 포함된 음식물을 먹을 수 없습니다.
단백질 아미노산이 분해되지 않고 몸 속에 쌓이면서 피가 산성으로 변해 의식장애와 호흡곤란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현재 이 아이는 분해할 수 없는 필수아미노산을 제거한 특수영양식으로 생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발견된 이 병은 선천적 장애라는 것 이외에 원인과 치료법도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특수분유를 끊고 이유식을 시작해야 하는 첫돌 이후에는 뚜렷한 대응책이 없는 상태입니다.
KBS뉴스 임홍렬입니다.
단백질 분해효소가 없어서 먹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굶을 수도 없는 천형입니다.
임홍렬 기자입니다.
⊙기자: 패혈증 유사증세로 병원에 입원한 생후 47일된 남자아기입니다.
을지의대 소아과 최규철, 이인규 교수팀이 신생아를 진단한 결과 이 병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필수아미노산을 에너지로 전환시킬 효소가 없는 단풍당뇨증의 변형질환으로 판명됐습니다.
환자의 소변에서 단풍나무 수액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최규철(을지의대 교수): 우리 몸에 꼭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인 분지아미노산을 분해하는 효소가 그것도 두 가지가 부족한 그런 유전적 결함을 갖고 있는 것으로...
⊙기자: 이로 인해 콩과 고기 등 단백질이 포함된 음식물을 먹을 수 없습니다.
단백질 아미노산이 분해되지 않고 몸 속에 쌓이면서 피가 산성으로 변해 의식장애와 호흡곤란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현재 이 아이는 분해할 수 없는 필수아미노산을 제거한 특수영양식으로 생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발견된 이 병은 선천적 장애라는 것 이외에 원인과 치료법도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특수분유를 끊고 이유식을 시작해야 하는 첫돌 이후에는 뚜렷한 대응책이 없는 상태입니다.
KBS뉴스 임홍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먹지도 굶지도 못하는 희귀질환발견
-
- 입력 2001-04-10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국내에서 아주 희귀한 질병이 발견됐습니다.
단백질 분해효소가 없어서 먹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굶을 수도 없는 천형입니다.
임홍렬 기자입니다.
⊙기자: 패혈증 유사증세로 병원에 입원한 생후 47일된 남자아기입니다.
을지의대 소아과 최규철, 이인규 교수팀이 신생아를 진단한 결과 이 병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필수아미노산을 에너지로 전환시킬 효소가 없는 단풍당뇨증의 변형질환으로 판명됐습니다.
환자의 소변에서 단풍나무 수액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최규철(을지의대 교수): 우리 몸에 꼭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인 분지아미노산을 분해하는 효소가 그것도 두 가지가 부족한 그런 유전적 결함을 갖고 있는 것으로...
⊙기자: 이로 인해 콩과 고기 등 단백질이 포함된 음식물을 먹을 수 없습니다.
단백질 아미노산이 분해되지 않고 몸 속에 쌓이면서 피가 산성으로 변해 의식장애와 호흡곤란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현재 이 아이는 분해할 수 없는 필수아미노산을 제거한 특수영양식으로 생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11월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발견된 이 병은 선천적 장애라는 것 이외에 원인과 치료법도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특수분유를 끊고 이유식을 시작해야 하는 첫돌 이후에는 뚜렷한 대응책이 없는 상태입니다.
KBS뉴스 임홍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