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값 ‘고공행진’…공급 과잉 폭락 우려

입력 2009.09.19 (08:09) 수정 2009.09.19 (08: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원산지표시제와 이력추적제가 시행되면서 안심하고 한우를 찾는 소비자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한우 쇠고기 가격이 오르면서 축산 농민들이 반기고 있지만 공급 과잉으로 소 값이 오히려 폭락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은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3,4만 원대 한우에서 수십만원에 이르는 선물세트까지.

만만치 않은 값에도 소비자들은 수입산 대신 한우를 찾습니다.

출생과 유통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쇠고기 이력추적제가 시행되고, 지난해말부터 시행된 원산지표시제도 자리를 잡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유영(서울시 반포동) : "일단 고기가 맛있고요. 믿을 수 있는데서 살 수 있는 한우는 믿을만 하니까."

이처럼 한우 쇠고기를 믿고 먹을 수 있다는 소비자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실제로 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 결과 올해 들어 한우 수요는 지난해보다 9%나 늘었습니다.

쇠고기가 인기를 끌면서 한우 가격도 크게 오르고 있습니다.

6백 킬로그램짜리 다자란 한우 한 마리는 요즘 5백만 원을 웃돕니다.

한우 시세가 좋아지면서 덩달아 송아지 가격도 1년 사이 82%나 뛰었습니다.//CG

문제는 송아지들이 다 자라 한꺼번에 출하될 2년 뒤입니다.

공급 과잉으로 언제든 값이 폭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반복되는 가격 불안을 막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수급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종수(충남대 동물자원학부) : "가격에서의 안정보다는 쇠고기의 품질 향상과 안전성 확보에 집중해야 할 것, 농가도 마찬가지로 품질 개선에 노력해야..."

또 가격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한우의 생산비를 낮추기 위한 정책적 지원도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은준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우값 ‘고공행진’…공급 과잉 폭락 우려
    • 입력 2009-09-19 07:20:06
    • 수정2009-09-19 08:41:36
    뉴스광장
<앵커 멘트> 원산지표시제와 이력추적제가 시행되면서 안심하고 한우를 찾는 소비자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한우 쇠고기 가격이 오르면서 축산 농민들이 반기고 있지만 공급 과잉으로 소 값이 오히려 폭락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은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3,4만 원대 한우에서 수십만원에 이르는 선물세트까지. 만만치 않은 값에도 소비자들은 수입산 대신 한우를 찾습니다. 출생과 유통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쇠고기 이력추적제가 시행되고, 지난해말부터 시행된 원산지표시제도 자리를 잡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유영(서울시 반포동) : "일단 고기가 맛있고요. 믿을 수 있는데서 살 수 있는 한우는 믿을만 하니까." 이처럼 한우 쇠고기를 믿고 먹을 수 있다는 소비자들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실제로 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 결과 올해 들어 한우 수요는 지난해보다 9%나 늘었습니다. 쇠고기가 인기를 끌면서 한우 가격도 크게 오르고 있습니다. 6백 킬로그램짜리 다자란 한우 한 마리는 요즘 5백만 원을 웃돕니다. 한우 시세가 좋아지면서 덩달아 송아지 가격도 1년 사이 82%나 뛰었습니다.//CG 문제는 송아지들이 다 자라 한꺼번에 출하될 2년 뒤입니다. 공급 과잉으로 언제든 값이 폭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반복되는 가격 불안을 막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수급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종수(충남대 동물자원학부) : "가격에서의 안정보다는 쇠고기의 품질 향상과 안전성 확보에 집중해야 할 것, 농가도 마찬가지로 품질 개선에 노력해야..." 또 가격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한우의 생산비를 낮추기 위한 정책적 지원도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은준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