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정부 보조금, 수십억 원을 횡령한 시민사회단체 간부가 무더기 적발됐습니다. 그런데 감사원이 이름을 공개하지 않아, '눈치보기'라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함 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설립된 지 20년이 된 국내의 한 대표적인 문화예술단체.
이 단체는 2006년과 2007년, 문화관광부로부터 보조금 19억 원을 지원받았지만 이 가운데 5억 원은 간부 김 모씨가 사적 용도로 쓴 것으로 감사원 조사결과 드러났습니다.
김 씨는 지자체로부터 받은 보조금에 대한 지출증빙서를 다시 문화관광부에 제출하는 수법으로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녹취> 단체 관계자(음성 변조) : "횡령 혐의가 있다. 혐의에 대한 추정만 들었을 뿐이란 말이예요. 그걸 가지고 얘기하기가 애매해요."
또 다른 민간단체의 한 간부는 거래처에 돈을 지급한 것처럼, 계좌 이체증 230여 매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위조해 지난 3년간 2억8천만 원을 횡령했다가 적발됐습니다.
이처럼 감사원에 적발된 정부 보조금 횡령 민간단체는 모두 16개 단체, 적발된 임직원은 21명, 횡령액은 21억여 원에 달합니다.
<인터뷰> 김병석(감사원 특별조사과장) : "감사결과 나타난 횡령금 사항등에 대한것은 범죄혐의가 있다고 판단했기때문에 저희들이 고발하게 된것입니다."
감사원은 그러나 세금을 착복한 중대 범죄를 밝혀내고도 감사원법상 피감기관이 아니라는 이유로 단체 이름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적발된 단체 가운데 시민사회단체가 포함돼 있어 감사원이 너무 정치적으로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철입니다.
정부 보조금, 수십억 원을 횡령한 시민사회단체 간부가 무더기 적발됐습니다. 그런데 감사원이 이름을 공개하지 않아, '눈치보기'라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함 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설립된 지 20년이 된 국내의 한 대표적인 문화예술단체.
이 단체는 2006년과 2007년, 문화관광부로부터 보조금 19억 원을 지원받았지만 이 가운데 5억 원은 간부 김 모씨가 사적 용도로 쓴 것으로 감사원 조사결과 드러났습니다.
김 씨는 지자체로부터 받은 보조금에 대한 지출증빙서를 다시 문화관광부에 제출하는 수법으로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녹취> 단체 관계자(음성 변조) : "횡령 혐의가 있다. 혐의에 대한 추정만 들었을 뿐이란 말이예요. 그걸 가지고 얘기하기가 애매해요."
또 다른 민간단체의 한 간부는 거래처에 돈을 지급한 것처럼, 계좌 이체증 230여 매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위조해 지난 3년간 2억8천만 원을 횡령했다가 적발됐습니다.
이처럼 감사원에 적발된 정부 보조금 횡령 민간단체는 모두 16개 단체, 적발된 임직원은 21명, 횡령액은 21억여 원에 달합니다.
<인터뷰> 김병석(감사원 특별조사과장) : "감사결과 나타난 횡령금 사항등에 대한것은 범죄혐의가 있다고 판단했기때문에 저희들이 고발하게 된것입니다."
감사원은 그러나 세금을 착복한 중대 범죄를 밝혀내고도 감사원법상 피감기관이 아니라는 이유로 단체 이름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적발된 단체 가운데 시민사회단체가 포함돼 있어 감사원이 너무 정치적으로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민간단체 ‘보조금 횡령’ 무더기 적발
-
- 입력 2009-11-02 21:19:53

<앵커멘트>
정부 보조금, 수십억 원을 횡령한 시민사회단체 간부가 무더기 적발됐습니다. 그런데 감사원이 이름을 공개하지 않아, '눈치보기'라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함 철 기자입니다.
<리포트>
설립된 지 20년이 된 국내의 한 대표적인 문화예술단체.
이 단체는 2006년과 2007년, 문화관광부로부터 보조금 19억 원을 지원받았지만 이 가운데 5억 원은 간부 김 모씨가 사적 용도로 쓴 것으로 감사원 조사결과 드러났습니다.
김 씨는 지자체로부터 받은 보조금에 대한 지출증빙서를 다시 문화관광부에 제출하는 수법으로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녹취> 단체 관계자(음성 변조) : "횡령 혐의가 있다. 혐의에 대한 추정만 들었을 뿐이란 말이예요. 그걸 가지고 얘기하기가 애매해요."
또 다른 민간단체의 한 간부는 거래처에 돈을 지급한 것처럼, 계좌 이체증 230여 매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위조해 지난 3년간 2억8천만 원을 횡령했다가 적발됐습니다.
이처럼 감사원에 적발된 정부 보조금 횡령 민간단체는 모두 16개 단체, 적발된 임직원은 21명, 횡령액은 21억여 원에 달합니다.
<인터뷰> 김병석(감사원 특별조사과장) : "감사결과 나타난 횡령금 사항등에 대한것은 범죄혐의가 있다고 판단했기때문에 저희들이 고발하게 된것입니다."
감사원은 그러나 세금을 착복한 중대 범죄를 밝혀내고도 감사원법상 피감기관이 아니라는 이유로 단체 이름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적발된 단체 가운데 시민사회단체가 포함돼 있어 감사원이 너무 정치적으로 눈치를 보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