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가전브랜드, 대 일본전서 연승

입력 2001.05.09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일본 가전제품의 수입이 완전 개방됐지만 소비자들의 선호가 옛날같지 않습니다.
그 만큼 국내 제품의 질이 좋아졌다는 반증이기도 한데 실제로 국내 가전시장에서 국산이 일제를 압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재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그토록 인기를 끌었던 일본의 코끼리 밥솥이 지금은 중소기업 제품 등 국산에 밀려 소비자의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성미(백화점 가전매장 직원): 손님들이 우선 입맛 자체가 국산이 훨씬 더 좋기 때문에 입맛에 많이 길들여져 있기 때문에 국산을 훨씬 더 좋아하시죠.
⊙기자: 우리 가전이 일본 가전 수입의 파고를 이겨낸 비결은 정보통신기술과의 접목에서 일본을 압도했기 때문입니다.
이 냉장고는 차라리 컴퓨터에 가깝습니다.
인터넷 검색은 물론이고 화상전화에다 메모까지 가능합니다.
⊙화상메모: 오늘 제가 늦으니까 기다리지 마시고 먼저 주무세요.
오늘 제가 늦으니까 기다리지 마시고 먼저 주무세요.
⊙기자: 국내 가전시장에서 일본 브랜드의 아성은 서서히 퇴조하고 있습니다.
국산 가전의 디자인과 품질이 일본 가전에 뒤지지 않고 무엇보다 애프터서비스의 측면에서 비교할 수 없는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김영미(서울 사당동): A/S 측면도 보면 국산 것을 아무래도 사야 되겠죠.
그쪽은 아무래도 A/S도 비싸고 기간도 오래 걸리고 이러니까...
⊙기자: 고가품의 대명사로 통하는 프로젝션 TV나 양문 여닫이 냉장고 그리고 휴대용 카세트 등에서 일본 등 외국산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급속도로 줄고 있습니다.
⊙조병구(LG전자 부장): 주부들은 우선 부피가 크고 내용이 큰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일본에서 통용되는 제품이 국내에 들어왔을 때는 경쟁력이 없습니다.
⊙기자: 구태여 애국심에 호소하지 않더라도 실속과 품질을 따지는 소비자들의 선택은 국산 브랜드로 기울고 있습니다.
KBS뉴스 최재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토종 가전브랜드, 대 일본전서 연승
    • 입력 2001-05-09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일본 가전제품의 수입이 완전 개방됐지만 소비자들의 선호가 옛날같지 않습니다. 그 만큼 국내 제품의 질이 좋아졌다는 반증이기도 한데 실제로 국내 가전시장에서 국산이 일제를 압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재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그토록 인기를 끌었던 일본의 코끼리 밥솥이 지금은 중소기업 제품 등 국산에 밀려 소비자의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성미(백화점 가전매장 직원): 손님들이 우선 입맛 자체가 국산이 훨씬 더 좋기 때문에 입맛에 많이 길들여져 있기 때문에 국산을 훨씬 더 좋아하시죠. ⊙기자: 우리 가전이 일본 가전 수입의 파고를 이겨낸 비결은 정보통신기술과의 접목에서 일본을 압도했기 때문입니다. 이 냉장고는 차라리 컴퓨터에 가깝습니다. 인터넷 검색은 물론이고 화상전화에다 메모까지 가능합니다. ⊙화상메모: 오늘 제가 늦으니까 기다리지 마시고 먼저 주무세요. 오늘 제가 늦으니까 기다리지 마시고 먼저 주무세요. ⊙기자: 국내 가전시장에서 일본 브랜드의 아성은 서서히 퇴조하고 있습니다. 국산 가전의 디자인과 품질이 일본 가전에 뒤지지 않고 무엇보다 애프터서비스의 측면에서 비교할 수 없는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김영미(서울 사당동): A/S 측면도 보면 국산 것을 아무래도 사야 되겠죠. 그쪽은 아무래도 A/S도 비싸고 기간도 오래 걸리고 이러니까... ⊙기자: 고가품의 대명사로 통하는 프로젝션 TV나 양문 여닫이 냉장고 그리고 휴대용 카세트 등에서 일본 등 외국산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급속도로 줄고 있습니다. ⊙조병구(LG전자 부장): 주부들은 우선 부피가 크고 내용이 큰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일본에서 통용되는 제품이 국내에 들어왔을 때는 경쟁력이 없습니다. ⊙기자: 구태여 애국심에 호소하지 않더라도 실속과 품질을 따지는 소비자들의 선택은 국산 브랜드로 기울고 있습니다. KBS뉴스 최재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