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물대란

입력 2001.05.2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 현상을 진단해 보는 순서, 오늘은 지구촌의 사정을 알아봅니다.
아프리카에서 남미 대륙에 이르기까지 30여 개국이 계속되는 가뭄 속에 물대란에 빠졌습니다.
신춘범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동북아프리카의 소말리아가 3년이 넘게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강은 흔적만 남았고 곡물을 공급했던 오뜸비 대평원은 이렇게 잡풀만이 무성한 사막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논밭의 곡식들이 말라죽자 주민들은 물이 있는 곳을 찾아 정처없이 유랑하고 있습니다.
⊙마수드(UN 소말리 팀장): 소말리 지역 9개 구역에서 가장 부족한 것은 물입니다.
⊙기자: UN아동보호기금과 옥스판 등 민간구호기관들이 식수공급을 위한 지원활동을 펴고 있지만 역부족입니다.
견디다 못한 파키스탄의 주민들이 급기야 대규모 시위까지 벌였습니다.
다급한 정부는 빙상까지 녹여 식수난 해결에 나섰지만 그 실효성은 커 보이지 않습니다.
풍부한 수량을 자랑하던 황하가 그 바닥을 드러내면서 중국도 먹는 물조차 구하기 힘들어졌습니다.
⊙로브 크룩스(세계은행 수석환경연구원): 기술적으로 황하는 죽었습니다.
흐르는 것은 물이 아니라 토사입니다.
⊙기자: 동북아프리카에서 서아시아, 남미대륙에 이르기까지 세계 30여 개국이 물부족으로 경제성장이 크게 둔화되는 등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UN과 국제인구행동단체는 현재의 추세라면 우리나라도 3년 뒤인 2004년부터는 물부족 국가로 전락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신춘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계는 물대란
    • 입력 2001-05-2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가뭄으로 인한 물부족 현상을 진단해 보는 순서, 오늘은 지구촌의 사정을 알아봅니다. 아프리카에서 남미 대륙에 이르기까지 30여 개국이 계속되는 가뭄 속에 물대란에 빠졌습니다. 신춘범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동북아프리카의 소말리아가 3년이 넘게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강은 흔적만 남았고 곡물을 공급했던 오뜸비 대평원은 이렇게 잡풀만이 무성한 사막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논밭의 곡식들이 말라죽자 주민들은 물이 있는 곳을 찾아 정처없이 유랑하고 있습니다. ⊙마수드(UN 소말리 팀장): 소말리 지역 9개 구역에서 가장 부족한 것은 물입니다. ⊙기자: UN아동보호기금과 옥스판 등 민간구호기관들이 식수공급을 위한 지원활동을 펴고 있지만 역부족입니다. 견디다 못한 파키스탄의 주민들이 급기야 대규모 시위까지 벌였습니다. 다급한 정부는 빙상까지 녹여 식수난 해결에 나섰지만 그 실효성은 커 보이지 않습니다. 풍부한 수량을 자랑하던 황하가 그 바닥을 드러내면서 중국도 먹는 물조차 구하기 힘들어졌습니다. ⊙로브 크룩스(세계은행 수석환경연구원): 기술적으로 황하는 죽었습니다. 흐르는 것은 물이 아니라 토사입니다. ⊙기자: 동북아프리카에서 서아시아, 남미대륙에 이르기까지 세계 30여 개국이 물부족으로 경제성장이 크게 둔화되는 등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UN과 국제인구행동단체는 현재의 추세라면 우리나라도 3년 뒤인 2004년부터는 물부족 국가로 전락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신춘범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