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 국민들은 10명 중 7, 8명꼴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성사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대단히 의미있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북 정상회담 1주년을 맞아서 KBS 사회교육방송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입니다.
주요 내용을 조현진 기자가 간추렸습니다.
⊙기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울에 올 것 같습니까?
⊙인터뷰: 약속을 하셨으니까 오실 거는 같아요.
⊙인터뷰: 올 것 같습니다.
⊙기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며, 실현 가능성이 크다고 응답한 경우는 69%입니다.
또 1차 남북 정상회담이 통일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데는 73%, 2차 남북 정상회담이 의미있는 일이라는 응답은 89%에 이르렀습니다.
2차 정상회담에서 우선 논의돼야 할 문제로는 민족경제발전과 이산가족 문제, 남북 통일 방안, 군사적 긴장완화 방안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기자: 통일이 된다면 몇 년쯤 뒤에 될 것 같습니까?
⊙인터뷰: 최소한 한 10년 정도 생각해야 되지 않을
⊙인터뷰: 한 2, 30년 정도 지나야지 그래도 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기자: 응답자의 3분의 1 이상이 20년 뒤라고 대답하는 등 73%가 10년 뒤에나 통일이 이루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남북관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북한의 대남정책과 보수강경파 때문이라는 응답이 절반 정도이고 부시 행정부의 대북 강경정책 때문이라는 응답도 22%로 나타났습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남북 정상회담 1주년을 맞아서 KBS 사회교육방송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입니다.
주요 내용을 조현진 기자가 간추렸습니다.
⊙기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울에 올 것 같습니까?
⊙인터뷰: 약속을 하셨으니까 오실 거는 같아요.
⊙인터뷰: 올 것 같습니다.
⊙기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며, 실현 가능성이 크다고 응답한 경우는 69%입니다.
또 1차 남북 정상회담이 통일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데는 73%, 2차 남북 정상회담이 의미있는 일이라는 응답은 89%에 이르렀습니다.
2차 정상회담에서 우선 논의돼야 할 문제로는 민족경제발전과 이산가족 문제, 남북 통일 방안, 군사적 긴장완화 방안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기자: 통일이 된다면 몇 년쯤 뒤에 될 것 같습니까?
⊙인터뷰: 최소한 한 10년 정도 생각해야 되지 않을
⊙인터뷰: 한 2, 30년 정도 지나야지 그래도 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기자: 응답자의 3분의 1 이상이 20년 뒤라고 대답하는 등 73%가 10년 뒤에나 통일이 이루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남북관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북한의 대남정책과 보수강경파 때문이라는 응답이 절반 정도이고 부시 행정부의 대북 강경정책 때문이라는 응답도 22%로 나타났습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민 69%, 김정일 위원장 서울 답방 기대
-
- 입력 2001-05-29 06:00:00
⊙앵커: 우리 국민들은 10명 중 7, 8명꼴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성사될 것으로 기대하면서 대단히 의미있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북 정상회담 1주년을 맞아서 KBS 사회교육방송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입니다.
주요 내용을 조현진 기자가 간추렸습니다.
⊙기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울에 올 것 같습니까?
⊙인터뷰: 약속을 하셨으니까 오실 거는 같아요.
⊙인터뷰: 올 것 같습니다.
⊙기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반드시 이루어질 것이며, 실현 가능성이 크다고 응답한 경우는 69%입니다.
또 1차 남북 정상회담이 통일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데는 73%, 2차 남북 정상회담이 의미있는 일이라는 응답은 89%에 이르렀습니다.
2차 정상회담에서 우선 논의돼야 할 문제로는 민족경제발전과 이산가족 문제, 남북 통일 방안, 군사적 긴장완화 방안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기자: 통일이 된다면 몇 년쯤 뒤에 될 것 같습니까?
⊙인터뷰: 최소한 한 10년 정도 생각해야 되지 않을
⊙인터뷰: 한 2, 30년 정도 지나야지 그래도 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기자: 응답자의 3분의 1 이상이 20년 뒤라고 대답하는 등 73%가 10년 뒤에나 통일이 이루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남북관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북한의 대남정책과 보수강경파 때문이라는 응답이 절반 정도이고 부시 행정부의 대북 강경정책 때문이라는 응답도 22%로 나타났습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