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합중국’ 통합의 현장

입력 2010.01.03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새해 유럽이 명실상부한 유럽합중국으로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그 통합의 현장을 정제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구 백만 남짓이지만 벨기에 브뤼셀은 이제 유럽의 수도가 됐습니다.

EU, 즉, 유럽 연합의 공무원만 만 명,

27개 회원국들의 파견 직원들에다, 로비스트 만 5천여명까지

새해부터 본격행보에 들어가는 유럽합중국의 심장부가 되고 있습니다.

정부 격인 EU 집행위등의 회의만 한 해 18000 건, 결정내용은 23개 공식 언어로 경마 생중계하듯 발표됩니다.

때문에 통역사 수만도 4천 5백여명, 통역 비용만 한해 우리 돈 4천억원이 넘습니다.

<인터뷰> 조베르가(통역사) : "유럽통합의 역사적 순간들에 함께 했다 그때는 무척 감격적이었다."

확장일로에 있는 유럽공동체는 이미 인구 약 5억 명으로 미국의 3억여 명보다 많고, 총생산도 18조 달러를 넘어 14조 달러 남짓한 미국을 앞질렀습니다.

따라서 유럽 합중국으로 거듭난 거대 유럽시장은 그 변화도 큽니다.

한 예로 국제 담합관련 벌금 부과액이 지난 2000년과 2004년 사이 약 37억 유로이던 것이 이후 5년 동안은 94억 유로로 크게 느는 추세입니다.

올해 중 FTA 발효를 추진중인 우리로서는 이같은 변화에 대한 대응이 시급합니다.

<인터뷰> 박준우 대사(주유럽연합대표부) : "교역이 는다는 이야기는 법적문제도 많아 질수 있다는 걸 의미, 대비가 필요..."

유럽을 합중국으로까지 이끌고 있는 동력은 지난 200년간 유럽이 치렀던 전쟁과 갈등의 댓가 때문입니다.

<인터뷰> 게르하르트 스탈(유럽지역위원회 사무총장) : "오직 함께 할때만 풀리는 문제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배운 겁니다."

오늘의 유럽인들은 대화와 타협을 통해 차근 차근 평화가 뿌리내린 통합유럽의 꿈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습니다.

브뤼셀에서 KBS 뉴스 정제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럽합중국’ 통합의 현장
    • 입력 2010-01-03 21:56:42
    뉴스 9
<앵커 멘트> 새해 유럽이 명실상부한 유럽합중국으로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그 통합의 현장을 정제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구 백만 남짓이지만 벨기에 브뤼셀은 이제 유럽의 수도가 됐습니다. EU, 즉, 유럽 연합의 공무원만 만 명, 27개 회원국들의 파견 직원들에다, 로비스트 만 5천여명까지 새해부터 본격행보에 들어가는 유럽합중국의 심장부가 되고 있습니다. 정부 격인 EU 집행위등의 회의만 한 해 18000 건, 결정내용은 23개 공식 언어로 경마 생중계하듯 발표됩니다. 때문에 통역사 수만도 4천 5백여명, 통역 비용만 한해 우리 돈 4천억원이 넘습니다. <인터뷰> 조베르가(통역사) : "유럽통합의 역사적 순간들에 함께 했다 그때는 무척 감격적이었다." 확장일로에 있는 유럽공동체는 이미 인구 약 5억 명으로 미국의 3억여 명보다 많고, 총생산도 18조 달러를 넘어 14조 달러 남짓한 미국을 앞질렀습니다. 따라서 유럽 합중국으로 거듭난 거대 유럽시장은 그 변화도 큽니다. 한 예로 국제 담합관련 벌금 부과액이 지난 2000년과 2004년 사이 약 37억 유로이던 것이 이후 5년 동안은 94억 유로로 크게 느는 추세입니다. 올해 중 FTA 발효를 추진중인 우리로서는 이같은 변화에 대한 대응이 시급합니다. <인터뷰> 박준우 대사(주유럽연합대표부) : "교역이 는다는 이야기는 법적문제도 많아 질수 있다는 걸 의미, 대비가 필요..." 유럽을 합중국으로까지 이끌고 있는 동력은 지난 200년간 유럽이 치렀던 전쟁과 갈등의 댓가 때문입니다. <인터뷰> 게르하르트 스탈(유럽지역위원회 사무총장) : "오직 함께 할때만 풀리는 문제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배운 겁니다." 오늘의 유럽인들은 대화와 타협을 통해 차근 차근 평화가 뿌리내린 통합유럽의 꿈을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고 있습니다. 브뤼셀에서 KBS 뉴스 정제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