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굴 굴착기도 가뭄극복 나섰다
입력 2001.06.0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말라가는 농토에는 땅굴 탐사에 이용되던 군부대 대형 시추기까지 동원됐습니다.
박상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물을 찾지 못해 모를 심지 못했던 농민들은 이제야 마음이 놓입니다.
과거 땅굴탐사와 시추에 이용되던 군부대 대형 시추기가 불가능이라 생각했던 지역에서 물줄기를 찾아냈기 때문입니다.
관정작업을 통해 퍼올린 물은 군부대 급수차를 통해 마른 논에 공급됩니다.
⊙왕영남(농민): 소형 관정을 뚫어도 암반층이 많기 때문에 물을 찾을 수가 없어요.
그래서 이런 대형 장비가 들어와서 물을 뚫어야만이...
⊙기자: 그 동안 땅굴탐사를 통해 쌓은 노하우로 관정작업의 정확도를 높였기 때문입니다.
⊙권송대(육국 도하단): 수맥탐사 장비를 가지고 지하 100m까지 정밀 탐사 후 저희가 시추하게 됐습니다.
⊙기자: 육군은 가뭄으로 고통을 받는 농민들을 돕는 것이 국토방위만큼 중요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관정작업에는 지하 1km까지 시추가 가능한 최신 장비가 투입됐습니다.
육군은 가뭄이 극심한 지역에 과거 땅굴 탐사 등에 이용되던 대형 시추기 28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상용입니다.
박상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물을 찾지 못해 모를 심지 못했던 농민들은 이제야 마음이 놓입니다.
과거 땅굴탐사와 시추에 이용되던 군부대 대형 시추기가 불가능이라 생각했던 지역에서 물줄기를 찾아냈기 때문입니다.
관정작업을 통해 퍼올린 물은 군부대 급수차를 통해 마른 논에 공급됩니다.
⊙왕영남(농민): 소형 관정을 뚫어도 암반층이 많기 때문에 물을 찾을 수가 없어요.
그래서 이런 대형 장비가 들어와서 물을 뚫어야만이...
⊙기자: 그 동안 땅굴탐사를 통해 쌓은 노하우로 관정작업의 정확도를 높였기 때문입니다.
⊙권송대(육국 도하단): 수맥탐사 장비를 가지고 지하 100m까지 정밀 탐사 후 저희가 시추하게 됐습니다.
⊙기자: 육군은 가뭄으로 고통을 받는 농민들을 돕는 것이 국토방위만큼 중요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관정작업에는 지하 1km까지 시추가 가능한 최신 장비가 투입됐습니다.
육군은 가뭄이 극심한 지역에 과거 땅굴 탐사 등에 이용되던 대형 시추기 28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상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땅굴 굴착기도 가뭄극복 나섰다
-
- 입력 2001-06-0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말라가는 농토에는 땅굴 탐사에 이용되던 군부대 대형 시추기까지 동원됐습니다.
박상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물을 찾지 못해 모를 심지 못했던 농민들은 이제야 마음이 놓입니다.
과거 땅굴탐사와 시추에 이용되던 군부대 대형 시추기가 불가능이라 생각했던 지역에서 물줄기를 찾아냈기 때문입니다.
관정작업을 통해 퍼올린 물은 군부대 급수차를 통해 마른 논에 공급됩니다.
⊙왕영남(농민): 소형 관정을 뚫어도 암반층이 많기 때문에 물을 찾을 수가 없어요.
그래서 이런 대형 장비가 들어와서 물을 뚫어야만이...
⊙기자: 그 동안 땅굴탐사를 통해 쌓은 노하우로 관정작업의 정확도를 높였기 때문입니다.
⊙권송대(육국 도하단): 수맥탐사 장비를 가지고 지하 100m까지 정밀 탐사 후 저희가 시추하게 됐습니다.
⊙기자: 육군은 가뭄으로 고통을 받는 농민들을 돕는 것이 국토방위만큼 중요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관정작업에는 지하 1km까지 시추가 가능한 최신 장비가 투입됐습니다.
육군은 가뭄이 극심한 지역에 과거 땅굴 탐사 등에 이용되던 대형 시추기 28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상용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