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기존의 기업을 세종시로 이전 유치하지는 않겠다는 정부수정안에 수도권 자치단체들은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세종시에 주는 파격적인 혜택으로 수도권이 역차별을 받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송명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기도는 정부가 내세운 교육과학중심의 경제도시라는 세종시의 새로운 해법이 충청도의 표를 의식한 또 다른 인기영합 정책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습니다.
무엇보다도 세종시에 파격적인 혜택을 줘 기업과 연구소를 유치하려는 방안이 결국, 경기도에는 역차별로 다가올 것이라고 우려합니다.
말이 나온 김에 경기도를 묶고 있는 개발의 족쇄, 그러니까 수도권 정비법과 공장총량제를 풀어달라고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인터뷰>김문수(경기도지사): "수도권이라고 묶어두지 말고 마땅한 관심과 배려를 기울여 주시기를..."
다만, 행정부처 이전을 백지화한 조치는 '잘한 일'이라고 환영했습니다.
인천시도 수정안이 세종시와 충청인들에게 미래의 대안이 될 것이라고 보고 기본 정책 방향에는 동의했습니다.
견해는 좀 달랐지만 세종시 만큼 인천 경제자유구역도 규제가 풀려야 한다는 선에서 정리하고 한발 더 가아가지는 않았습니다.
서울시는 세종시 수정안이 적절하다고 호평했습니다.
<인터뷰>정효성(대변인): "잘못된 정부기관 이전보다는 큰 기업이 참여하는 수정안을 통해 효율적인 충청권 경제발전과 함께 시간단축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서울시는 수정안을 검토한 뒤 정부에 협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기존의 기업을 세종시로 이전 유치하지는 않겠다는 정부수정안에 수도권 자치단체들은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세종시에 주는 파격적인 혜택으로 수도권이 역차별을 받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송명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기도는 정부가 내세운 교육과학중심의 경제도시라는 세종시의 새로운 해법이 충청도의 표를 의식한 또 다른 인기영합 정책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습니다.
무엇보다도 세종시에 파격적인 혜택을 줘 기업과 연구소를 유치하려는 방안이 결국, 경기도에는 역차별로 다가올 것이라고 우려합니다.
말이 나온 김에 경기도를 묶고 있는 개발의 족쇄, 그러니까 수도권 정비법과 공장총량제를 풀어달라고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인터뷰>김문수(경기도지사): "수도권이라고 묶어두지 말고 마땅한 관심과 배려를 기울여 주시기를..."
다만, 행정부처 이전을 백지화한 조치는 '잘한 일'이라고 환영했습니다.
인천시도 수정안이 세종시와 충청인들에게 미래의 대안이 될 것이라고 보고 기본 정책 방향에는 동의했습니다.
견해는 좀 달랐지만 세종시 만큼 인천 경제자유구역도 규제가 풀려야 한다는 선에서 정리하고 한발 더 가아가지는 않았습니다.
서울시는 세종시 수정안이 적절하다고 호평했습니다.
<인터뷰>정효성(대변인): "잘못된 정부기관 이전보다는 큰 기업이 참여하는 수정안을 통해 효율적인 충청권 경제발전과 함께 시간단축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서울시는 수정안을 검토한 뒤 정부에 협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종시 혜택, 수도권 역차별 우려”
-
- 입력 2010-01-12 07:04:18

<앵커 멘트>
기존의 기업을 세종시로 이전 유치하지는 않겠다는 정부수정안에 수도권 자치단체들은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세종시에 주는 파격적인 혜택으로 수도권이 역차별을 받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송명희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기도는 정부가 내세운 교육과학중심의 경제도시라는 세종시의 새로운 해법이 충청도의 표를 의식한 또 다른 인기영합 정책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습니다.
무엇보다도 세종시에 파격적인 혜택을 줘 기업과 연구소를 유치하려는 방안이 결국, 경기도에는 역차별로 다가올 것이라고 우려합니다.
말이 나온 김에 경기도를 묶고 있는 개발의 족쇄, 그러니까 수도권 정비법과 공장총량제를 풀어달라고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인터뷰>김문수(경기도지사): "수도권이라고 묶어두지 말고 마땅한 관심과 배려를 기울여 주시기를..."
다만, 행정부처 이전을 백지화한 조치는 '잘한 일'이라고 환영했습니다.
인천시도 수정안이 세종시와 충청인들에게 미래의 대안이 될 것이라고 보고 기본 정책 방향에는 동의했습니다.
견해는 좀 달랐지만 세종시 만큼 인천 경제자유구역도 규제가 풀려야 한다는 선에서 정리하고 한발 더 가아가지는 않았습니다.
서울시는 세종시 수정안이 적절하다고 호평했습니다.
<인터뷰>정효성(대변인): "잘못된 정부기관 이전보다는 큰 기업이 참여하는 수정안을 통해 효율적인 충청권 경제발전과 함께 시간단축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서울시는 수정안을 검토한 뒤 정부에 협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
-
송명희 기자 thimble@kbs.co.kr
송명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세종시 논란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