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마찰, 양국 경제 후폭풍 우려

입력 2010.02.01 (22: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타이완에 무기를 팔겠다는 미국에 맞서 중국이 관련 기업 제재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반미 여론이 번져가면서 '경제 보복' 주장까지 나옵니다.

베이징, 강석훈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타이완 무기판매 계획에 대해 중국은 경제 제재 카드를 빼들 태세입니다.

방식은 이른바, 표적 제재 보잉사와 록히드 마틴사 등 이번 조처와 관련된 기업을 우선적으로 제재한다는 겁니다.

<인터뷰> 진 칸롱(중국 인민대 국제학부 부학장) :

중국 언론이나 인터넷에는 미국에 대한 경제적 보복론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천웨이롱(의류업) : "이런 기업들이 타이완에 무기를 팔면 당연히 중국이 제재해야죠. 그렇지 않아요?"

예를 들어 중국에게 앞으로 18년간 필요한 항공기는 4천 여대.

우리 돈 400조원에 이르는 이 구매에서 미국을 완전 배제하는 방법 등도 현실적 대안입니다.

또 미국 제품에 대해 엄격한 심사, 또는 언론을 통한 이미지 악화 등 우회적 제재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은 오바마 대통령의 달라이 라마 면담과 중국 인권 문제 제기 등으로 거침없이 압박하고 있습니다.

미국 언론은 지난 1년간 미국을 밀어 붙여온 중국에 대해 미국이 반격의 서막을 연 데 불과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 내부에서는 첨단 무기의 시험과 도입을 할 명분을 얻었다고 보는 등 후폭풍은 전방위로 퍼져나갈 분위기가 엿보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강석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중 마찰, 양국 경제 후폭풍 우려
    • 입력 2010-02-01 22:27:25
    뉴스 9
<앵커 멘트> 타이완에 무기를 팔겠다는 미국에 맞서 중국이 관련 기업 제재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반미 여론이 번져가면서 '경제 보복' 주장까지 나옵니다. 베이징, 강석훈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의 타이완 무기판매 계획에 대해 중국은 경제 제재 카드를 빼들 태세입니다. 방식은 이른바, 표적 제재 보잉사와 록히드 마틴사 등 이번 조처와 관련된 기업을 우선적으로 제재한다는 겁니다. <인터뷰> 진 칸롱(중국 인민대 국제학부 부학장) : 중국 언론이나 인터넷에는 미국에 대한 경제적 보복론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천웨이롱(의류업) : "이런 기업들이 타이완에 무기를 팔면 당연히 중국이 제재해야죠. 그렇지 않아요?" 예를 들어 중국에게 앞으로 18년간 필요한 항공기는 4천 여대. 우리 돈 400조원에 이르는 이 구매에서 미국을 완전 배제하는 방법 등도 현실적 대안입니다. 또 미국 제품에 대해 엄격한 심사, 또는 언론을 통한 이미지 악화 등 우회적 제재를 할 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은 오바마 대통령의 달라이 라마 면담과 중국 인권 문제 제기 등으로 거침없이 압박하고 있습니다. 미국 언론은 지난 1년간 미국을 밀어 붙여온 중국에 대해 미국이 반격의 서막을 연 데 불과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 내부에서는 첨단 무기의 시험과 도입을 할 명분을 얻었다고 보는 등 후폭풍은 전방위로 퍼져나갈 분위기가 엿보입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강석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