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파업 불편 가중, 내일 파업 확산될 듯
입력 2001.06.13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가뭄 관련 소식은 잠시 후 또 전해 드리겠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대형 병원들의 파업이 예정대로 시작됐습니다.
다행히 파업 참가율이 낮고 일부 병원들의 협상 타결로 환자들의 불편은 예상보다 적었습니다.
보도에 박주경 기자입니다.
⊙기자: 우려했던 대형 병원들의 파업이 시작됐습니다.
서울대병원과 이화여대등 전국에서 7개 대형 병원 노조원들이 시각까지 파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파업중인 병원의 경우 간호사와 행정인력이 크게 줄면서 환자들의 불편이 잇따랐습니다.
⊙진료 대기 환자: 혼잡한 건 말할 수도 없잖아요.
병원 안에서 이렇게 해야 되는지 밖에서 해야 하는지 안에서 해야 하는지...
⊙기자: 또 식당인력이 파업에 참여한 일부 병원에서는 입원 환자들이 도시락으로 환자식을 대신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예상보다 파업 참가율이 낮아 응급실과, 중환자실, 수술실 등은 정상적으로 운영됐습니다.
외래 진료 역시 비상 인력 투입을 통해 큰 차질없이 진행됐습니다.
⊙인터뷰: 마지막으로 여러분들에게 근무 복귀 지침을 내리고자 합니다.
⊙기자: 오후들어 가톨릭대학의 성모병원 3곳과 동국대 경주와 포항병원 등 5곳 병원의 노사 협상이 타결됐으며 경희의료원과 경북대병원 노조도 오전에 파업 계획을 철회해 파업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았습니다.
⊙이정숙(보호자): 이런 일이 다시는 없고, 없기를 바라고 적당한 선에서 서로 양쪽에 해결이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기자: 현재 파업중인 병원 노조를 비롯해 파업 예정인 노조들도 병원측과 협상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내일은 한양대병원과 고신의료원, 경상대병원 등 대형 병원 3곳이 파업에 동참할 예정이고 오는 20일까지는 병원 40여 군데가 추가로 파업에 들어가는 것으로 예정돼 있습니다.
KBS뉴스 박주경입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대형 병원들의 파업이 예정대로 시작됐습니다.
다행히 파업 참가율이 낮고 일부 병원들의 협상 타결로 환자들의 불편은 예상보다 적었습니다.
보도에 박주경 기자입니다.
⊙기자: 우려했던 대형 병원들의 파업이 시작됐습니다.
서울대병원과 이화여대등 전국에서 7개 대형 병원 노조원들이 시각까지 파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파업중인 병원의 경우 간호사와 행정인력이 크게 줄면서 환자들의 불편이 잇따랐습니다.
⊙진료 대기 환자: 혼잡한 건 말할 수도 없잖아요.
병원 안에서 이렇게 해야 되는지 밖에서 해야 하는지 안에서 해야 하는지...
⊙기자: 또 식당인력이 파업에 참여한 일부 병원에서는 입원 환자들이 도시락으로 환자식을 대신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예상보다 파업 참가율이 낮아 응급실과, 중환자실, 수술실 등은 정상적으로 운영됐습니다.
외래 진료 역시 비상 인력 투입을 통해 큰 차질없이 진행됐습니다.
⊙인터뷰: 마지막으로 여러분들에게 근무 복귀 지침을 내리고자 합니다.
⊙기자: 오후들어 가톨릭대학의 성모병원 3곳과 동국대 경주와 포항병원 등 5곳 병원의 노사 협상이 타결됐으며 경희의료원과 경북대병원 노조도 오전에 파업 계획을 철회해 파업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았습니다.
⊙이정숙(보호자): 이런 일이 다시는 없고, 없기를 바라고 적당한 선에서 서로 양쪽에 해결이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기자: 현재 파업중인 병원 노조를 비롯해 파업 예정인 노조들도 병원측과 협상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내일은 한양대병원과 고신의료원, 경상대병원 등 대형 병원 3곳이 파업에 동참할 예정이고 오는 20일까지는 병원 40여 군데가 추가로 파업에 들어가는 것으로 예정돼 있습니다.
KBS뉴스 박주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병원파업 불편 가중, 내일 파업 확산될 듯
-
- 입력 2001-06-13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가뭄 관련 소식은 잠시 후 또 전해 드리겠습니다.
다음 소식입니다.
대형 병원들의 파업이 예정대로 시작됐습니다.
다행히 파업 참가율이 낮고 일부 병원들의 협상 타결로 환자들의 불편은 예상보다 적었습니다.
보도에 박주경 기자입니다.
⊙기자: 우려했던 대형 병원들의 파업이 시작됐습니다.
서울대병원과 이화여대등 전국에서 7개 대형 병원 노조원들이 시각까지 파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파업중인 병원의 경우 간호사와 행정인력이 크게 줄면서 환자들의 불편이 잇따랐습니다.
⊙진료 대기 환자: 혼잡한 건 말할 수도 없잖아요.
병원 안에서 이렇게 해야 되는지 밖에서 해야 하는지 안에서 해야 하는지...
⊙기자: 또 식당인력이 파업에 참여한 일부 병원에서는 입원 환자들이 도시락으로 환자식을 대신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예상보다 파업 참가율이 낮아 응급실과, 중환자실, 수술실 등은 정상적으로 운영됐습니다.
외래 진료 역시 비상 인력 투입을 통해 큰 차질없이 진행됐습니다.
⊙인터뷰: 마지막으로 여러분들에게 근무 복귀 지침을 내리고자 합니다.
⊙기자: 오후들어 가톨릭대학의 성모병원 3곳과 동국대 경주와 포항병원 등 5곳 병원의 노사 협상이 타결됐으며 경희의료원과 경북대병원 노조도 오전에 파업 계획을 철회해 파업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았습니다.
⊙이정숙(보호자): 이런 일이 다시는 없고, 없기를 바라고 적당한 선에서 서로 양쪽에 해결이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기자: 현재 파업중인 병원 노조를 비롯해 파업 예정인 노조들도 병원측과 협상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내일은 한양대병원과 고신의료원, 경상대병원 등 대형 병원 3곳이 파업에 동참할 예정이고 오는 20일까지는 병원 40여 군데가 추가로 파업에 들어가는 것으로 예정돼 있습니다.
KBS뉴스 박주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