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삶 속의 ‘호랑이’, 다채로운 모습

입력 2010.02.15 (07: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올해는 경인년, '백 호랑이해'라고도 하는데요, 예로부터 호랑이는 '경외'의 대상으로, 때론 친근함으로 우리 삶 속에 자리해 왔습니다.

그 다채로운 모습들을 박영하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호랑이 그림은 반구대 암각화에 있습니다.

줄무늬와 꼬리가 선명한 호랑이와 표범으로 추정되는 점박이 동물도 보입니다.

호랑이가 선사시대부터 이미 그림의 대상이었음을 의미합니다.

전통의 호랑이 그림을 대표하는 것은 민화의 한 종류인 일명 '호작도'로, 까치 호랑이 그림입니다.

소나무와 까치는 정월과 새 소식을 상징하고, 표범의 '표'는 중국어로 알릴 '보'자와 발음이 같아, '새해를 맞아 기쁜 소식을 알린다'는 의밉니다.

특히 민화에 등장하는 '담배피는 호랑이'는 호랑이를 어른 대접하며 친근감 있는 존재로 그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양명학(울산 대곡박물관장) : "담배를 물려주며 사나운 습성을 순화시키려는 뜻도 담고 있고..."

호랑이는 또 예부터 악을 쫓고 경사를 맞이한다는 '벽사진경'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각종 부적에 다양한 호랑이가 등장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떡살과 아이들의 방한모에 그려진 호랑이 문양도 유사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인터뷰> 양명학(울산 대곡박물관장) : "떡을 먹다가 체하거나 식중독 걸리는 것을 막자는 뜻을 담고 있다."

민족의 삶과 함께한 호랑이의 다양한 모습들은 오는 21일까지 호랑이 특별전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박영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 삶 속의 ‘호랑이’, 다채로운 모습
    • 입력 2010-02-15 07:50:48
    뉴스광장
<앵커 멘트> 올해는 경인년, '백 호랑이해'라고도 하는데요, 예로부터 호랑이는 '경외'의 대상으로, 때론 친근함으로 우리 삶 속에 자리해 왔습니다. 그 다채로운 모습들을 박영하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호랑이 그림은 반구대 암각화에 있습니다. 줄무늬와 꼬리가 선명한 호랑이와 표범으로 추정되는 점박이 동물도 보입니다. 호랑이가 선사시대부터 이미 그림의 대상이었음을 의미합니다. 전통의 호랑이 그림을 대표하는 것은 민화의 한 종류인 일명 '호작도'로, 까치 호랑이 그림입니다. 소나무와 까치는 정월과 새 소식을 상징하고, 표범의 '표'는 중국어로 알릴 '보'자와 발음이 같아, '새해를 맞아 기쁜 소식을 알린다'는 의밉니다. 특히 민화에 등장하는 '담배피는 호랑이'는 호랑이를 어른 대접하며 친근감 있는 존재로 그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양명학(울산 대곡박물관장) : "담배를 물려주며 사나운 습성을 순화시키려는 뜻도 담고 있고..." 호랑이는 또 예부터 악을 쫓고 경사를 맞이한다는 '벽사진경'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각종 부적에 다양한 호랑이가 등장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떡살과 아이들의 방한모에 그려진 호랑이 문양도 유사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인터뷰> 양명학(울산 대곡박물관장) : "떡을 먹다가 체하거나 식중독 걸리는 것을 막자는 뜻을 담고 있다." 민족의 삶과 함께한 호랑이의 다양한 모습들은 오는 21일까지 호랑이 특별전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KBS 뉴스 박영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