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15도를 웃도는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남녘 섬에서는 해녀들의 물질과 밭농사 준비가 시작됐습니다.
봄 정취가 물씬 느껴지는 청산도에 김효신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완도에서 20여km 떨어진 청산도에 봄 기운이 완연합니다.
날이 풀리면서 해산물을 채취하는 해녀들의 물질이 분주합니다.
<인터뷰> "겨울에 작업을 못 했는데 따뜻해져서 나왔어요."
바구니와 호미를 든 아낙네들이 삼삼오오 보리밭에 모여 김을 매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절로 나는 노랫가락에 힘든 줄도 모릅니다.
10년 지기 소에 쟁기를 걸고 밭을 갈며 한 해 농사를 준비합니다.
<인터뷰> 최병천(청산도 서편제 마을) : "맨땅을 얼른 갈아놔야 비오면 못자리를 할 수 있으니까.."
바닷가에서는 불등가사리를 뜯는 손길이 바쁩니다.
불등가사리는 16도 이상의 바다에서만 나기 때문에 봄철 대표적인 해조류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터뷰> 이금지(완도군 신지면 동고리) : "우리는 국도 끓여 먹고 말려서 애들도 주고..."
따스한 햇살과 훈훈한 바람 속에 남녘 섬 곳곳이 봄 정취에 젖어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15도를 웃도는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남녘 섬에서는 해녀들의 물질과 밭농사 준비가 시작됐습니다.
봄 정취가 물씬 느껴지는 청산도에 김효신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완도에서 20여km 떨어진 청산도에 봄 기운이 완연합니다.
날이 풀리면서 해산물을 채취하는 해녀들의 물질이 분주합니다.
<인터뷰> "겨울에 작업을 못 했는데 따뜻해져서 나왔어요."
바구니와 호미를 든 아낙네들이 삼삼오오 보리밭에 모여 김을 매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절로 나는 노랫가락에 힘든 줄도 모릅니다.
10년 지기 소에 쟁기를 걸고 밭을 갈며 한 해 농사를 준비합니다.
<인터뷰> 최병천(청산도 서편제 마을) : "맨땅을 얼른 갈아놔야 비오면 못자리를 할 수 있으니까.."
바닷가에서는 불등가사리를 뜯는 손길이 바쁩니다.
불등가사리는 16도 이상의 바다에서만 나기 때문에 봄철 대표적인 해조류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터뷰> 이금지(완도군 신지면 동고리) : "우리는 국도 끓여 먹고 말려서 애들도 주고..."
따스한 햇살과 훈훈한 바람 속에 남녘 섬 곳곳이 봄 정취에 젖어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산도, 봄 정취 ‘물씬’
-
- 입력 2010-03-01 07:47:09
- 수정2010-03-01 08:03:58

<앵커 멘트>
15도를 웃도는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남녘 섬에서는 해녀들의 물질과 밭농사 준비가 시작됐습니다.
봄 정취가 물씬 느껴지는 청산도에 김효신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완도에서 20여km 떨어진 청산도에 봄 기운이 완연합니다.
날이 풀리면서 해산물을 채취하는 해녀들의 물질이 분주합니다.
<인터뷰> "겨울에 작업을 못 했는데 따뜻해져서 나왔어요."
바구니와 호미를 든 아낙네들이 삼삼오오 보리밭에 모여 김을 매느라 여념이 없습니다.
절로 나는 노랫가락에 힘든 줄도 모릅니다.
10년 지기 소에 쟁기를 걸고 밭을 갈며 한 해 농사를 준비합니다.
<인터뷰> 최병천(청산도 서편제 마을) : "맨땅을 얼른 갈아놔야 비오면 못자리를 할 수 있으니까.."
바닷가에서는 불등가사리를 뜯는 손길이 바쁩니다.
불등가사리는 16도 이상의 바다에서만 나기 때문에 봄철 대표적인 해조류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터뷰> 이금지(완도군 신지면 동고리) : "우리는 국도 끓여 먹고 말려서 애들도 주고..."
따스한 햇살과 훈훈한 바람 속에 남녘 섬 곳곳이 봄 정취에 젖어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
-
김효신 기자 shiny33@kbs.co.kr
김효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