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함경도지역 3.1운동 자료 발굴
입력 2010.03.01 (22:04)
수정 2010.03.01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일제 강점기, 북한지역 주민들은 어떻게 삼일운동에 참여했을까요?
당시 상황을 생생히 전하는 소중한 자료가 발견됐습니다.
박대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91년 전 3월 4일 함경도 지역에 뿌려진 독립선언문, 하늘과 땅을 울렸던 그날의 함성이 생생하게 느껴집니다.
국내에 몇 장 남지 않은 원본으로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삼일 운동의 들불이 단 사흘 만에 북녁 땅까지 타올랐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인터뷰>박한용(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 : "선언서의 뒷면을 보게 되면 순사가 습득한 종이라고 돼 있습니다. 함경도 지역에서 바로 직접 시위를 할 때 뿌려졌던 것이고"
이 독립선언문은 조선 총독부 이시카와 검사가 함경도 지역에서 3.1 운동에 참가한 540명을 기소하면서 만든 자료 속에서 자료 속에서 발견됐습니다.
3.1운동 소식이 들리자 함경남도 북청 지역 교사 고명철 등 4명이 일본식 연호 사용을 반대하며 면 사무소에 불을 질렀다는 내용 등 독립 운동사가 자세히 기록돼 있습니다.
고 씨 등은 징역 4년 형을 받았지만 국가유공자로 선정되지 못했습니다.
기소된 540명 가운데 단 24명만 국가유공자로 지정됐는데, 북한 지역의 삼일운동사를 밝혀줄 자료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박환(수원대 사학과 교수) : "지금까지 삼일운동과 관련된 부분은 대부분 남한 지역을 중심으로 이뤄졌었는데요. 독립유공자의 새로운 발굴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이번에 발굴된 자료들은 민족문제연구소 자료관에 전시됩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일제 강점기, 북한지역 주민들은 어떻게 삼일운동에 참여했을까요?
당시 상황을 생생히 전하는 소중한 자료가 발견됐습니다.
박대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91년 전 3월 4일 함경도 지역에 뿌려진 독립선언문, 하늘과 땅을 울렸던 그날의 함성이 생생하게 느껴집니다.
국내에 몇 장 남지 않은 원본으로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삼일 운동의 들불이 단 사흘 만에 북녁 땅까지 타올랐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인터뷰>박한용(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 : "선언서의 뒷면을 보게 되면 순사가 습득한 종이라고 돼 있습니다. 함경도 지역에서 바로 직접 시위를 할 때 뿌려졌던 것이고"
이 독립선언문은 조선 총독부 이시카와 검사가 함경도 지역에서 3.1 운동에 참가한 540명을 기소하면서 만든 자료 속에서 자료 속에서 발견됐습니다.
3.1운동 소식이 들리자 함경남도 북청 지역 교사 고명철 등 4명이 일본식 연호 사용을 반대하며 면 사무소에 불을 질렀다는 내용 등 독립 운동사가 자세히 기록돼 있습니다.
고 씨 등은 징역 4년 형을 받았지만 국가유공자로 선정되지 못했습니다.
기소된 540명 가운데 단 24명만 국가유공자로 지정됐는데, 북한 지역의 삼일운동사를 밝혀줄 자료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박환(수원대 사학과 교수) : "지금까지 삼일운동과 관련된 부분은 대부분 남한 지역을 중심으로 이뤄졌었는데요. 독립유공자의 새로운 발굴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이번에 발굴된 자료들은 민족문제연구소 자료관에 전시됩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함경도지역 3.1운동 자료 발굴
-
- 입력 2010-03-01 22:04:30
- 수정2010-03-01 22:08:04

<앵커 멘트>
일제 강점기, 북한지역 주민들은 어떻게 삼일운동에 참여했을까요?
당시 상황을 생생히 전하는 소중한 자료가 발견됐습니다.
박대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91년 전 3월 4일 함경도 지역에 뿌려진 독립선언문, 하늘과 땅을 울렸던 그날의 함성이 생생하게 느껴집니다.
국내에 몇 장 남지 않은 원본으로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삼일 운동의 들불이 단 사흘 만에 북녁 땅까지 타올랐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인터뷰>박한용(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 : "선언서의 뒷면을 보게 되면 순사가 습득한 종이라고 돼 있습니다. 함경도 지역에서 바로 직접 시위를 할 때 뿌려졌던 것이고"
이 독립선언문은 조선 총독부 이시카와 검사가 함경도 지역에서 3.1 운동에 참가한 540명을 기소하면서 만든 자료 속에서 자료 속에서 발견됐습니다.
3.1운동 소식이 들리자 함경남도 북청 지역 교사 고명철 등 4명이 일본식 연호 사용을 반대하며 면 사무소에 불을 질렀다는 내용 등 독립 운동사가 자세히 기록돼 있습니다.
고 씨 등은 징역 4년 형을 받았지만 국가유공자로 선정되지 못했습니다.
기소된 540명 가운데 단 24명만 국가유공자로 지정됐는데, 북한 지역의 삼일운동사를 밝혀줄 자료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박환(수원대 사학과 교수) : "지금까지 삼일운동과 관련된 부분은 대부분 남한 지역을 중심으로 이뤄졌었는데요. 독립유공자의 새로운 발굴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이번에 발굴된 자료들은 민족문제연구소 자료관에 전시됩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
박대기 기자 waiting@kbs.co.kr
박대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