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5백만 시대…‘더 늙고, 더 외롭다’

입력 2010.03.04 (21:56) 수정 2010.03.04 (22: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5백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나홀로  노인 가구 급증이 사회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첫 소식,  김준범 기자입니다.



<리포트>



복지 시설의 당구장입니다.



당구를 즐기는 노인은 열 명 남짓.



앉아서 기다리는 노인들이 몇 배는 많습니다.



바둑 대국실도 자리를 못 잡고 훈수두는 노인들이 넘쳐납니다.



헬스장도 빈 곳이 없습니다.



<인터뷰>이용주(78세) : "배우고 싶어도 도저히 장소 문제 때문에, 하고 싶어도 순번을 기다려야 되고..."



노인 시설론 국내 최대인 이 곳은 10년 째인 올해 이용자가 정원의 서른 배를 넘었습니다.



노인 급증세의 단적인 사례입니다.



실제 지난 1980년 14살 이하는 전체 인구의 34%, 65살 이상은 3.8%였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노인 인구는 10%대까지 늘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15살과 64살 사이의 인구 백 명이 부양해야 하는 노인은 6.1명에서 14.7명으로 뛰었습니다.



또다른 문제는 노인 10명 중 3명 가량이 배우자도 없이 혼자 산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나홀로 가구’는 5곳 중 1곳 꼴로 늘었습니다.



<인터뷰>이삼식(보사연 ’저출산고령화’실장) : "누군가에게 보호를 받아야 하는 계층인데 가족의 사적 지원 기능이 약화된 상황에서 그만큼 국가 사회의 부담이 증가할 수 밖에 없어..."



준비 없이 맞은 고령화, 그만큼 우리 가정은 ’더 늙고, 더 외로워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인 5백만 시대…‘더 늙고, 더 외롭다’
    • 입력 2010-03-04 21:56:40
    • 수정2010-03-04 22:34:35
    뉴스 9
<앵커 멘트>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5백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나홀로  노인 가구 급증이 사회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첫 소식,  김준범 기자입니다.

<리포트>

복지 시설의 당구장입니다.

당구를 즐기는 노인은 열 명 남짓.

앉아서 기다리는 노인들이 몇 배는 많습니다.

바둑 대국실도 자리를 못 잡고 훈수두는 노인들이 넘쳐납니다.

헬스장도 빈 곳이 없습니다.

<인터뷰>이용주(78세) : "배우고 싶어도 도저히 장소 문제 때문에, 하고 싶어도 순번을 기다려야 되고..."

노인 시설론 국내 최대인 이 곳은 10년 째인 올해 이용자가 정원의 서른 배를 넘었습니다.

노인 급증세의 단적인 사례입니다.

실제 지난 1980년 14살 이하는 전체 인구의 34%, 65살 이상은 3.8%였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노인 인구는 10%대까지 늘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15살과 64살 사이의 인구 백 명이 부양해야 하는 노인은 6.1명에서 14.7명으로 뛰었습니다.

또다른 문제는 노인 10명 중 3명 가량이 배우자도 없이 혼자 산다는 점입니다.

이 때문에 ’나홀로 가구’는 5곳 중 1곳 꼴로 늘었습니다.

<인터뷰>이삼식(보사연 ’저출산고령화’실장) : "누군가에게 보호를 받아야 하는 계층인데 가족의 사적 지원 기능이 약화된 상황에서 그만큼 국가 사회의 부담이 증가할 수 밖에 없어..."

준비 없이 맞은 고령화, 그만큼 우리 가정은 ’더 늙고, 더 외로워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