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외로운 건 노인들만이 아닙니다.
결혼이 줄어든 반면 이혼은 늘고 있는데, 지난해 몰아닥친 경제위기 여파가 고스란히 반영돼 있습니다.
계속해서 박일중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정한 나이가 되면 결혼해야 한다는 생각.
요즘 젊은이들은 다릅니다.
일도 더 해야하고 경제적 기반도 갖춰야 한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녹취> 김00(회사원) : "아무래도 아이를 낳으면 양육비도 더 들어가고 하니까 넉넉하게 시작하고 싶어하는 욕심 때문에도..."
이렇게 젊은층의 결혼에 대한 생각이 바뀌고 있는데다 지난해 경기 침체가 더해지면서 결혼이 줄었습니다.
지난해 결혼 건수는 30만 9천 건.
전년보다 만 8천 건이 줄어든 것으로, 2004년 이후 최저 수준입니다.
반면 이혼 건수는 늘면서 지난해 12만 7천 건으로 이혼 숙려제 도입의 영향으로 이혼이 다소 줄었던 2008년보다 만 건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결혼 4년 차 이내에 헤어지는 비중이 30%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유병규(현대경제연구원 본부장) : "결혼이 늦어지고 이혼이 늘어나는 이유는 경제적으로 볼 때 고용상황이 안 좋아지고 소득이 부진한 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결혼이 줄고, 결혼을 하더라도 일찍 헤어지면 출산율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지난해 닥친 경제 위기가 출산율 하락에 대한 고민을 더욱 깊어지게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외로운 건 노인들만이 아닙니다.
결혼이 줄어든 반면 이혼은 늘고 있는데, 지난해 몰아닥친 경제위기 여파가 고스란히 반영돼 있습니다.
계속해서 박일중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정한 나이가 되면 결혼해야 한다는 생각.
요즘 젊은이들은 다릅니다.
일도 더 해야하고 경제적 기반도 갖춰야 한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녹취> 김00(회사원) : "아무래도 아이를 낳으면 양육비도 더 들어가고 하니까 넉넉하게 시작하고 싶어하는 욕심 때문에도..."
이렇게 젊은층의 결혼에 대한 생각이 바뀌고 있는데다 지난해 경기 침체가 더해지면서 결혼이 줄었습니다.
지난해 결혼 건수는 30만 9천 건.
전년보다 만 8천 건이 줄어든 것으로, 2004년 이후 최저 수준입니다.
반면 이혼 건수는 늘면서 지난해 12만 7천 건으로 이혼 숙려제 도입의 영향으로 이혼이 다소 줄었던 2008년보다 만 건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결혼 4년 차 이내에 헤어지는 비중이 30%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유병규(현대경제연구원 본부장) : "결혼이 늦어지고 이혼이 늘어나는 이유는 경제적으로 볼 때 고용상황이 안 좋아지고 소득이 부진한 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결혼이 줄고, 결혼을 하더라도 일찍 헤어지면 출산율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지난해 닥친 경제 위기가 출산율 하락에 대한 고민을 더욱 깊어지게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제 위기에 결혼 줄고 이혼 늘어
-
- 입력 2010-03-04 21:56:41
![](/data/news/2010/03/04/2057952_30.jpg)
<앵커 멘트>
외로운 건 노인들만이 아닙니다.
결혼이 줄어든 반면 이혼은 늘고 있는데, 지난해 몰아닥친 경제위기 여파가 고스란히 반영돼 있습니다.
계속해서 박일중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정한 나이가 되면 결혼해야 한다는 생각.
요즘 젊은이들은 다릅니다.
일도 더 해야하고 경제적 기반도 갖춰야 한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녹취> 김00(회사원) : "아무래도 아이를 낳으면 양육비도 더 들어가고 하니까 넉넉하게 시작하고 싶어하는 욕심 때문에도..."
이렇게 젊은층의 결혼에 대한 생각이 바뀌고 있는데다 지난해 경기 침체가 더해지면서 결혼이 줄었습니다.
지난해 결혼 건수는 30만 9천 건.
전년보다 만 8천 건이 줄어든 것으로, 2004년 이후 최저 수준입니다.
반면 이혼 건수는 늘면서 지난해 12만 7천 건으로 이혼 숙려제 도입의 영향으로 이혼이 다소 줄었던 2008년보다 만 건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결혼 4년 차 이내에 헤어지는 비중이 30%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유병규(현대경제연구원 본부장) : "결혼이 늦어지고 이혼이 늘어나는 이유는 경제적으로 볼 때 고용상황이 안 좋아지고 소득이 부진한 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결혼이 줄고, 결혼을 하더라도 일찍 헤어지면 출산율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지난해 닥친 경제 위기가 출산율 하락에 대한 고민을 더욱 깊어지게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
-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박일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