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가 없어요”…출판·포장업계 ‘비상’

입력 2010.03.23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칠레 지진의 불똥이 출판과 포장업계까지 튀었습니다. 종이를 못 구해서 너도 나도 '울상'입니다.

김시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파주 출판도시에 있는 한 인쇄 업쳅니다.

인쇄용 종이를 평소의 절반 밖에 구하지 못해서 인쇄기 3대 가운데 1대는 멈춰있는 상탭니다.

<인터뷰> 이병로(인쇄업체 관계자) : "1/3도 못 맞춰줍니다/책을 인쇄해야 되는데 종이 공급이 안되니까 기계 가동도 일부 중단된거죠."

출판사들도 종이를 구하느라 바쁩니다.

종이가 들어올 때까지 아예 신간 출판을 미루거나, 원래 쓰려던 종이를 비슷한 종류로 바꿔 사용하고 있습니다.

책 값도 많이 올랐습니다.

<인터뷰> 허윤정(출판사 관계자) : "많게는 20% 오르는 경우도 있구요. 대체로 만 2천원 하던 게 만 3천 원 되고 하는거죠."

이렇게 종이가 귀해진 건 국내 펄프수입량의 30%를 차지하는 칠레 공장들이 지진으로 가동을 중단한데다 유럽 펄프업체의 생산량도 줄었기 때문입니다.

이에따라 펄프 가격도 1년 전 톤 당 470달러에서 770달러까지 치솟았고, 조만간 천 달러를 넘어설 거라는 전망까지 나옵니다.

여기에 폐지값 급등으로 포장 박스도 생산차질을 빚고 있어 다음달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농수산물 출하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인터뷰> 조명덕(포장박스 제조업체) : "박스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면 농수산물이 상하거나 가격이 올라가는 문제가 생기죠."

업체들은 그나마 남아있는 재고가 소진될 경우 종이난이 더 심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시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종이가 없어요”…출판·포장업계 ‘비상’
    • 입력 2010-03-23 21:59:24
    뉴스 9
<앵커 멘트> 칠레 지진의 불똥이 출판과 포장업계까지 튀었습니다. 종이를 못 구해서 너도 나도 '울상'입니다. 김시원 기자입니다. <리포트> 파주 출판도시에 있는 한 인쇄 업쳅니다. 인쇄용 종이를 평소의 절반 밖에 구하지 못해서 인쇄기 3대 가운데 1대는 멈춰있는 상탭니다. <인터뷰> 이병로(인쇄업체 관계자) : "1/3도 못 맞춰줍니다/책을 인쇄해야 되는데 종이 공급이 안되니까 기계 가동도 일부 중단된거죠." 출판사들도 종이를 구하느라 바쁩니다. 종이가 들어올 때까지 아예 신간 출판을 미루거나, 원래 쓰려던 종이를 비슷한 종류로 바꿔 사용하고 있습니다. 책 값도 많이 올랐습니다. <인터뷰> 허윤정(출판사 관계자) : "많게는 20% 오르는 경우도 있구요. 대체로 만 2천원 하던 게 만 3천 원 되고 하는거죠." 이렇게 종이가 귀해진 건 국내 펄프수입량의 30%를 차지하는 칠레 공장들이 지진으로 가동을 중단한데다 유럽 펄프업체의 생산량도 줄었기 때문입니다. 이에따라 펄프 가격도 1년 전 톤 당 470달러에서 770달러까지 치솟았고, 조만간 천 달러를 넘어설 거라는 전망까지 나옵니다. 여기에 폐지값 급등으로 포장 박스도 생산차질을 빚고 있어 다음달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농수산물 출하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인터뷰> 조명덕(포장박스 제조업체) : "박스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면 농수산물이 상하거나 가격이 올라가는 문제가 생기죠." 업체들은 그나마 남아있는 재고가 소진될 경우 종이난이 더 심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시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