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 이변…어종 따라 희비 엇갈려

입력 2010.04.29 (20: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촤근 궂은날씨와 이상저온 현상은 바다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어종에 따라 어획량이 달라져 어민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취재에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산물 공판장 대형 수족관이 온통 꽃게로 가득찼습니다.

그야말로 물 반 꽃게 반 입니다.

최근 강풍이 부는 날씨가 계속되면서 서해에서는 알이 꽉찬 암꽃게가 풍어를 이루고 있습니다.

예년 이맘 때보다 4배 가량 더 잡히고 있습니다.

<인터뷰> 곽관수(비응항 수산물 중매인) : "야행성이거든요. 밤에, 밤에 많이 잡히는데 바람이 많이 불면 꽃게가 일어나요. 바닥에서 떠버린다는 거죠. 조류가 셀 때는 꽃게가 많이 잡히고...."

어민들은 꽃게가 한꺼번에 많이 잡히자 하락 추세인 꽃게 가격이 폭락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반면 주꾸미와 아귀 등 온대성 어종은 바닷물의 온도가 떨어지면서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

위판도 거의 끊겼습니다.

이 때문에 올해 주꾸미 도매가격은 단 한번도 킬로그램당 2만 원대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박재성(군산수협 비응항 공판장장) : "작년 어획량에 3분의 1밖에 안됩니다. 그러다보니까 어획량이 감소되다보니까 일반서민들이 사서 잡술 때에는 소고기보다 더 비싸서 그래서 어려운 점이 많았습니다."

변덕스럽고 추운 날씨, 어민들의 이러다간 바다 생태계가 혹 변하지 않을까 우려합니다.

KBS 뉴스 서승신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상 이변…어종 따라 희비 엇갈려
    • 입력 2010-04-29 20:35:48
    뉴스타임
<앵커 멘트> 촤근 궂은날씨와 이상저온 현상은 바다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어종에 따라 어획량이 달라져 어민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취재에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산물 공판장 대형 수족관이 온통 꽃게로 가득찼습니다. 그야말로 물 반 꽃게 반 입니다. 최근 강풍이 부는 날씨가 계속되면서 서해에서는 알이 꽉찬 암꽃게가 풍어를 이루고 있습니다. 예년 이맘 때보다 4배 가량 더 잡히고 있습니다. <인터뷰> 곽관수(비응항 수산물 중매인) : "야행성이거든요. 밤에, 밤에 많이 잡히는데 바람이 많이 불면 꽃게가 일어나요. 바닥에서 떠버린다는 거죠. 조류가 셀 때는 꽃게가 많이 잡히고...." 어민들은 꽃게가 한꺼번에 많이 잡히자 하락 추세인 꽃게 가격이 폭락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반면 주꾸미와 아귀 등 온대성 어종은 바닷물의 온도가 떨어지면서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 위판도 거의 끊겼습니다. 이 때문에 올해 주꾸미 도매가격은 단 한번도 킬로그램당 2만 원대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박재성(군산수협 비응항 공판장장) : "작년 어획량에 3분의 1밖에 안됩니다. 그러다보니까 어획량이 감소되다보니까 일반서민들이 사서 잡술 때에는 소고기보다 더 비싸서 그래서 어려운 점이 많았습니다." 변덕스럽고 추운 날씨, 어민들의 이러다간 바다 생태계가 혹 변하지 않을까 우려합니다. KBS 뉴스 서승신 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