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상하이 엑스포가 천안함 사태 관련 막후 외교의 장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내일 한중 정상 회담이 열리는데다. 북한도 김영남까지 보냈습니다.
상하이, 원종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명목상 국가원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사상 처음 엑스포에 참가한 북한을 대표해 상하이에 왔지만 얼굴은 다소 굳었습니다.
<녹취>장위(중국 외교부 대변인) : "후진타오 주석은 상하이에서 김영남 위원장을 포함한 외국지도자들과 회담할 예정입니다."
이명박 대통령도 내일 상하이에 도착합니다.
주목되는 건 중국의 후진타오 주석과의 정상회담입니다.
'천안함 사태' 관련 한중간 첫 논의의 자리로 후 주석이 먼저 언급해 올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녹취>장위(중국 외교부 대변인/지난 27일) : "우리도 이 사안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한국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조사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관심을 끄는 건 김영남 위원장 또한 후 주석과 만나고 이 대통령이 참석하는 환영만찬과 개막식에 함께한다는 겁니다.
따라서 이 대통령과 조우하게 될 지에 이목이 모아 지고 있습니다.
이밖에 프랑스 사르코지 대통령 등 각국 정상 20여 명도 내일까지 상하이에 도착합니다.
따라서 천안함 사태 관련 막후 외교의 장이 펼쳐질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원종진입니다.
상하이 엑스포가 천안함 사태 관련 막후 외교의 장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내일 한중 정상 회담이 열리는데다. 북한도 김영남까지 보냈습니다.
상하이, 원종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명목상 국가원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사상 처음 엑스포에 참가한 북한을 대표해 상하이에 왔지만 얼굴은 다소 굳었습니다.
<녹취>장위(중국 외교부 대변인) : "후진타오 주석은 상하이에서 김영남 위원장을 포함한 외국지도자들과 회담할 예정입니다."
이명박 대통령도 내일 상하이에 도착합니다.
주목되는 건 중국의 후진타오 주석과의 정상회담입니다.
'천안함 사태' 관련 한중간 첫 논의의 자리로 후 주석이 먼저 언급해 올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녹취>장위(중국 외교부 대변인/지난 27일) : "우리도 이 사안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한국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조사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관심을 끄는 건 김영남 위원장 또한 후 주석과 만나고 이 대통령이 참석하는 환영만찬과 개막식에 함께한다는 겁니다.
따라서 이 대통령과 조우하게 될 지에 이목이 모아 지고 있습니다.
이밖에 프랑스 사르코지 대통령 등 각국 정상 20여 명도 내일까지 상하이에 도착합니다.
따라서 천안함 사태 관련 막후 외교의 장이 펼쳐질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원종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상하이엑스포, ‘천안함’ 막후 외교의 장
-
- 입력 2010-04-29 22:16:28

<앵커 멘트>
상하이 엑스포가 천안함 사태 관련 막후 외교의 장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내일 한중 정상 회담이 열리는데다. 북한도 김영남까지 보냈습니다.
상하이, 원종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북한의 명목상 국가원수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사상 처음 엑스포에 참가한 북한을 대표해 상하이에 왔지만 얼굴은 다소 굳었습니다.
<녹취>장위(중국 외교부 대변인) : "후진타오 주석은 상하이에서 김영남 위원장을 포함한 외국지도자들과 회담할 예정입니다."
이명박 대통령도 내일 상하이에 도착합니다.
주목되는 건 중국의 후진타오 주석과의 정상회담입니다.
'천안함 사태' 관련 한중간 첫 논의의 자리로 후 주석이 먼저 언급해 올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녹취>장위(중국 외교부 대변인/지난 27일) : "우리도 이 사안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한국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조사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관심을 끄는 건 김영남 위원장 또한 후 주석과 만나고 이 대통령이 참석하는 환영만찬과 개막식에 함께한다는 겁니다.
따라서 이 대통령과 조우하게 될 지에 이목이 모아 지고 있습니다.
이밖에 프랑스 사르코지 대통령 등 각국 정상 20여 명도 내일까지 상하이에 도착합니다.
따라서 천안함 사태 관련 막후 외교의 장이 펼쳐질 가능성이 커보입니다.
상하이에서 KBS 뉴스 원종진입니다.
-
-
원종진 기자 won@kbs.co.kr
원종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