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보유 인구 800만, 자전거 열풍 허와 실!

입력 2010.07.23 (22:03) 수정 2010.07.23 (22: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자전거 800만 시대입니다.



녹색 바람을 타고 정부와 지자체들은 앞다퉈 자전거 도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슈앤뉴스. 오늘은 시청자 여러분이 보내준 의견을 토대로 자전거 열풍의 ’허’와 ’실’을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오종우 기자가 현장에 나가봤습니다.



<리포트>



좁은 길에 만들어 놓은 자전거 도로입니다.



보행자 겸용도로이다 보니 접촉사고가 빈번합니다.



<현장음> "지나갑니다. 비켜비켜"



전용도로로 가던 자전거가 갑자기 멈춰섭니다



전용도로가 중간에 끊겨 어디로 가야할 지 난감합니다.



<인터뷰>홍성민(자전거 이용자):"차도로 가라는 건지, 인도로 가라는 건지 상당히 당황이 됩니다."



도로교통법상 자전거 도로가 없는 곳에선 차도 오른쪽 가장자리로 달려야 하지만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인터뷰>박양자(자전거 이용자):"바짝 자전거 옆으로 붙어서 경적을 울려서 깜짝 놀라서 넘어지는 경우도 있구요."



차로에 들어선 자전거가 버스와 부딪혀 넘어집니다.



자전거 도로가 따로 없다 보니 이런 사고는 늘 일어납니다.



시민의식도 문젭니다. 겨우 틈을 내 만든 자전거 도로는 불법 주차 차량들이 차지해 버렸습니다.



자전거 이용을 대폭 늘리겠다는 것이 정부의 생각이지만, 자전거가 교통수단인지, 레저 수단에 불과한 것인지, 개념조차 명확하지 않습니다.



<질문>



자전거를 운동삼아 타는 분들은 많지만 해외처럼 교통수단으로 이용하기엔 보신대로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임승창 기자 나와 있습니다. 임 기자, 도로, 법규도 그렇지만 이용자들의 고민거리가 또 있다죠?



<답변>



현실적인 문제가 많습니다. 자전거를 타고 좋아하는 사람들은 보관이 늘 걱정입니다.



제대도 보관이 안되다보니 자전거를 잃어버리거나 도난당하는 일도 적지 않은데요.



그 실태를 김상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아파트 단지 내의 자전거 보관소, 워낙 좁다보니 자리를 잡지 못한 자전거들이 곳곳에 널부러져 있습니다.



인도와 잔디밭까지 모두 자전거 차지입니다.



<녹취> 주민:"자전거는 자전거대로 망가지고 지나다닐 때 유모차는 걸리고 불편하죠..."



보관할 곳이 마땅치 않다보니 도난 사고도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녹취> 박수진(주민):" 밖에다 세워놓았더니 밤에 다 잘라 가져 가버린거에요. 자전거 두 대를 잃어버렸거든요."



지하철 역까지 자전거를 타고 와도 거취대가 부족하긴 마찬가지입니다.



자전거 도난이나 파손 사고가 늘다보니 일부 지하철 역에선 이처럼 밀폐형 자전거 보관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자전거도 자동차처럼 경찰서에 등록을 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자전거 관리인:"번호가 있어서 도난됐을 때도 알 수 있어요."



우리나라도 자전거 등록제를 도입할 예정이지만 경찰서가 아닌 구청에 신고만 하는 것이어서 도난 방지와는 거리가 멉니다.



<질문>



길은 불편하고, 보관하기도 어렵고...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전국에 자전거 도로 만들기 사업을 시작했어요?



<답변>



네, 전국 주요도시를 잇는 10년 계획이 올해부터 시작됐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전국에 자전거 도로가 만들어지는데 일단 오는 2012년까지 자전거 보급률을 30%로 높여 천 450만 대를 보급합니다.



10명 가운데 3명이 자전거를 가진다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교통수단분담률도 지금의 1.2%에서 5%로 높아집니다.



이를 위해 강릉시와 군산시, 진주시 등 중소도시 10곳을 자전거 거점도시로 지정해 한 개 도시에 100억 원씩 투자합니다.



교통이 복잡한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를 자전거 보급에 더 적합한 것으로 정책방향을 잡은 것입니다.



뜻은 좋습니다. 그런데 국민 세금이 많이 들어가는 만큼 잘 돼야겠죠,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요?



자전거의 대표적인 성공 도시라는 창원시의 경우를 한번 분석해 보겠습니다.



배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로, 인도와는 완전히 구분된 자전거 전용도로를 따라 근로자들의 자전거 출근행렬이 이어집니다.



교통사고 위험이 없는 그야말로 자전거만의 도로입니다.



전원계획도시로 건설된 창원시는 도로를 개설할 때부터 이 같은 전용도로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런데다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회사원들에게 시청이 수당을 지급하고 자전거 보험도 도입했습니다.



2년 전에 도입한 공영자전거 ’누비자’는 중요 교통수단이 됐습니다.



시내 150개 터미널에 항시 대기하는 2천 500대의 자전거를 시내버스처럼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루 이용객이 9천 명을 넘습니다.



공영 자전거에는 GPS가 달려있어 전체 대여 현황이 한눈에 파악되고 도난이나 파손이 있을 수 없습니다.



<인터뷰>박완수(창원시장):"이벤트 성이 아니라 생활의 수단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계획도시라는 기반에다 생활 속에 파고들 수 있는 세심한 행정이 자전거 도시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질문>



 2년 뒤까지 5%로 늘리려면, 도로를 까는 것 이상의 뭔가 있어야 할 것 같아요?



<답변>



자전거 정책은 자전거를 많이 타는 사람이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자칫 탁생공론이 되지 않도록 부족한게 뭔지, 필요한게 뭔지, 귀담아들어야 할 것입니다.



<앵커 멘트>



KBS 쌍방향 뉴스. 시청자분들의 의견 짚어봅니다. 



먼저 최재선 님. 인도와 겸한 자전거 도로는 불편한 점이 많다.  전용도로를 새롭게 설계 해야한다는 의견 주셨구요. 



박정기님. 불법 주차 단속을 강화하자. 



이상학님은 현재 지방도나 간선도로엔 전용도로가 없다는 의견인데 정부나 지자체가 참고해야겠죠? 



또 이어폰 쓰는 사람까지 있는데.. 안전교육이 필요하다는 이학철님.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보유 인구 800만, 자전거 열풍 허와 실!
    • 입력 2010-07-23 22:03:18
    • 수정2010-07-23 22:30:42
    뉴스 9

<앵커 멘트>

자전거 800만 시대입니다.

녹색 바람을 타고 정부와 지자체들은 앞다퉈 자전거 도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슈앤뉴스. 오늘은 시청자 여러분이 보내준 의견을 토대로 자전거 열풍의 ’허’와 ’실’을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오종우 기자가 현장에 나가봤습니다.

<리포트>

좁은 길에 만들어 놓은 자전거 도로입니다.

보행자 겸용도로이다 보니 접촉사고가 빈번합니다.

<현장음> "지나갑니다. 비켜비켜"

전용도로로 가던 자전거가 갑자기 멈춰섭니다

전용도로가 중간에 끊겨 어디로 가야할 지 난감합니다.

<인터뷰>홍성민(자전거 이용자):"차도로 가라는 건지, 인도로 가라는 건지 상당히 당황이 됩니다."

도로교통법상 자전거 도로가 없는 곳에선 차도 오른쪽 가장자리로 달려야 하지만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인터뷰>박양자(자전거 이용자):"바짝 자전거 옆으로 붙어서 경적을 울려서 깜짝 놀라서 넘어지는 경우도 있구요."

차로에 들어선 자전거가 버스와 부딪혀 넘어집니다.

자전거 도로가 따로 없다 보니 이런 사고는 늘 일어납니다.

시민의식도 문젭니다. 겨우 틈을 내 만든 자전거 도로는 불법 주차 차량들이 차지해 버렸습니다.

자전거 이용을 대폭 늘리겠다는 것이 정부의 생각이지만, 자전거가 교통수단인지, 레저 수단에 불과한 것인지, 개념조차 명확하지 않습니다.

<질문>

자전거를 운동삼아 타는 분들은 많지만 해외처럼 교통수단으로 이용하기엔 보신대로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임승창 기자 나와 있습니다. 임 기자, 도로, 법규도 그렇지만 이용자들의 고민거리가 또 있다죠?

<답변>

현실적인 문제가 많습니다. 자전거를 타고 좋아하는 사람들은 보관이 늘 걱정입니다.

제대도 보관이 안되다보니 자전거를 잃어버리거나 도난당하는 일도 적지 않은데요.

그 실태를 김상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아파트 단지 내의 자전거 보관소, 워낙 좁다보니 자리를 잡지 못한 자전거들이 곳곳에 널부러져 있습니다.

인도와 잔디밭까지 모두 자전거 차지입니다.

<녹취> 주민:"자전거는 자전거대로 망가지고 지나다닐 때 유모차는 걸리고 불편하죠..."

보관할 곳이 마땅치 않다보니 도난 사고도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녹취> 박수진(주민):" 밖에다 세워놓았더니 밤에 다 잘라 가져 가버린거에요. 자전거 두 대를 잃어버렸거든요."

지하철 역까지 자전거를 타고 와도 거취대가 부족하긴 마찬가지입니다.

자전거 도난이나 파손 사고가 늘다보니 일부 지하철 역에선 이처럼 밀폐형 자전거 보관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자전거도 자동차처럼 경찰서에 등록을 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자전거 관리인:"번호가 있어서 도난됐을 때도 알 수 있어요."

우리나라도 자전거 등록제를 도입할 예정이지만 경찰서가 아닌 구청에 신고만 하는 것이어서 도난 방지와는 거리가 멉니다.

<질문>

길은 불편하고, 보관하기도 어렵고...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전국에 자전거 도로 만들기 사업을 시작했어요?

<답변>

네, 전국 주요도시를 잇는 10년 계획이 올해부터 시작됐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전국에 자전거 도로가 만들어지는데 일단 오는 2012년까지 자전거 보급률을 30%로 높여 천 450만 대를 보급합니다.

10명 가운데 3명이 자전거를 가진다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교통수단분담률도 지금의 1.2%에서 5%로 높아집니다.

이를 위해 강릉시와 군산시, 진주시 등 중소도시 10곳을 자전거 거점도시로 지정해 한 개 도시에 100억 원씩 투자합니다.

교통이 복잡한 대도시보다는 중소도시를 자전거 보급에 더 적합한 것으로 정책방향을 잡은 것입니다.

뜻은 좋습니다. 그런데 국민 세금이 많이 들어가는 만큼 잘 돼야겠죠,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요?

자전거의 대표적인 성공 도시라는 창원시의 경우를 한번 분석해 보겠습니다.

배수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차로, 인도와는 완전히 구분된 자전거 전용도로를 따라 근로자들의 자전거 출근행렬이 이어집니다.

교통사고 위험이 없는 그야말로 자전거만의 도로입니다.

전원계획도시로 건설된 창원시는 도로를 개설할 때부터 이 같은 전용도로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런데다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회사원들에게 시청이 수당을 지급하고 자전거 보험도 도입했습니다.

2년 전에 도입한 공영자전거 ’누비자’는 중요 교통수단이 됐습니다.

시내 150개 터미널에 항시 대기하는 2천 500대의 자전거를 시내버스처럼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루 이용객이 9천 명을 넘습니다.

공영 자전거에는 GPS가 달려있어 전체 대여 현황이 한눈에 파악되고 도난이나 파손이 있을 수 없습니다.

<인터뷰>박완수(창원시장):"이벤트 성이 아니라 생활의 수단으로 만들어 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계획도시라는 기반에다 생활 속에 파고들 수 있는 세심한 행정이 자전거 도시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질문>

 2년 뒤까지 5%로 늘리려면, 도로를 까는 것 이상의 뭔가 있어야 할 것 같아요?

<답변>

자전거 정책은 자전거를 많이 타는 사람이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자칫 탁생공론이 되지 않도록 부족한게 뭔지, 필요한게 뭔지, 귀담아들어야 할 것입니다.

<앵커 멘트>

KBS 쌍방향 뉴스. 시청자분들의 의견 짚어봅니다. 

먼저 최재선 님. 인도와 겸한 자전거 도로는 불편한 점이 많다.  전용도로를 새롭게 설계 해야한다는 의견 주셨구요. 

박정기님. 불법 주차 단속을 강화하자. 

이상학님은 현재 지방도나 간선도로엔 전용도로가 없다는 의견인데 정부나 지자체가 참고해야겠죠? 

또 이어폰 쓰는 사람까지 있는데.. 안전교육이 필요하다는 이학철님.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