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살충제 사용, 안전사고 주의
입력 2010.07.29 (07:44)
수정 2010.07.29 (20: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모기가 많은 여름철엔 살충제 사용도 늘게 마련인데요.
살충제 용기가 폭발하거나 영.유아가 내용물을 삼키는 등 안전사고가 빈발하고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홍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여름의 불청객 모기.
오택진 씨는 최근 모기를 잡으려고 창가에 놔뒀던 살충제가 폭발하는 사고를 겪었습니다.
<인터뷰>오택진(인천시 산곡동) : "갑자기 펑 소리가 나서 소리나는 쪽...베란다 쪽에 가보니 스프레이 모기약이 터져서..."
최근 3년간 살충제로 인해 가정에서 일어난 안전사고는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것만 131건입니다.
6살 이하 영.유아의 사고가 전체의 60%나 됩니다.
살충제를 삼켜서 중독되거나 전자 모기향에 화상을 입은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폭발.화재 사고도 있었습니다.
젤이나 과립형태의 살충제를 삼키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매트와 액체 전자모기향, 뿌리는 살충제 등의 순이었습니다.
주사기나 젖병 모양으로 된 살충제는 영.유아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인터뷰>오경임(한국소비자원 차장) : "어린아이 손이 닿지 않는 깊숙한 곳에 설치하셔야 하고요, 다 사용하신 후에는 애들 손 안 닿는 높은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소비자원은 특히 뿌리는 살충제의 경우, 폭발 위험이 크기 때문에 보관과 사용에 특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홍수진입니다.
모기가 많은 여름철엔 살충제 사용도 늘게 마련인데요.
살충제 용기가 폭발하거나 영.유아가 내용물을 삼키는 등 안전사고가 빈발하고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홍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여름의 불청객 모기.
오택진 씨는 최근 모기를 잡으려고 창가에 놔뒀던 살충제가 폭발하는 사고를 겪었습니다.
<인터뷰>오택진(인천시 산곡동) : "갑자기 펑 소리가 나서 소리나는 쪽...베란다 쪽에 가보니 스프레이 모기약이 터져서..."
최근 3년간 살충제로 인해 가정에서 일어난 안전사고는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것만 131건입니다.
6살 이하 영.유아의 사고가 전체의 60%나 됩니다.
살충제를 삼켜서 중독되거나 전자 모기향에 화상을 입은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폭발.화재 사고도 있었습니다.
젤이나 과립형태의 살충제를 삼키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매트와 액체 전자모기향, 뿌리는 살충제 등의 순이었습니다.
주사기나 젖병 모양으로 된 살충제는 영.유아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인터뷰>오경임(한국소비자원 차장) : "어린아이 손이 닿지 않는 깊숙한 곳에 설치하셔야 하고요, 다 사용하신 후에는 애들 손 안 닿는 높은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소비자원은 특히 뿌리는 살충제의 경우, 폭발 위험이 크기 때문에 보관과 사용에 특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홍수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름철 살충제 사용, 안전사고 주의
-
- 입력 2010-07-29 07:44:25
- 수정2010-07-29 20:06:45

<앵커 멘트>
모기가 많은 여름철엔 살충제 사용도 늘게 마련인데요.
살충제 용기가 폭발하거나 영.유아가 내용물을 삼키는 등 안전사고가 빈발하고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홍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여름의 불청객 모기.
오택진 씨는 최근 모기를 잡으려고 창가에 놔뒀던 살충제가 폭발하는 사고를 겪었습니다.
<인터뷰>오택진(인천시 산곡동) : "갑자기 펑 소리가 나서 소리나는 쪽...베란다 쪽에 가보니 스프레이 모기약이 터져서..."
최근 3년간 살충제로 인해 가정에서 일어난 안전사고는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것만 131건입니다.
6살 이하 영.유아의 사고가 전체의 60%나 됩니다.
살충제를 삼켜서 중독되거나 전자 모기향에 화상을 입은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폭발.화재 사고도 있었습니다.
젤이나 과립형태의 살충제를 삼키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매트와 액체 전자모기향, 뿌리는 살충제 등의 순이었습니다.
주사기나 젖병 모양으로 된 살충제는 영.유아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인터뷰>오경임(한국소비자원 차장) : "어린아이 손이 닿지 않는 깊숙한 곳에 설치하셔야 하고요, 다 사용하신 후에는 애들 손 안 닿는 높은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소비자원은 특히 뿌리는 살충제의 경우, 폭발 위험이 크기 때문에 보관과 사용에 특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홍수진입니다.
모기가 많은 여름철엔 살충제 사용도 늘게 마련인데요.
살충제 용기가 폭발하거나 영.유아가 내용물을 삼키는 등 안전사고가 빈발하고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홍수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여름의 불청객 모기.
오택진 씨는 최근 모기를 잡으려고 창가에 놔뒀던 살충제가 폭발하는 사고를 겪었습니다.
<인터뷰>오택진(인천시 산곡동) : "갑자기 펑 소리가 나서 소리나는 쪽...베란다 쪽에 가보니 스프레이 모기약이 터져서..."
최근 3년간 살충제로 인해 가정에서 일어난 안전사고는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것만 131건입니다.
6살 이하 영.유아의 사고가 전체의 60%나 됩니다.
살충제를 삼켜서 중독되거나 전자 모기향에 화상을 입은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폭발.화재 사고도 있었습니다.
젤이나 과립형태의 살충제를 삼키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매트와 액체 전자모기향, 뿌리는 살충제 등의 순이었습니다.
주사기나 젖병 모양으로 된 살충제는 영.유아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인터뷰>오경임(한국소비자원 차장) : "어린아이 손이 닿지 않는 깊숙한 곳에 설치하셔야 하고요, 다 사용하신 후에는 애들 손 안 닿는 높은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소비자원은 특히 뿌리는 살충제의 경우, 폭발 위험이 크기 때문에 보관과 사용에 특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홍수진입니다.
-
-
홍수진 기자 nodance@kbs.co.kr
홍수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