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산하기관도 특혜 채용 의혹

입력 2010.09.12 (07:40) 수정 2010.09.12 (11: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유명환 장관 딸의 특채와 관련해 현대판 음서제라는 비판이 거센데요,

정부 부처 뿐아니라 지방자치단체나 산하기관에서도 직원들을 특혜로 채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자치단체장이나 지역의 유력인사들의 입김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KBS가 입수한 경기도 부천시 산하기관 문화재단의 이른바 정실인사 리스트입니다.

정원 백명 규모인 문화재단에서는 직원 36명이 전 국회의원이나 시의원 등 이른바 힘있는 사람들의 친인척들입니다.

심지어 유력인사의 운전기사 부인이나 채권자의 아들도 있습니다.

직원 3명 가운데 1명이 유력인사와 연줄이 있는 셈입니다.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인터뷰>퇴직직원(음성변조) : "시의회 관련, 도의회 관련 고위공직자들 거의 친인척 직계존속 다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거의 90%~"

이곳 뿐만이 아닙니다. 서울 구로구청 산하 구로시설관리공단이 직원 채용과정에서 받은 이력섭니다.

하단에는 이사장님 접수, 구의원 추천이라는 인사 청탁을 암시하는 문구가 써 있습니다.

청탁에 의한 특혜 채용은 이미 일상이 됐다는 게 직원들 얘깁니다.

<녹취>구로시설관리공단 직원(음성변조) : "어느날 갑자기 임시직으로 있다가 누구누구 아들이라는 소문이 나서.. 허탈감을 느끼죠.."

부천시나 구로구청의 해당 기관에서는 특혜 채용은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녹취>부천시 시설관리공단 인사담당 : "저희가 채용된 분들이 누구와 관계있는지 어떻게 다 알겠습니까"

자치단체 산하기관에서도 특혜 채용 시비가 이는 것은 직원 채용에 대한 모든 권한이 사실상 기관장 한 명에게 집중돼 있기 때문입니다.

채용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해야 할 인사위원회도 요식적으로 이뤄지는 게 대부분입니다.

게다가 지역 유력인사로부터 인사청탁을 받더라도 표를 의식해야하는 지자체는 이를 모른척 할수 없는 게 현실입니다.

<녹취>구청 관계자 : "청탁을 거절하게 되면 몹쓸 사람이라고 지역에 소문이 나고.. 계속 어려움이 따르는 거죠.. 관계가."

감사원도 자치단체의 특혜 채용 의혹에 대해 전면적인 감사에 들어갔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자체·산하기관도 특혜 채용 의혹
    • 입력 2010-09-12 07:40:14
    • 수정2010-09-12 11:44:39
    일요뉴스타임
<앵커 멘트> 유명환 장관 딸의 특채와 관련해 현대판 음서제라는 비판이 거센데요, 정부 부처 뿐아니라 지방자치단체나 산하기관에서도 직원들을 특혜로 채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자치단체장이나 지역의 유력인사들의 입김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KBS가 입수한 경기도 부천시 산하기관 문화재단의 이른바 정실인사 리스트입니다. 정원 백명 규모인 문화재단에서는 직원 36명이 전 국회의원이나 시의원 등 이른바 힘있는 사람들의 친인척들입니다. 심지어 유력인사의 운전기사 부인이나 채권자의 아들도 있습니다. 직원 3명 가운데 1명이 유력인사와 연줄이 있는 셈입니다. 실제로는 이보다 더 많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인터뷰>퇴직직원(음성변조) : "시의회 관련, 도의회 관련 고위공직자들 거의 친인척 직계존속 다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거의 90%~" 이곳 뿐만이 아닙니다. 서울 구로구청 산하 구로시설관리공단이 직원 채용과정에서 받은 이력섭니다. 하단에는 이사장님 접수, 구의원 추천이라는 인사 청탁을 암시하는 문구가 써 있습니다. 청탁에 의한 특혜 채용은 이미 일상이 됐다는 게 직원들 얘깁니다. <녹취>구로시설관리공단 직원(음성변조) : "어느날 갑자기 임시직으로 있다가 누구누구 아들이라는 소문이 나서.. 허탈감을 느끼죠.." 부천시나 구로구청의 해당 기관에서는 특혜 채용은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녹취>부천시 시설관리공단 인사담당 : "저희가 채용된 분들이 누구와 관계있는지 어떻게 다 알겠습니까" 자치단체 산하기관에서도 특혜 채용 시비가 이는 것은 직원 채용에 대한 모든 권한이 사실상 기관장 한 명에게 집중돼 있기 때문입니다. 채용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해야 할 인사위원회도 요식적으로 이뤄지는 게 대부분입니다. 게다가 지역 유력인사로부터 인사청탁을 받더라도 표를 의식해야하는 지자체는 이를 모른척 할수 없는 게 현실입니다. <녹취>구청 관계자 : "청탁을 거절하게 되면 몹쓸 사람이라고 지역에 소문이 나고.. 계속 어려움이 따르는 거죠.. 관계가." 감사원도 자치단체의 특혜 채용 의혹에 대해 전면적인 감사에 들어갔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