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대 당뇨환자 실명 주의보!

입력 2010.09.23 (22:16) 수정 2010.09.23 (22: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내 당뇨 환자가 4백만 명에 이를 정도로 급증셉니다.



무엇보다, 걱정은 30~40대 젊은 환자들이 합병증으로 인한 실명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점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마흔살부터 당뇨를 앓아 온 이 남성은 3년 전 갑자기 시력이 나빠져 병원을 찾았다가 당뇨망막증 진단을 받았습니다.



실명 위험이 있다는 판정을 받았지만, 치료를 받고 다행히 시력이 조금씩 나아졌습니다.



<인터뷰> 당뇨망막증 환자(47살):"거의 치료가 불가능하다는 얘기를 하더라구요. (실명까지) 3개월 선고를 받았는데."



혈당이 높으면 혈관이 상해 망막에 나쁜 혈관이 생기면서 시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당뇨 합병증인 당뇨망막증입니다.



지난 2008년 당뇨망막증 환자 중 30대는 5년 새 29%, 40대는 37% 늘었습니다. 당뇨망막증 환자 5명 중 한명이 40대 이하일 정돕니다.



최근 당뇨 환자가 급증하면서 젊은층 당뇨 환자가 많아져 합병증 발생도 빨라진 것입니다.



<인터뷰> 권오웅(누네안과병원장):"증상이 없어도 당뇨 환자는 1년에 한번씩, 당뇨망막증이 있는 경우엔 6개월에 한번씩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당뇨망막증을 예방하기 위해선 혈당관리가 중요합니다. 혈당조절을 잘 하면 2년이 지나면서 효과가 나타납니다.



당뇨망막증이 심한 경우 레이저치료나 수술 등으로 시력이 더 나빠지지 않도록 치료합니다.



최근엔 주사요법을 통해 시력을 개선시키기도 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0~40대 당뇨환자 실명 주의보!
    • 입력 2010-09-23 22:16:12
    • 수정2010-09-23 22:24:56
    뉴스 9
<앵커 멘트>

국내 당뇨 환자가 4백만 명에 이를 정도로 급증셉니다.

무엇보다, 걱정은 30~40대 젊은 환자들이 합병증으로 인한 실명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점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마흔살부터 당뇨를 앓아 온 이 남성은 3년 전 갑자기 시력이 나빠져 병원을 찾았다가 당뇨망막증 진단을 받았습니다.

실명 위험이 있다는 판정을 받았지만, 치료를 받고 다행히 시력이 조금씩 나아졌습니다.

<인터뷰> 당뇨망막증 환자(47살):"거의 치료가 불가능하다는 얘기를 하더라구요. (실명까지) 3개월 선고를 받았는데."

혈당이 높으면 혈관이 상해 망막에 나쁜 혈관이 생기면서 시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당뇨 합병증인 당뇨망막증입니다.

지난 2008년 당뇨망막증 환자 중 30대는 5년 새 29%, 40대는 37% 늘었습니다. 당뇨망막증 환자 5명 중 한명이 40대 이하일 정돕니다.

최근 당뇨 환자가 급증하면서 젊은층 당뇨 환자가 많아져 합병증 발생도 빨라진 것입니다.

<인터뷰> 권오웅(누네안과병원장):"증상이 없어도 당뇨 환자는 1년에 한번씩, 당뇨망막증이 있는 경우엔 6개월에 한번씩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당뇨망막증을 예방하기 위해선 혈당관리가 중요합니다. 혈당조절을 잘 하면 2년이 지나면서 효과가 나타납니다.

당뇨망막증이 심한 경우 레이저치료나 수술 등으로 시력이 더 나빠지지 않도록 치료합니다.

최근엔 주사요법을 통해 시력을 개선시키기도 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