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신한금융지주의 라응찬 회장에 대해 금융 당국이 중징계 방침을 통보했습니다.
금융지주 최고위층과 은행장이 모두 수사나 소송에 휘말리면서 신한 지주의 경영진 공백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박일중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라응찬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금융실명법 위반과 관련해 중징계 통보를 받았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한 달 동안 라응찬 회장에 대한 차명계좌 현장 검사에서 라회장의 금융실명법 위반 사실과 관련자료 폐기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라회장 측의 소명자료를 검토한 후 오는 20일 이후 징계 수위를 결정하기 위한 제재심의위원회를 열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라 회장은 그동안 지난 2007년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에게 50억 원을 보내면서 차명계좌를 이용했다는 의혹을 받아왔습니다.
중징계 방침이 통보된 만큼 전례를 볼 때 라 회장이 2013년까지인 임기를 채우지 못할 가능성도 커보입니다.
19년간 최고 경영자 자리를 지켜온 라 회장이 물러나면 신한 금융지주의 경영 공백은 불가피합니다.
신상훈 지주사장이 이미 직무정지인 상태인데다, 이백순 신한은행장도 재일교포 주주로부터 해임 소송과 5억 원 수수 의혹이 제기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신한금융은 제재 내용에 따라 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비상경영체제를 가동할 것으로 보이며 후계 구도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신한금융지주의 라응찬 회장에 대해 금융 당국이 중징계 방침을 통보했습니다.
금융지주 최고위층과 은행장이 모두 수사나 소송에 휘말리면서 신한 지주의 경영진 공백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박일중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라응찬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금융실명법 위반과 관련해 중징계 통보를 받았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한 달 동안 라응찬 회장에 대한 차명계좌 현장 검사에서 라회장의 금융실명법 위반 사실과 관련자료 폐기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라회장 측의 소명자료를 검토한 후 오는 20일 이후 징계 수위를 결정하기 위한 제재심의위원회를 열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라 회장은 그동안 지난 2007년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에게 50억 원을 보내면서 차명계좌를 이용했다는 의혹을 받아왔습니다.
중징계 방침이 통보된 만큼 전례를 볼 때 라 회장이 2013년까지인 임기를 채우지 못할 가능성도 커보입니다.
19년간 최고 경영자 자리를 지켜온 라 회장이 물러나면 신한 금융지주의 경영 공백은 불가피합니다.
신상훈 지주사장이 이미 직무정지인 상태인데다, 이백순 신한은행장도 재일교포 주주로부터 해임 소송과 5억 원 수수 의혹이 제기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신한금융은 제재 내용에 따라 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비상경영체제를 가동할 것으로 보이며 후계 구도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라응찬 중징계’ 방침 통보…경영진 공백 불가피
-
- 입력 2010-10-08 14:06:36

<앵커 멘트>
신한금융지주의 라응찬 회장에 대해 금융 당국이 중징계 방침을 통보했습니다.
금융지주 최고위층과 은행장이 모두 수사나 소송에 휘말리면서 신한 지주의 경영진 공백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박일중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라응찬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금융실명법 위반과 관련해 중징계 통보를 받았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한 달 동안 라응찬 회장에 대한 차명계좌 현장 검사에서 라회장의 금융실명법 위반 사실과 관련자료 폐기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라회장 측의 소명자료를 검토한 후 오는 20일 이후 징계 수위를 결정하기 위한 제재심의위원회를 열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라 회장은 그동안 지난 2007년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에게 50억 원을 보내면서 차명계좌를 이용했다는 의혹을 받아왔습니다.
중징계 방침이 통보된 만큼 전례를 볼 때 라 회장이 2013년까지인 임기를 채우지 못할 가능성도 커보입니다.
19년간 최고 경영자 자리를 지켜온 라 회장이 물러나면 신한 금융지주의 경영 공백은 불가피합니다.
신상훈 지주사장이 이미 직무정지인 상태인데다, 이백순 신한은행장도 재일교포 주주로부터 해임 소송과 5억 원 수수 의혹이 제기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신한금융은 제재 내용에 따라 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비상경영체제를 가동할 것으로 보이며 후계 구도 논의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
-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박일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