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곳곳 폐허…“불안과 긴장”

입력 2010.11.24 (23: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의 무차별 폭격이 연평도를 휩쓸고 간지 하루.

연평도는 말 그대로 쑥대밭이 됐습니다.

생활 기반은 대부분 파괴되고 주민들은 섬을 떠났습니다.

연평도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질문>

송명훈 기자, 지금 그곳 분위기는 어떱니까.

<답변>

어둠이 짙게 깔린 연평도는 적막하기만 합니다.

집들은 부서지고 불에타 폐허가 되고 부서진 전기와 통신도 아직 완전히 복구되지 않았습니다.

이 마을에 사람이 살았나 싶을 정도로 만신창이가 됐습니다.

지금 연평도에는 해경 특공대가 마을을 순찰하며 치안을 담당하고 있고 해병은 최고수준의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오늘 오후부터 이동통신 3사와 한전 기술진들이 연평도에 도착해 부서진 전기 통신 시설에 대한 복구를 벌이고 있지만 워낙 피해가 커 완전히 복구하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

남아 있는 주민들의 걱정이 클 텐데, 주민들은 아직도 대피소에 피신해 있나요?

<답변>

어젯밤을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대피소에서 추위에 떨며 밤을 지신 주민들은 오늘 아침부터 속속 섬을 떠났습니다.

전체 주민 천700여명 가운데 천여명이 뭍으로 피난해 섬에서 민간인을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돕니다.

남아있는 주민들은 오늘 밤은 대부분 집안에 머물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 오후 민간인 첫 사망자가 확인되면서 주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언제 조업을 다시 시작하게 될지도 알 수 없어 연평도 주민들은 포격에 대한 공포는 물론, 힘든 일상과도 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서해 연평도에서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평도 곳곳 폐허…“불안과 긴장”
    • 입력 2010-11-24 23:50:46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북한의 무차별 폭격이 연평도를 휩쓸고 간지 하루. 연평도는 말 그대로 쑥대밭이 됐습니다. 생활 기반은 대부분 파괴되고 주민들은 섬을 떠났습니다. 연평도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질문> 송명훈 기자, 지금 그곳 분위기는 어떱니까. <답변> 어둠이 짙게 깔린 연평도는 적막하기만 합니다. 집들은 부서지고 불에타 폐허가 되고 부서진 전기와 통신도 아직 완전히 복구되지 않았습니다. 이 마을에 사람이 살았나 싶을 정도로 만신창이가 됐습니다. 지금 연평도에는 해경 특공대가 마을을 순찰하며 치안을 담당하고 있고 해병은 최고수준의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오늘 오후부터 이동통신 3사와 한전 기술진들이 연평도에 도착해 부서진 전기 통신 시설에 대한 복구를 벌이고 있지만 워낙 피해가 커 완전히 복구하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 남아 있는 주민들의 걱정이 클 텐데, 주민들은 아직도 대피소에 피신해 있나요? <답변> 어젯밤을 전기도 들어오지 않는 대피소에서 추위에 떨며 밤을 지신 주민들은 오늘 아침부터 속속 섬을 떠났습니다. 전체 주민 천700여명 가운데 천여명이 뭍으로 피난해 섬에서 민간인을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돕니다. 남아있는 주민들은 오늘 밤은 대부분 집안에 머물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 오후 민간인 첫 사망자가 확인되면서 주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언제 조업을 다시 시작하게 될지도 알 수 없어 연평도 주민들은 포격에 대한 공포는 물론, 힘든 일상과도 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서해 연평도에서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