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이번에도 군은 잇따른 말바꾸기와 해명으로 의혹만 부추기다 사태가 해결되기도 전에 결국 수장이 교체되는 불명예를 안았습니다.
천안함 사건을 교훈으로 삼겠다는 군의 약속이 무색하기만 했습니다.
보도에 김병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천안함 사태, 사고 발생 시각은 최초 9시45분에서 무려 4차례에 걸쳐 바뀌었습니다.
<녹취>장수만(당시 국방부차관/3월27일) : "21시30분경 백령도 서남방 해상에서..."
<녹취>이기식(합참 정보작전처장/4월1일) : "21시22분에 백령도 서방 해역에서..."
세떼 오인 사격에, 3개월이 지나서는 음향탐지기 즉, 소나가 고장났었음을 시인했습니다.
<녹취>김태영(국방장관/6월15일) : "천안함 소나가 상당히 기능이 좋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그 때마다 군을 매도한다며 반발해왔습니다.
<녹취>김태영(국방장관/6월15일) : "군은 그런 거짓말을 하는 그런 집단이 아닙니다. 정말 너무 그런쪽으로만 말씀들을 하시니까."
이번에도 군의 말바꾸기는 전혀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대응 사격을 한 K-9 자주포의 댓수부터 헛갈립니다.
6문에서 4문, 결국 3문으로 계속 바꿔 발표합니다.
<녹취>신현돈(합참 작전기획부장) : "나는, 내가 알고 있기로는 여전히 여기오기 전까지 나는 4문으로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어디에 쐈는 지도 바뀝니다.
<녹취>이홍기(합참 작전본부장/지난 23일) : "도발 원점에 대한 집중 사격을 가했으므로..."
<녹취>신현돈(합참 작전기획부장/지난25일) : "갱도를 때린 게 아니고 포병 진지를 때린 겁니다."
그런데도 잘 대응했다는 자평입니다.
<녹취>김태영(국방장관) : "매우 잘 훈련된 부대만이 할 수 있는 시간이라고 전 생각합니다."
결국 잇단 말 바꾸기로 불신을 자초했다는 비판과 함께 전쟁 중엔 장수를 바꾸지 않는다는 불문율이 깨졌습니다.
KBS 뉴스 김병용입니다.
이번에도 군은 잇따른 말바꾸기와 해명으로 의혹만 부추기다 사태가 해결되기도 전에 결국 수장이 교체되는 불명예를 안았습니다.
천안함 사건을 교훈으로 삼겠다는 군의 약속이 무색하기만 했습니다.
보도에 김병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천안함 사태, 사고 발생 시각은 최초 9시45분에서 무려 4차례에 걸쳐 바뀌었습니다.
<녹취>장수만(당시 국방부차관/3월27일) : "21시30분경 백령도 서남방 해상에서..."
<녹취>이기식(합참 정보작전처장/4월1일) : "21시22분에 백령도 서방 해역에서..."
세떼 오인 사격에, 3개월이 지나서는 음향탐지기 즉, 소나가 고장났었음을 시인했습니다.
<녹취>김태영(국방장관/6월15일) : "천안함 소나가 상당히 기능이 좋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그 때마다 군을 매도한다며 반발해왔습니다.
<녹취>김태영(국방장관/6월15일) : "군은 그런 거짓말을 하는 그런 집단이 아닙니다. 정말 너무 그런쪽으로만 말씀들을 하시니까."
이번에도 군의 말바꾸기는 전혀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대응 사격을 한 K-9 자주포의 댓수부터 헛갈립니다.
6문에서 4문, 결국 3문으로 계속 바꿔 발표합니다.
<녹취>신현돈(합참 작전기획부장) : "나는, 내가 알고 있기로는 여전히 여기오기 전까지 나는 4문으로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어디에 쐈는 지도 바뀝니다.
<녹취>이홍기(합참 작전본부장/지난 23일) : "도발 원점에 대한 집중 사격을 가했으므로..."
<녹취>신현돈(합참 작전기획부장/지난25일) : "갱도를 때린 게 아니고 포병 진지를 때린 겁니다."
그런데도 잘 대응했다는 자평입니다.
<녹취>김태영(국방장관) : "매우 잘 훈련된 부대만이 할 수 있는 시간이라고 전 생각합니다."
결국 잇단 말 바꾸기로 불신을 자초했다는 비판과 함께 전쟁 중엔 장수를 바꾸지 않는다는 불문율이 깨졌습니다.
KBS 뉴스 김병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軍, 또 말바꾸기로 신뢰 추락
-
- 입력 2010-11-27 13:59:49

<앵커 멘트>
이번에도 군은 잇따른 말바꾸기와 해명으로 의혹만 부추기다 사태가 해결되기도 전에 결국 수장이 교체되는 불명예를 안았습니다.
천안함 사건을 교훈으로 삼겠다는 군의 약속이 무색하기만 했습니다.
보도에 김병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천안함 사태, 사고 발생 시각은 최초 9시45분에서 무려 4차례에 걸쳐 바뀌었습니다.
<녹취>장수만(당시 국방부차관/3월27일) : "21시30분경 백령도 서남방 해상에서..."
<녹취>이기식(합참 정보작전처장/4월1일) : "21시22분에 백령도 서방 해역에서..."
세떼 오인 사격에, 3개월이 지나서는 음향탐지기 즉, 소나가 고장났었음을 시인했습니다.
<녹취>김태영(국방장관/6월15일) : "천안함 소나가 상당히 기능이 좋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그 때마다 군을 매도한다며 반발해왔습니다.
<녹취>김태영(국방장관/6월15일) : "군은 그런 거짓말을 하는 그런 집단이 아닙니다. 정말 너무 그런쪽으로만 말씀들을 하시니까."
이번에도 군의 말바꾸기는 전혀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대응 사격을 한 K-9 자주포의 댓수부터 헛갈립니다.
6문에서 4문, 결국 3문으로 계속 바꿔 발표합니다.
<녹취>신현돈(합참 작전기획부장) : "나는, 내가 알고 있기로는 여전히 여기오기 전까지 나는 4문으로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어디에 쐈는 지도 바뀝니다.
<녹취>이홍기(합참 작전본부장/지난 23일) : "도발 원점에 대한 집중 사격을 가했으므로..."
<녹취>신현돈(합참 작전기획부장/지난25일) : "갱도를 때린 게 아니고 포병 진지를 때린 겁니다."
그런데도 잘 대응했다는 자평입니다.
<녹취>김태영(국방장관) : "매우 잘 훈련된 부대만이 할 수 있는 시간이라고 전 생각합니다."
결국 잇단 말 바꾸기로 불신을 자초했다는 비판과 함께 전쟁 중엔 장수를 바꾸지 않는다는 불문율이 깨졌습니다.
KBS 뉴스 김병용입니다.
-
-
김병용 기자 2by8282@gmail.com
김병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