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긴장속 연평도…돌아오는 주민 늘어

입력 2010.12.01 (23: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미연합훈련이 오늘 오후에 끝이 났습니다만 연평도에는 여전히 높은 긴장감이 흐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연평도로 돌아오는 주민은 계속 늘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나와있습니다.

조빛나 기자!

<질문> 한미연합훈련이 끝났어도 주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하다구요?

<답변>

그렇습니다.

한미연합훈련이 끝나면, 북한이 재도발을 감행할 것이란 우려를 나타내는 주민들이 적지 않습니다.

특히 우리 군의 사격 훈련이 언제 시작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북한이 포격 도발을 감행한 지난달 23일에도 군 당국의 사격 훈련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군 당국은 최고 수준의 경계와 대응 태세를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

연평면 사무소에서도 주민들의 위치와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 두고 언제라도 연락을 할 수 있도록 비상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질문> 주민들이 다시 돌아오고 있다구요,며칠전만 해도 짐 챙기려 돌아오는 분만 있었는데 왜 그런겁니까?

<답변>

네, 아직도 생생한 포격의 충격을 애써 무시하면서 다시 돌아오는 것은 그만큼 생계문제가 절박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28명이 돌아와 연평도 주민은 쉰 아홉 명이 됐습니다.

어제보다 열 명이 늘었는데 이 같은 증가세는 사흘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어민들인데요.

꽃게철인 만큼 다시 조업을 재개되면 바로 바다에 나갈 수 있도록 어구 등을 정비하며 바쁜 하루를 보냈습니다.

또 민박을 하거나 식당을 운영하던 주민들도 돌아와 집안을 정비하고 다시 손님을 맞게 될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동원(무진호 선장): "바다에 깔아놓은 어장을 빼다가 정리를 해 놓아야지 쓰던가 말던가 하죠. 그냥 두면 손실돼버려요."

<인터뷰>방영호(연평도 민박집 운영): "이자를 못 갚으면 나중에 경매가 들어가고, 사람이 안 들어오면은 먹고 사는 것도 힘들잖아요."

연평도와 인천을 오가면서 생계 대책을 마련하려는 주민들은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옹진군은 앞으로 석 달 동안 주민들에게 여객선 운임을 받지 않고 꽃게 조업기간도 한 달 더 늘려주기로 했습니다.

<질문> 연평도 현지 복구작업 준비도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지요?

<답변>

그렇습니다.

인천시가 연평도 피란민들에게 제안한 김포 양곡지구 아파트 이주안에 대해서 주민들이, 반대의사를 밝혔습니다.

연평도 주민들의 주 생활권인 인천 연안부두로부터 너무 먼 지역이라는 것이 이윱니다.

주민 대책위는 인천시와 정부가 연안부두 인근에 서로 모여살 수 있는 적당한 거주지를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요.

국민임대아파트를 찾고 있는 인천시와 살림살이 등이 필요없는 연수원 시설을 염두에 두고 있는 행정안전부의 입장도 서로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실제로 들어가서 살게 될 주민들과의 합의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질문> 찜질방에 머물고 있는 피란민들의 거처 문제가,오늘은 다소 진전이 있는 듯 보였는데 다시 불투명해졌다구요?

<답변>

네, 지방자치단체마다 비상 상황 때 지역내 방위를 지휘하는 통합방위협의회가 있습니다.

연평도를 '통제구역'으로 정한 주체도 옹진군 통합방위협의회였는데요

이 협의회 30명 가운데는 건설회사나 용역업체 등 기업대표 7명이 포함돼 있었는데요.

통합방위법에는 방위에 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을 위원으로 삼는다고 돼 있는데, 이런 규정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입니다.

이런 일은 전국적인 현상으로, 모 자치단체의 경우엔 접객 업소 업주나 레저단체 대표 등이 위원으로 돼 있습니다.

협의회 의장인 지자체장이 위촉할 수 있는 재량권을 가지기 때문인데요,

이렇게 위촉된 위원들은 협의회 이름으로 치러지는 각종 위문 행사에 돈을 댑니다.

<녹취> 건설회사 대표: "방위협의회 쪽으로 기부를 하죠. 천안함 때도 그랬고. 백만원이 됐던 얼마가 됐던 자발적으로..."

<인터뷰> 옹진군수: "지역 내 단체 장이나 기업체 대표 등이 모여서 예산이 없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재원 부족을 이유로 방위 관련 중요 회의체 위원으로 비전문가를 위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현장] 긴장속 연평도…돌아오는 주민 늘어
    • 입력 2010-12-01 23:41:36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한미연합훈련이 오늘 오후에 끝이 났습니다만 연평도에는 여전히 높은 긴장감이 흐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연평도로 돌아오는 주민은 계속 늘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나와있습니다. 조빛나 기자! <질문> 한미연합훈련이 끝났어도 주민들의 불안감은 여전하다구요? <답변> 그렇습니다. 한미연합훈련이 끝나면, 북한이 재도발을 감행할 것이란 우려를 나타내는 주민들이 적지 않습니다. 특히 우리 군의 사격 훈련이 언제 시작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북한이 포격 도발을 감행한 지난달 23일에도 군 당국의 사격 훈련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군 당국은 최고 수준의 경계와 대응 태세를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 연평면 사무소에서도 주민들의 위치와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 두고 언제라도 연락을 할 수 있도록 비상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질문> 주민들이 다시 돌아오고 있다구요,며칠전만 해도 짐 챙기려 돌아오는 분만 있었는데 왜 그런겁니까? <답변> 네, 아직도 생생한 포격의 충격을 애써 무시하면서 다시 돌아오는 것은 그만큼 생계문제가 절박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28명이 돌아와 연평도 주민은 쉰 아홉 명이 됐습니다. 어제보다 열 명이 늘었는데 이 같은 증가세는 사흘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어민들인데요. 꽃게철인 만큼 다시 조업을 재개되면 바로 바다에 나갈 수 있도록 어구 등을 정비하며 바쁜 하루를 보냈습니다. 또 민박을 하거나 식당을 운영하던 주민들도 돌아와 집안을 정비하고 다시 손님을 맞게 될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동원(무진호 선장): "바다에 깔아놓은 어장을 빼다가 정리를 해 놓아야지 쓰던가 말던가 하죠. 그냥 두면 손실돼버려요." <인터뷰>방영호(연평도 민박집 운영): "이자를 못 갚으면 나중에 경매가 들어가고, 사람이 안 들어오면은 먹고 사는 것도 힘들잖아요." 연평도와 인천을 오가면서 생계 대책을 마련하려는 주민들은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옹진군은 앞으로 석 달 동안 주민들에게 여객선 운임을 받지 않고 꽃게 조업기간도 한 달 더 늘려주기로 했습니다. <질문> 연평도 현지 복구작업 준비도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지요? <답변> 그렇습니다. 인천시가 연평도 피란민들에게 제안한 김포 양곡지구 아파트 이주안에 대해서 주민들이, 반대의사를 밝혔습니다. 연평도 주민들의 주 생활권인 인천 연안부두로부터 너무 먼 지역이라는 것이 이윱니다. 주민 대책위는 인천시와 정부가 연안부두 인근에 서로 모여살 수 있는 적당한 거주지를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요. 국민임대아파트를 찾고 있는 인천시와 살림살이 등이 필요없는 연수원 시설을 염두에 두고 있는 행정안전부의 입장도 서로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실제로 들어가서 살게 될 주민들과의 합의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질문> 찜질방에 머물고 있는 피란민들의 거처 문제가,오늘은 다소 진전이 있는 듯 보였는데 다시 불투명해졌다구요? <답변> 네, 지방자치단체마다 비상 상황 때 지역내 방위를 지휘하는 통합방위협의회가 있습니다. 연평도를 '통제구역'으로 정한 주체도 옹진군 통합방위협의회였는데요 이 협의회 30명 가운데는 건설회사나 용역업체 등 기업대표 7명이 포함돼 있었는데요. 통합방위법에는 방위에 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을 위원으로 삼는다고 돼 있는데, 이런 규정과는 거리가 먼 사람들입니다. 이런 일은 전국적인 현상으로, 모 자치단체의 경우엔 접객 업소 업주나 레저단체 대표 등이 위원으로 돼 있습니다. 협의회 의장인 지자체장이 위촉할 수 있는 재량권을 가지기 때문인데요, 이렇게 위촉된 위원들은 협의회 이름으로 치러지는 각종 위문 행사에 돈을 댑니다. <녹취> 건설회사 대표: "방위협의회 쪽으로 기부를 하죠. 천안함 때도 그랬고. 백만원이 됐던 얼마가 됐던 자발적으로..." <인터뷰> 옹진군수: "지역 내 단체 장이나 기업체 대표 등이 모여서 예산이 없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재원 부족을 이유로 방위 관련 중요 회의체 위원으로 비전문가를 위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