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양식장’ 첫 선…수온·성장 상태 한 눈에
입력 2011.01.19 (07:14)
수정 2011.01.19 (08: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같은 강추위는 양식 어민들도 걱정인데요.
스마트폰을 이용해 수온과 성장 상태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첨단 양식장이 첫선을 보였습니다.
황재락 기자입니다.
<리포트>
통영 앞바다의 한 양식장입니다.
요즘 같은 강추위에는 혹시나 한파 피해를 입지 않을까 어민들의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인터뷰>양식어민 : "고기 성장 속도도 달라지고, 사료도 잘 안 먹고요. 수온이 내려가면 고기들이 잘 죽습니다."
15년째 참돔과 우럭을 양식하는 황인규씨, 황씨는 이제 바다에 나가지 않더라도, 집 안에서 양식장의 수온과 용존 산소량 등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습니다.
또, CCTV를 이용해 양식장의 상태를 확인하고, 활어와 사료 재고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황인규(양식 어민) : "양식장에만 있을 수도 없고, 사료를 구매한다든지 이럴 때는 시내로 가야 합니다. 그럴 때는 관리에 공백이 생기는데."
이 같은 일이 가능한 것은 양식장의 기상과 경영 정보를 무선 인터넷으로 실시간 전송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전국 처음으로 개발됐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활어의 출하와 자금 관리 등 체계적인 경영 관리가 가능해져,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됐습니다.
<인터뷰> 김외영(통영시 정보행정담당) : "실시간으로 적조라든지 냉수대, 이런 피해를 미리 예방할 수가 있습니다."
통영에서 이 같은 시스템을 도입한 양식장은 모두 6곳입니다.
통영시는 첨단 관리 시스템을 지역의 80여개으로 점차 확대 보급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황재락입니다.
요즘 같은 강추위는 양식 어민들도 걱정인데요.
스마트폰을 이용해 수온과 성장 상태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첨단 양식장이 첫선을 보였습니다.
황재락 기자입니다.
<리포트>
통영 앞바다의 한 양식장입니다.
요즘 같은 강추위에는 혹시나 한파 피해를 입지 않을까 어민들의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인터뷰>양식어민 : "고기 성장 속도도 달라지고, 사료도 잘 안 먹고요. 수온이 내려가면 고기들이 잘 죽습니다."
15년째 참돔과 우럭을 양식하는 황인규씨, 황씨는 이제 바다에 나가지 않더라도, 집 안에서 양식장의 수온과 용존 산소량 등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습니다.
또, CCTV를 이용해 양식장의 상태를 확인하고, 활어와 사료 재고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황인규(양식 어민) : "양식장에만 있을 수도 없고, 사료를 구매한다든지 이럴 때는 시내로 가야 합니다. 그럴 때는 관리에 공백이 생기는데."
이 같은 일이 가능한 것은 양식장의 기상과 경영 정보를 무선 인터넷으로 실시간 전송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전국 처음으로 개발됐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활어의 출하와 자금 관리 등 체계적인 경영 관리가 가능해져,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됐습니다.
<인터뷰> 김외영(통영시 정보행정담당) : "실시간으로 적조라든지 냉수대, 이런 피해를 미리 예방할 수가 있습니다."
통영에서 이 같은 시스템을 도입한 양식장은 모두 6곳입니다.
통영시는 첨단 관리 시스템을 지역의 80여개으로 점차 확대 보급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황재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스마트 양식장’ 첫 선…수온·성장 상태 한 눈에
-
- 입력 2011-01-19 07:14:26
- 수정2011-01-19 08:46:19

<앵커 멘트>
요즘 같은 강추위는 양식 어민들도 걱정인데요.
스마트폰을 이용해 수온과 성장 상태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첨단 양식장이 첫선을 보였습니다.
황재락 기자입니다.
<리포트>
통영 앞바다의 한 양식장입니다.
요즘 같은 강추위에는 혹시나 한파 피해를 입지 않을까 어민들의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인터뷰>양식어민 : "고기 성장 속도도 달라지고, 사료도 잘 안 먹고요. 수온이 내려가면 고기들이 잘 죽습니다."
15년째 참돔과 우럭을 양식하는 황인규씨, 황씨는 이제 바다에 나가지 않더라도, 집 안에서 양식장의 수온과 용존 산소량 등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습니다.
또, CCTV를 이용해 양식장의 상태를 확인하고, 활어와 사료 재고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황인규(양식 어민) : "양식장에만 있을 수도 없고, 사료를 구매한다든지 이럴 때는 시내로 가야 합니다. 그럴 때는 관리에 공백이 생기는데."
이 같은 일이 가능한 것은 양식장의 기상과 경영 정보를 무선 인터넷으로 실시간 전송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전국 처음으로 개발됐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활어의 출하와 자금 관리 등 체계적인 경영 관리가 가능해져,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됐습니다.
<인터뷰> 김외영(통영시 정보행정담당) : "실시간으로 적조라든지 냉수대, 이런 피해를 미리 예방할 수가 있습니다."
통영에서 이 같은 시스템을 도입한 양식장은 모두 6곳입니다.
통영시는 첨단 관리 시스템을 지역의 80여개으로 점차 확대 보급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황재락입니다.
-
-
황재락 기자 outfocus@kbs.co.kr
황재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