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AI 여파 육가공 등 관련 업체 직격탄
입력 2011.01.27 (06:28)
수정 2011.01.27 (06: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의 여파로 육가공 업체 등 관련 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이동 제한 조치 등으로 물량을 공급받지 못해 조업 중단 위기까지 치닫고 있습니다.
권기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돼지 지방과 뼈 등으로 동물 사료를 만드는 중소업체입니다.
지난해 설을 앞두고는 하루 평균 180 톤의 사료를 만들었지만 올해는 구제역 여파로 원료를 4분의 1밖에 공급받지 못했습니다.
그만큼 매출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생산 원가마저 20% 이상 오르다 보니 하루하루 적자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녹취>재생 유지 업체 관계자:"지금은 정상적으로 근무를 못할 정도로 물량이 워낙 줄어서 상당히 답답하죠"
대낮인데도 닭을 가공하는 이 육가공 공장은 가동을 멈췄습니다.
냉동 창고 안도 텅 비었습니다.
조류 인플루엔자 방역 등의 영향으로 공급 물량이 7분의 1로 줄다 보니 요즘은 일감이 하루 2~3시간 작업할 분량밖에 안되기 때문입니다.
견디다 못한 업체측은 직원의 30%를 감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녹취>권태완(육가공 업체 과장):"이 상황이 계속되면 조업중단 해야하고, 더 심각하면 폐업해야 합니다."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중소기업 중앙회가 관련 업체 100곳을 조사한 결과 지금 같은 상황이 2달 이상 계속되면 소와 돼지관련 육가공 업체 78%가 문을 닫을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녹취>이충묵(중소기업중앙회 부장):"긴급 경영안정 자금 지원과 대체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 조치가 필요합니다."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여파가 농가에서 관련업계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권기현입니다.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의 여파로 육가공 업체 등 관련 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이동 제한 조치 등으로 물량을 공급받지 못해 조업 중단 위기까지 치닫고 있습니다.
권기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돼지 지방과 뼈 등으로 동물 사료를 만드는 중소업체입니다.
지난해 설을 앞두고는 하루 평균 180 톤의 사료를 만들었지만 올해는 구제역 여파로 원료를 4분의 1밖에 공급받지 못했습니다.
그만큼 매출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생산 원가마저 20% 이상 오르다 보니 하루하루 적자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녹취>재생 유지 업체 관계자:"지금은 정상적으로 근무를 못할 정도로 물량이 워낙 줄어서 상당히 답답하죠"
대낮인데도 닭을 가공하는 이 육가공 공장은 가동을 멈췄습니다.
냉동 창고 안도 텅 비었습니다.
조류 인플루엔자 방역 등의 영향으로 공급 물량이 7분의 1로 줄다 보니 요즘은 일감이 하루 2~3시간 작업할 분량밖에 안되기 때문입니다.
견디다 못한 업체측은 직원의 30%를 감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녹취>권태완(육가공 업체 과장):"이 상황이 계속되면 조업중단 해야하고, 더 심각하면 폐업해야 합니다."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중소기업 중앙회가 관련 업체 100곳을 조사한 결과 지금 같은 상황이 2달 이상 계속되면 소와 돼지관련 육가공 업체 78%가 문을 닫을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녹취>이충묵(중소기업중앙회 부장):"긴급 경영안정 자금 지원과 대체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 조치가 필요합니다."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여파가 농가에서 관련업계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권기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구제역·AI 여파 육가공 등 관련 업체 직격탄
-
- 입력 2011-01-27 06:28:31
- 수정2011-01-27 06:34:14

<앵커 멘트>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의 여파로 육가공 업체 등 관련 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이동 제한 조치 등으로 물량을 공급받지 못해 조업 중단 위기까지 치닫고 있습니다.
권기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돼지 지방과 뼈 등으로 동물 사료를 만드는 중소업체입니다.
지난해 설을 앞두고는 하루 평균 180 톤의 사료를 만들었지만 올해는 구제역 여파로 원료를 4분의 1밖에 공급받지 못했습니다.
그만큼 매출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생산 원가마저 20% 이상 오르다 보니 하루하루 적자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녹취>재생 유지 업체 관계자:"지금은 정상적으로 근무를 못할 정도로 물량이 워낙 줄어서 상당히 답답하죠"
대낮인데도 닭을 가공하는 이 육가공 공장은 가동을 멈췄습니다.
냉동 창고 안도 텅 비었습니다.
조류 인플루엔자 방역 등의 영향으로 공급 물량이 7분의 1로 줄다 보니 요즘은 일감이 하루 2~3시간 작업할 분량밖에 안되기 때문입니다.
견디다 못한 업체측은 직원의 30%를 감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녹취>권태완(육가공 업체 과장):"이 상황이 계속되면 조업중단 해야하고, 더 심각하면 폐업해야 합니다."
앞으로가 더 문제입니다.
중소기업 중앙회가 관련 업체 100곳을 조사한 결과 지금 같은 상황이 2달 이상 계속되면 소와 돼지관련 육가공 업체 78%가 문을 닫을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녹취>이충묵(중소기업중앙회 부장):"긴급 경영안정 자금 지원과 대체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 조치가 필요합니다."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여파가 농가에서 관련업계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권기현입니다.
-
-
권기현 기자 js-kwon@kbs.co.kr
권기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